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호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새마을호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사건 정보
날짜 2002년 5월 1일
장소 율촌역, 삼례역, 함열역 인근
원인 보행자들의 부주의 및 고의 무단횡단
인명피해 사망 3명

개요[편집 | 원본 편집]

2002년 5월 1일, 당시 여수역(현 여수엑스포역)을 오전 10시 20분 출발하여 서울역으로 향하던 새마을호 #162열차(디젤기관차 7408호 견인)가 운행 도중 무려 3번 연속으로 건널목 인명 사고를 낸 사건이다. 이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상에서도 완전히 전례없는 사건이었으며, 이 사고로 인해 괴담이라는 괴담은 다 터져 나왔다.

과정[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에서는 사고 당시의 과정 및 상황을 설명한다.

열차의 출발과 첫 번째 사고[편집 | 원본 편집]

7408호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던 #162 새마을호 열차가 여수역을 출발하였다. 이 때까지만 해도 열차의 분위기는 매우 평화로웠으며, 여느 때나 다를 것 없이 평범하게 목적지인 서울역을 향해 열심히 달리고 있었다.

그러나 출발한지 30분도 채 되지 않은 오전 10시 45분경, 율촌역 인근 건널목을 통과하던 중 첫 번째 사고가 발생했다. 율촌역 인근 여흥 건널목을 건너던 당시 81세의 이 모씨가 열차에 치어 사망하였다.[1] 2002년 당시에는 워낙 건널목도 많고 때문에 무단횡단을 하던 사람들도 심심찮게 있었기에 이때까지는 그냥 평범한 건널목 사고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발생한다...

두 번째 사고[편집 | 원본 편집]

기관사를 교체하고 다시 운행을 재개한 열차는[2] 오후 1시 5분, 또다시 두 번째 사고를 낸다. 삼례역 구내의 익옥천 철교를 건너가던 당시 82세의 강 모씨가 또다시 열차에 치어 숨지게 된 것. 이 때부터 어떻게 사고가 두 번이나 연속으로 나냐며 온갖 괴담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겁에 질릴 대로 질려버린 승객들은 중간에 하차하여 환불까지 요구하기도 했다고 한다. 어쨌든 사고 수습 후 기관사가 재차 교체된 열차는 운행을 재개한다. 그런데 말도 안되게도...

불과 40분만에 일어난 세 번째 사고[편집 | 원본 편집]

호남선 구간으로 진입하여 운행하던 열차는 함열역 인근 건널목을 통과하던 중, 또다시 세 번째 사고를 낸다. 함열역 인근 건널목을 자전거를 타고 건너던 당시 90세의 구 모씨가 열차에 치어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 두 번째 사고가 발생한지 불과 40분 정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일어난 세 번째 사고였으며, 승객들은 똑같은 날 똑같은 열차에 각각의 지역에서 3번이나 인명 사고가 난 사실에 경악을 했다. 그럴 만도 한 것이, 한 열차에 하루에 3명이 치어 죽었다는 것은 대한민국 역사상 전례없는 사건이었으며, 어떻게 보면 정말 소름 끼치는 사건이다. 그래도 운행은 완전히 끝마쳐야 하기에 열차는 사고를 수습하고 기관사를 교체하여 간신히 서울역에 도착하였다. 해당 열차를 탑승했던 승객들에게서는 온갖가지 괴담과 썰이 터져 나왔다.

사고 여파[편집 | 원본 편집]

이 사고로 열차에 받힌 이 모씨와 강 모씨, 구 모씨 가 그 자리에서 숨졌으며, 사고 열차 역시 연속된 사고로 지연이 가중되어 목적지인 서울역에는 예정시간보다 무려 36분이 지연되어 도착하였다.

사고 원인[편집 | 원본 편집]

보행자의 무단횡단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기관사에게 책임이 있는 것인지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열차를 운행하다 사고를 냈던 3명의 기관사 모두 사고를 부를 만한 부적절한 행위를 하지 않았기에, 과실이 없는 것으로 판명이 났으며, 모든 책임은 보행자에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사실 이는 당연한 얘기인데...

우선 3명의 보행자는 모두 철길을 무단횡단을 하다가 사고를 당하였으며, 이는 자살 행위나 다를 바가 없다. 철길을 건널 때에는 접근하는 열차가 없는지 확인한 뒤 건너는 것은 정말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상식이며, 건널목마다 신호기와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의 접근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설치되어 있는 부저도 시끄럽게 울어대며 열차의 접근을 알린다. 그러나 이 3명의 피해자들은 앞의 안전 시설들이 경고를 보냈음에도 이를 싸그리 무시하고 철길을 무단횡단하였으며[3], 특히나 관리원이 항상 상주하고 있는 유인 건널목에서 사고를 당한 세 번째 사고의 피해자 구 모씨는 해당 건널목 관리원이 온몸으로 강력하게 제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무단횡단을 하다 사고를 당하였다. 또한 두 번째 사고를 당한 강 모씨는 이것도 모자라 건널목도 아닌 철길에 무단침입하여 건너가다 사고를 당하였는데, 이는 열차 입장에서는 완전히 날벼락을 맞은 꼴이며, 무엇보다도 철길을 건너가려면, 건널목이나 다른 우회 도로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기본 상책이다.

또한 기관사에게도 과실이 없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60km/h의 속도로 달리던 열차는 비상제동을 즉시 체결할 시, 최소 140m 가량의 제동거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해당 열차에 승객들이 많이 타고 있었을 테니, 제동거리가 당연히 더 길어졌을 테고 말이다. 결국 기관사는 사고 발생 직전의 현장을 목격한 순간, 비상제동을 체결한 뒤 제발 열차가 멈추기를 기도하는 것 말고는, 또한 사고 발생 순간 눈을 질끈 감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건널목 관리원 역시 사고를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여 피해자를 제지하였지만, 피해자가 이를 무시하고 거의 도망가듯이 건너가다 사고를 당한 것이기에 관리원에게도 사고에 대한 책임이 없다.

사고 이후[편집 | 원본 편집]

코레일은 비록 본인들의 잘못은 없었지만, 유족들에게 피해자들의 징례비를 지급하여 주었다.

대한민국 역사상 초유의 이번 사건은 발생 이후 온갖 괴담이 떠돌아 다녔는데, "어떤 영혼이 피해자들의 마음을 움직여서 열차가 다가오는 건널목으로 이끌었다.", "해당 열차(7408호)는 이전에 사람을 수십 명을 친 이력이 있는 기관차이다." 등 괴담을 넘어 유언비어까지 다 터져 나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다.

사고를 냈던 7408호 디젤기관차는 현재는 정상적으로 운행에 투입되어 운행되고 있다. 비록 사고 당시 운행했었던 노선에는 더 이상 운행되지 않지만[4], 전라선과 호남선에는 무궁화호 등의 열차로 자주 투입되어 운행되는 편인 듯 하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해당 열차는 목적지인 서울역에 도착하자마자 열차에 받혀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들을 위해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 사고 당시의 열차 번호의 자릿수를 모두 더하거나 기관차 번호의 자릿수를 모두 더하면 일의 자리 숫자가 미신을 뜻하는 9가 된다는 괴담까지 떠돌기도 했다고...[5]

각주

  1. 당시 열차의 앞쪽 칸에 탑승했던 승객들은 피해자의 혈흔이 보였다고...
  2. 운행 중 철도 인신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장면을 정면으로 마주한 기관사를 고려하여 열차의 기관사가 교체된다.
  3. 물론 고장났으면 얘기가 달라진다.
  4. 물론 사고 때문에 투입되지 않는 것은 아니고, 해당 노선은 ITX-새마을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5. 사고 당시 162열차, 1+6+2=9, 7408호 기관차, 7+4+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