시내전화(Landline)는 전화국에서 최종 가입자까지 연결된 전화를 말한다. 보통 통신사에서 "일반전화"라고 부르는 상품이 이것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흔히 "전화"라고 말하는 서비스는 시내전화를 말한다. 여기에 시외전화나 각종 지능망 서비스를 끼얹어서 사용하는 것이 현대의 전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전화를 쓰려면 댁내에 전화기가 있어야 하고, 이 전화기를 전화망에 접속시켜야 하는 데, 전화망에 접속시켜주는 라스트마일 역할을 시내전화 사업자가 하는 것이다. 오래전에는 전화기를 사업자가 임대해주기도 했으니 사실상 전화의 이미지를 잡은 당사자이기도 하다.
시외전화의 경계를 구분짓는 "통화권"이라는 것도 시내전화가 가능한 범위를 말한다. 전화가 발명된 초기에는 같은 전화국에 연결된 전화끼리만 통화가 가능했다. 시내전화 사업자끼리 상호접속을 통해 시외전화를 하다가 시외전화만 전문적으로 맡는 시외전화 사업자가 출범하여 분업화된 것이다. 그 이후에는 시설의 효율화나 사업자간의 흡수합병 등으로 통화권이 점점 넓어져갔다. 한국만 해도 전화사업 초기에는 교환장치가 들어가는 시, 읍, 면 단위로 통화권을 구분했으나, 시설의 효율화로 통화권이 광역화되어 시·군 단위, 넓게는 2~3개의 시·군이 하나의 통화권이 되었다.[1]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독점시장
- 다른 망과 직접 연동
- 장소특정 용이
- 보편적 역무 제공대상
- 집에 전화를 두려면 반드시 시내전화에 가입해야 하므로, 시내전화는 최대한 많은 사람이 누릴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인적이 드문 지역은 요금 수입이 낮아서 사업자가 인프라를 설치하지 않으려 한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불하고 서비스 공급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보편적 역무"제도다.
각주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통화권별 행정구역>
- ↑ 제2시내전화사업자 하나로통신 공식 출범, 연합뉴스, 1997.09.23.
- ↑ 시내전화 3파전 속 KT 독주 여전, 파이낸셜뉴스, 200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