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Cat feeder.jpg

스마트홈(Smarthome) 또는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는 가전제품을 네트워크에 연동시켜 똑똑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가정자동화란 본래 가전제품이 등장한 초기에 집안일을 기계에 맡기는 것을 말했다. 가스등이 전구로 바뀌고, 벽난로에서 나무에 불피워서 조리하던 것을 가스레인지로, 손빨래 하던 것을 세탁기로 하는 등 가사노동의 부하를 저감하는 데 집중했다.

전화를 통해 가정자동화가 진보하면서 초보적인 스마트홈이 등장했다. 전화 회선을 통해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지고, 센서를 연결해 방범이나 화재경보를 통보하는 수준까지 갔지만 그 수준에서 그쳤다. 비용은 둘째치더라도 이동통신의 부재로 "어디서나"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이 등장하고, 사물인터넷으로 가전제품에 값싸게 네트워크를 접목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홈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주요 IT기업들이 스마트홈 솔루션을 앞다투어 내놓고,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어디서나 스마트홈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이런저런 지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접목 분야[편집 | 원본 편집]

  • 무인경비
    CCTV를 저렴한 가격에 도입할 수 있게 되었고, 센서류도 연결선을 부설할 필요없이 Z-wave나 블루투스, 와이파이로 무선연동되면서 무인경비 솔루션을 싸고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도어센서, 동작감지기 등으로 부재시의 주택 내 동태를 확인하고, 이상 통보가 들어오면 CCTV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화재경보기를 부착한 경우 자동으로 소방서에 통보되도록 할 수 있다.
  • 냉·난방
    스마트홈을 지원하는 에어컨, 보일러를 통해 실내 온도센서에 따라 실온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가 높을 경우 공기청정기가 자동으로 제어될 것이다.
  • 원격제어
    스마트홈의 기본기 중 기본기. 스마트폰 어플 등을 통해 가전제품을 원격제어할 수 있다. 단, 세탁기를 돌리려면 빨랫감을 넣어야 하는 데 빨랫감은 자동으로 넣을 수 없으므로 이건 좀 더 미래에 기대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편집 | 원본 편집]

  • 스마트홈 허브
    가정내 스마트홈 가전들의 제어를 집약하기 위한 기기. 삼성 스마트싱스, 월패드 같은 단독형 기기와, 스마트 스피커 같은 클라우드형 기기로 구분된다. 단독형 기기는 인터넷이 없어도 되나, 클라우드형 기기는 인터넷이 있어야 한다.
  • 브릿지
    지그비, Z-wave, 블루투스 같은 PAN만 있고 와이파이이더넷이 없어서 LAN에 접속할 수 없는 기기들을 연동할 때 사용하며, 보통은 허브가 브릿지를 겸하며 음영구역에 브릿지를 쓰는 형태가 주류다. 허브와 허브간 정보를 공유하는 기기도 브릿지라고 부른다.
  • 스마트 스위치·콘센트
    스마트홈에 연동되지 않는 조명, 가전을 단순 연동(전원 ON/OFF 정도만)하기 위해 사용한다. 스마트 스위치의 경우 3선식과 2선식으로 나뉘는 데, 한국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스위치가 2선식으로 가설되어 있으므로 2선식 스위치를 찾아 써야 한다.
  • 센서류
    도어감지기, 동작감지기, 가스누출경보기, 온습도 센서 등 가정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들이다. 센서에 특정 입력이 들어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거나, 특정 가전을 가동하는 식으로 조정한다.
  • IR송신기
    리모컨 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홈 비연동 가전을 스마트홈에 연동하기 위한 기기로, 만능리모컨처럼 리모컨 신호를 흉내낼 수 있다. 작동확인 피드백이 없다는 게 흠.

주요 솔루션[편집 | 원본 편집]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