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에서 넘어옴)
서울
서울역 역사 전면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중구
노선 경부선 0.0 km
경의선 0.0 km
서울 지하철 1호선 0.0 km
서울 지하철 4호선 19.7 km
인천국제공항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공항철도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의 도심 터미널역. 경부선 계열 열차들의 시종착지이며, 지하철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이 지나는 거대한 터미널역으로, 역사 전면에는 버스 환승 센터가 설치되어 있어 서울 도심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최초의 서울(경성)역은 '새문외'라 불리던 후대의 서대문역으로, 서울방향의 터미널로 인식되었었다. 이 서대문역은 경인선경부선의 기점역으로 쓰였으나, 경의선이 용산까지 진입하고 열차 편수가 늘어나면서 공간이 부족한 이유로 새로 역의 확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후 서대문역은 1919년에 폐지되었다.

현재의 서울역은 인접한 위치에 있던 남대문역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1915년에 남대문역을 개축하면서 이를 경성역으로 명명하면서 현재의 서울역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1920년대 대규모의 역 건물을 새로 올리고 경의선의 신촌 경유 선로를 개통하면서 서대문역, 용산역, 남대문역 등 각 역에 분산된 터미널 기능을 집약시켜 서울의 중앙역으로서 경성역을 형성하게 되며, 해방 이후부터는 서울역이 되어 서울의 대표역으로 자리잡았다. 구 역사(문화역서울 284)는 1925년에 만들어졌었으며, 모티브는 흔히 암스테르담 중앙역이나 도쿄역으로 알려져있으나 그 두 역보다는 루체른역과 가깝다.

해방 이후 서울역은 수도의 중앙역으로서 이용이 집중되어 남부역과 서부역을 별도로 추가하고, 소화물 처리를 집약한 소화물 센터를 서부역 쪽에 별도로 설치하는 등 역무시설을 사방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다가 시설의 분산과 용량부족으로 한계에 이르자, 민간투자를 유치하여 1987년에 민자역사를 착공, 1989년에 선상역사를 개업하게 된다. 선상역사를 사용개시하면서 구 서울역사는 선상역사의 동측 정면 출입구로 사용되었다.

이후 KTX의 운행을 위해 신 역사를 짓기 시작해, 2003년 말부터 현재의 역사를 사용 개시하게 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지상 서울역 연혁

도시철도 서울역 연혁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개업
  • 1983년 9월 13일: 4호선 역명을 서울역(앞)으로 결정[1]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삼선교~사당 구간 개통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지상[편집 | 원본 편집]

서울
구내 전경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중구 한강대로 405
번호  133   P313 
노선 경부선 0.0 km
경의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코드 AFC: 1001 (경부지상), 1251 (경의선)
일반철도: 001 (발매), 010000 (통계)
승강장 8면 15선

2003년 말부터 사용한 지상 역사는 민자역사 (한화역사)로, 역사 외관에 유리를 사용해 이른바 코레일의 유리궁전 스타일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지상 승강장은 8면 15선의 구조로, 동쪽 구석의 1, 2번 승강장과 서쪽 구석의 서부 승강장만이 두단식 고상 승강장이며, 나머지 승강장은 통과역형 저상 승강장으로 되어있다. 두단식 고상 승강장은 일부 누리로 열차나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열차 등 고상 대응이 가능한 열차만 투입되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반드시까진 아니지만, 가능하면 일반열차의 대부분은 배선상 기관차 등을 돌릴 수 있게 만들어진 3 ~ 6번 승강장을, KTX의 대부분은 단순 섬식인 7 ~ 14번 승강장을 사용하도록 배정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객실정리 후 하행으로 투입하는 열차도 일부 있으나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라 할지라도, 많은 열차들은 행신이나 수색으로 회송 절차를 거친다. 이 때문에 두단식에 가까운 경의선 방향 선형이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었고, 하단에서도 언급하겠지만 이 때문에 개량 공사를 들어갈 정도다.

최초에 서울역은 터미널역이었으나, 본래 경의선의 본선이던 용산선 대신, 신촌을 경유해 서울역으로 들어오는 선로를 신설하고, 경의선으로 하면서 서울역은 통과역이 되었다. 이 때문에, 남쪽으로는 비교적 쭉쭉 뻗어나가는 형태지만, 북쪽으로는 굉장히 비좁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서울역 구내가 끝나는 시점에서 건널목과 함께 급커브 구간을 지나게 된다.

현재의 역사 구조는 선상역사로, 1층에 승강장이 있고, 2층에 역사 본 대합실이 있는 형태다. KTX 전용 대합실을 계획해 3층에 만들어두었으나, 자동 개찰 폐지 등 여러 가지 사유로 현재는 2층과 3층의 열차 구분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다만, 안내상에는 여전히 3층 대합실은 KTX 위주로 표출되기는 한다. 3층 대합실 한켠에는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위치한다. 2층 서부역사 출입구 인근에는 TMO가 위치해 있으며, 2층과 3층 모두 역사와 연결된 롯데 패션 아울렛과 인근 롯데마트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2009년부터는 경의선이 전철화되어, 서울역 본역사에서의 경의선 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 대신 수도권 전철 노선이 운행되기 시작했다. 구내 배선상 별도 통로를 만들기 어려워 전용 단선 고상 승강장을 역사 서편에 건설하고 별도의 역사로 운영하였다. 다만 선로 용량 제약으로 운행 시격이 30분에서 1시간에 이르기는 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별도 역사를 쓰다보니 환승객 불만이 이어지자, 환승 할인혜택을 적용해주었다.

2016년 5월부터 서울역 구내 개량공사가 진행되면서, 경의선 방면의 열차는 아주 제한적으로만 운행된다. 이는 서울역 북부 구내의 제한속도 문제 뿐만 아니라, 선로 배치상 접근 가능한 선로의 변경 등을 위한 개량이며, 이 때문에 서울역 경유 화물 열차 일부를 교외선으로 우회시키며, 서울역 발착 관광 열차 일부를 용산역 발착으로 전환하고, 경의선 전철의 경우 대부분의 편을 운휴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하였다. 공사는 2016년 7월 중에 종료되었으며, 열차 감축 등의 조치도 종료되었다.

2016년 12월 9일, SRT의 개통과 함께 개정된 시각표에 의해, 그간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 전용 시/종착역이었던 서울역에서도 호남선, 전라선 KTX가 매일 12왕복 편성되어 운행을 개시했다.

경의·중앙선[편집 | 원본 편집]

지상 서울역 승강장 위에 있다. 그러나 승강장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환승 시 나갔다가 다시 들어가야 한다.

KTX · 일반열차 · 1호선 서울역급행[편집 | 원본 편집]


전철용 승강장인 1·2번 승강장은 설치만 해두고 개집표는 서울교통공사 서울역에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7년 3월 24일부로 3·4번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환승통로와 개집표기가 설치되어 이름으로만 존재하던 국철 서울역이 실현되었다.[2]

2017년 11월에 평창동계올림픽에 맞춰 인천국제공항-강릉 간 경강선 KTX운행을 위해 역 구내 배선 변경 및 승강장 이설공사를 했다. 서부에 있는 경의선 시종착 승강장을 동측 구역(문화역서울 284)으로 옮겨 2017년 11월 28일 개장했으며, 문화역서울 오른편에 1번 폴이 서있다. 형태는 기존과 동일한 바로타 구조.

지하[편집 | 원본 편집]

서울역
지하철 역 입구 (야간)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2 (1호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 (4호선)
번호  133   426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0.0 km
서울 지하철 4호선 19.7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코드 AFC : 0150 (1호선), 0426 (4호선)
승강장 1면 2선 (1 · 4호선)

도시철도의 경우 1974년부터 당시 역명 서울역앞역으로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역명은 서울이 아니라 서울역으로, 역이 들어간 표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서울역 앞의 역이란 뜻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몇몇 동호인들은 서울역역 등으로 부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모든 안내에서 역을 붙이는 형태로만 사용할 뿐, "역역"과 같은 중복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여기서도 단순히 서울역으로만 표기하도록 한다.

1호선은 서울역 직전에야 지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승강장이 비교적 낮은 심도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고, 일반적인 건물의 지하 2층 정도 되는 깊이에 승강장이 있다. 이는 당시 1호선과 한국철도공사의 전신인 국철이 직결 운행을 결정하면서, 광역전철과 도시철도의 직통 운행을 개시하는 방식으로 운행이 이루어졌기 때문인데[3], 서울역 구내 동쪽 구석에서야 지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심도가 얕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이후 지어진 4호선은 처음부터 지하철 구간이었으며, 퇴계로를 따라가기 위해 서울역의 전면이 아닌 약간 남쪽에 치우쳐져 지어졌으며, 1호선보다는 깊은 곳에 승강장이 위치하고 있다. 4호선의 역사 내부 벽은 벽돌 기조를 사용하고 있다.

양 역 모두 곡선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역사는 이용 인원에 비해서 상당히 비좁은데다가, 시야가 불량하기 때문에 스크린도어 사고가 몇 번 일어났다.

서울역에 1호선 - 4호선 단선 인입선을 만들 계획이 있었으나, 창동차량사업소경원선 인근 쌍용양회 공장을 잇는 화물선을 이어서 4호선 전동차를 반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현재 인입선은 철거된 상태이나, 안산선, 금정역을 통해 4호선과 일반철로가 연결되기 때문에 신차 반입에는 문제가 없다.

2015년 역사 내 모든 화장실을 일괄적으로 리모델링하여 상당히 쾌적해졌다.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4호선[편집 | 원본 편집]

공항철도[편집 | 원본 편집]

서울
서부 공항철도 역사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번호  A01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0.0 km
관할 공항철도
개업일 2010년 10월 29일
코드 AFC: 4201
일반철도: C10000 (통계)
승강장 2면 3선

2010년 들어서는 지하 7층 대심도로 공항철도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서울역 서편에 별도의 지상 역사가 마련되었으며, 장대 에스컬레이터로 승강장과 역사를 이어놓았다. 또, 도심공항터미널을 설치해 직통 열차의 이용객의 출국 수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공항철도 역사 지상부분은 철도공사측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환승통로를 경유하는 경우 지상역사로 가기 위해서는 1호선 지하서울역을 경유하여야 한다.

공항철도 직통열차의 기점으로, 직통열차의 착발 승강장을 별도의 운임구역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맞이방에서 직통열차 전용 개집표구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개집표기를 통과하여야 한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4]
목적지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청량리
방면
구로
방면
당고개
방면
오이도
방면
인천공항
방면
문산
방면
출발지 1호선 청량리 방면 - 모든 문 10-4
(5-1)
7-3
(5-1)
구로 방면 모든 문 - 1-2
(7-1)
4-3
(7-1)
4호선 당고개 방면 1-1
(9-2)
- 모든 문 3-4
(9-2)
1-1
(9-2)
오이도 방면 10-4
(2-3)
모든 문 - 8-1
(2-3)
10-4
(2-3)
공항철도 당역 종착 5-1
(4-1)
- 5-1
(4-1)
경의·중앙선 당역 종착 1-1 -


1, 4호선과 공항철도를 잇는 지하통로가 개통되면서 4호선 ~ 공항철도 환승시간이 15분에서 6분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환승하기 위해서 많이 걸어야 한다. 1호선 입장에서 공항철도 환승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일단 4호선 방향으로 계속 걸어서 온 다음에 오른쪽 방향으로 뚫린 환승통로를 타고 열심히 걸어가면 된다. 계속 깊숙히 들어가는 느낌으로. 환승통로의 맨 끝에는 더 아래의 지하층으로 들어가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야 한다. 길 자체가 미로 같은데다가 중간중간 꺾이는 곳이 있고, 내려가면서 계속 에스컬레이터를 수시로 타기 때문에 환승통로 자체의 길이는 500미터 정도지만 수직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상당하기 때문에 체감하는 환승통로의 길이는 거의 1 km 정도는 될법한 느낌을 받는다.

사실 더 심각한 건 1호선 ~ 공항철도인데, 공항철도 수요 중 공항 방문객 같은 경우 수하물을 가지고 있기 마련인데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구간이 있다는 점이다. 서울역 구내 지하가 복잡하다보니 어쩔 수 없었긴 한데 이 때문에 불만이 계속 제기된 편.

하지만 경의선 서울역은 환승통로마저 없기 때문에 역외 환승 (이른바 소프트 환승)으로 역을 나갔다 들어와야 한다. 원래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질렀는 데 문화역서울284 부근으로 승강장이 옮겨오면서 이동거리가 대폭 축소되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의 건너편엔 서울 스퀘어와 남대문 경찰서가 위치해 있다. 서울 스퀘어와 남대문 경찰서 부근은 과거에는 '양동' 이라고 불리우는 집창촌이 있었다고 한다. 경찰서가 엎어지면 코닿을 곳이였으니 더더욱 흠좀무.(...) 도시정비 사업으로 꽤 오래전에 없어지긴 했으나 주변골목 판자촌에서 성매매가 이뤄졌었다. 따라서 밤에 서울역 건너편이나 남대문 가는 방향 골목을 지나다 보면 할머니들이 지나가는 남자를 붙잡으며 "총각 쉬다가" 하면서 호객행위를 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모습은 판자촌들이 모두 철거되어서 2017년 기준으로는 더 이상 볼 수없게 되었다.

역 바깥에 위치한 롯데리아 옆 건물(근생빌딩)은 대부업체 들이 들어서 있다. 대부업체들이 한 건물에 쫙 늘어져 있는지라 죽음의 빌딩,절망의 탑, 대출사지 5층석탑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역 광장과 지하도 부근에 노숙인들이 있어 밤이 되면 역 바깥 주변은 치안이 좋지 못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곳은 영등포역과 함께 노숙인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다.

또한 서울로7017도 근처에 있다.

과거에 역주변에 서울역 게임시티 1호점 오락실과 서울역 게임시티 2호점 오락실토탈 오락실 서울역점과 서울역 첨단 오락실이 역근방에 존재하였으나 재정적자나 임대료 상승이나 코로나19의 대유행과 바다이야기 사태등으로 인하여 하나둘씩 문을 닫게 되었다. (다만 서울역 게임시티의 경우 바다이야기 사태가 터진 이후에 생긴 오락실이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서울역 동쪽 역사 전면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서울역 3번 출구, 숭례문(옛 YTN 타워) 등에 정류장을 가지고 있다.

주변 버스 승강장 정보
승강장 행선지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승강장 (02-003 ~ 02-007)
1 · 2 택시 승강장
3 용산 · 마포 · 공덕 · 인천공항 방면 서울 지선버스 1711, 7016·공항버스 6001, N6001, N6002
4 구로 · 광명 · 시흥 · 과천 · 안양 방면 서울 간선버스 100, 150, 151, 152, 162, 202, 421,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750A/B, 751, 752
서울 심야버스 N15
5 강남 · 송파 · 성남 · 판교 · 수원 방면 서울 간선버스 104, 401, 402, 406, 463, 604, 701[5]
서울 지선버스 7011, 7013A/B·서울 광역버스 9401·서울 심야버스 N16, N30
경기 직행좌석 광주(1150, 5007, 5500-1, 5500-2, 9000, 9000-1)
용인(5000A/B, 5005), 수원 7900, 성남(9003, 9007, 9200, 9300)
경기 간선급행 광주 8100
6 은평 · 고양 · 파주 · 중랑 · 구리 방면 서울 간선버스 103, 173, 201, 261, 262, 603, 701[6], 702A/B, 704, 708
서울 지선버스 7017, 7021, 7022, 7024
경기 직행좌석 광주 9301, 화성 4108·경기 간선급행 수원 8800
국토교통부 광역급행 M4108, M4130, M4137, M5107, M5115, M5121
7 한국은행 · 시청 방면 서울 간선버스 100, 150, 151, 152, 162, 500, 501, 502, 504, 506
서울 지선버스 1711, 7016·서울 심야버스 N15
서울역 [3번 출구 앞] (02-665)
가변 공항 방면 공항버스 6001, 6021
숭례문 (02-117, 02-118)
02-117 [세종대로1길 편의점 앞]
고양 · 일산 · 파주 방면
서울 광역버스 9703, 9709, 9714
경기 직행좌석 고양(1000, 1100, 1200, 1900), 김포 2000, 파주 9710
경기 굿모닝 G7111·경기 시내일반 고양(790, 799)
국토교통부 광역급행 M7106, M7111, M7119, M7129
02-118 [YTN 타워 횡단보도 앞]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용산 방면
서울 간선버스 104, 400, 700, 707·서울 지선버스 7021
경기 시내일반 고양(790, 799)·경기 직행좌석 파주 9710-1
서울역 역전우체국 (02-505, 02-685, 02-694)
02-505
02-685
(11-013)
[역전우체국 앞]
김포 · 인천 방면
인천 광역버스 1000, 1100, 1101, 1200, 1300, 1301, 1302, 1400, 1500, 1601, 1800
서울 마을버스 종로11·공항버스 6021, 6702·국토교통부 광역급행 M6117, M6724
02-694 [역전우체국 맞은편]
고양 · 인천공항 방면
서울 광역버스 9701·공항버스 6702
서울스퀘어앞 (02-505, 02-685, 02-694)
02-282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맞은편]
회현역 방면
서울 간선버스 421, 505, 507·서울 순환버스 03·공항버스 6001
남대문경찰서 (02-218)
가변 [서울시티타워 앞]
숭례문 · 회현역 방면
서울 간선버스 202, 400·서울 순환버스 03
서울역 [11번 출구 앞] (03-198)
가변 [게이트웨이 타워 앞]
후암동 방면
서울 간선버스 400, 605

사건 · 사고[편집 | 원본 편집]

서울역 압사 사고

미래[편집 | 원본 편집]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현재 경부·호남 고속철도, 경부선 일반철도, 경의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4호선, 공항철도 등 총 7개 노선이 모이는 서울역에 추가적으로 수색~서울~광명역간 고속철도 지하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B노선, 신분당선, 신안산선 등 5개 신규노선이 추가되는 계획이 잡혀있다.[7] 5개 노선 모두 지상이 아닌 지하로 연결될 것으로 보이며, 현재 서울역에서 가장 심도가 깊은 노선은 지하 7층에 승강장이 위치한 공항철도이다.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 패스트푸드점의 경우 2층에는 맥도날드롯데리아가, 3층에는 버거킹KFC가 있어서 골라잡을 수 있다. 무한경쟁체제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그리고 버거킹과 KFC 모두 매장들이 붙어있는 구조라서 취향에 따라 점포를 선택하기 용이하다.
  • 강남역과 함께 몰래카메라 촬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라고 한다.[8]
  • 철도공사의 서울역에 있는 급행용 고상 승강장은 실은 경인선 복선화 당시에 만들어진 경인선 착발용 승강장을 개축한 것이다. 이 승강장이 있어서 전철영업을 하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정작 경의선 외에는 직영하는 전철 역무시설이 없어서 실제 "철도공사 1호선 서울역"에서 개집표를 하는 것은 정상적으로는 불가능했으나... 2017년 3월 24일 부로 지상역 1호선 개찰을 신설하게 되어 철도공사의 1호선 서울역 개집표가 가능해졌다.
    • 이와 관련해,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 통계 표에 따르면 2016년 이전의 경부선 서울역 승하차가 잡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 통계가 기본적으로 (한국)철도통계연보식으로 통과인원에 따른 계산을 내기 때문이다. 즉, 개찰구 통과 인원이 아닌 경부선 방향으로 승차하는 인원의 집계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이 수치에 잡히는 것. 이외에 교통카드 수치에서도 간혹 찍히는 경우는 부정승차를 잡았을 때 역 코드를 수동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서울역으로 입력하여 생기는 것이며, 정상적인 개집표기에 의한 승하차 기록은 없었다.
  • 타는 곳 3번과 4번 사이의 섬식 승강장에는 철도기점을 표현한 조형물이 있다. 위치는 부산방향으로 내려가서 스토리웨이 편의점을 지나서 조금 걸어가면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단순한 비석 형태로 철도기점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나, 경부고속철도 개통 즈음에는 KTX의 동력차 위에 비석이 솟아있는 형태의 조형물이 존재한다. 과거 조형물은 현재 의왕역 인근 철도박물관 장내에 보존되어 있다.
  • 영화 부산행을 촬영했었다.

사진[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기점) 서울 부산 방면
남영 1.7 km
(기점) 서울 도라산 방면
신촌 3.1 km
(기점) 서울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덕 3.3 km
(기점) 서울역 청량리 방면
시청 1.1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시·종착)  133  서울
서울역급행
(출퇴근한정)
<< 서울 방면
 139  영등포
천안 방면
 P144  금천구청
청량리 방면
소요산 방면
 132  시청
 133  서울역
천안·신창급행
완행
신창 방면
인천 · 신창 방면
 134  남영
4호선
당고개 방면
 425  회현
 426  서울역 오이도 방면
 427  숙대입구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P314  신촌
 P313  서울 (시·종착)
인천국제공항철도
(시·종착)  A01  서울
일반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A02  공덕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전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동해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전라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중앙선 (서울 -) 청량리 - 상봉 - 양평 - 서원주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강릉선 (행신 - 서울 -) 청량리 - 상봉 - 덕소[9] - 양평 - 서원주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 - 강릉
강릉선 (서울 -) 청량리 - 상봉 - 덕소[10] - 양평 - 서원주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 - 정동진 - 묵호 - 동해
ITX-마음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구포 - 부산
ITX-새마을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경전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무궁화호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경부충북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오산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봉양 - 제천
남도해양열차 전라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공항철도 직통열차 서울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2. 서울역-지하철 1,4호선 직통환승통로 신설, 머니투데이, 2017.03.24
  3. 서울의 양대 터미널역인 서울역과 청량리역간을 잇는 노선이란 점에서도 유럽의 S반 등과 비슷한 방식이라고도 볼 수 있을 정도다.
  4. 1. 출발지나 목적지가 경의·중앙선이라면 개찰구 밖 비운임구역으로 반드시 나가야 한다. 교통카드 사용자만 개찰구에서 개찰구까지 30분 안에 도착하면 환승할인이 되지만 수도권 통합 요금제의 환승 횟수가 늘어나지 않는 일반적인 지하철 노선끼리의 환승과 다르게 환승 횟수가 1회 더 늘어난다. 1회용 교통카드는 기본요금을 또 지불해서 새로 뽑아야 하고 정기권은 사용 횟수가 1회 더 차감된다.
    2. 괄호 안의 표기는 엘리베이터 위치이며 해당 위치에 있는 1호선, 4호선, 공항철도의 승강장 엘리베이터가 모두 대합실의 운임구역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로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간의 환승을 할 때는 비상게이트를 이용해서 비운임구역으로 반드시 나가야 한다.
  5. 을지로2가 방면
  6. 진관동 방면
  7. 서울역에 5개 노선 추가된다…'통일시대 교통허브' 개발, 연합뉴스, 2017년 5월 23일
  8. 한수진, "성추행 범죄 가장 많은 역은? 신도림·서울역·강남역…", SBS, 2015.04.29
  9. 주말 왕복 1회 정차
  10. 주말 왕복 1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