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도

삭도(索道, ropeway)란 공중에 설치한 밧줄에 궤도차량을 매달아 운행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수단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삭도는 섬유질이나 금속 등으로 만든 밧줄을 하나 또는 다수를 매달고, 그 사이를 운반기구가 왕복하여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수단으로 이른바 케이블카리프트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때 운반기구는 자체 동력을 가지지 않고 밧줄의 움직임에 따라 수동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삭도는 공중에 매달린 밧줄을 사용해 움직이기 때문에 밧줄을 지탱하기 위한 지주나 운반기구를 제어하거나 동력을 공급하는 양 끝단의 정류장을 제외하면 지형조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형지물을 극복하기 위한 토목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덕분에 거친 산악지대나 바다나 강 위를 건너다니기 위한 교통수단으로 종종 사용된다.

국내에서 삭도는 궤도운송법의 관할을 받는 교통수단이다. 궤도와 삭도는 기술적으로 연관관계가 거의 없어 보이지만, 전용으로 써야 하는 궤도 내지 삭도라는 구조물 위에서 독점적으로 교통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유사성을 가지는 걸로 보아 하나로 묶은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구 궤도·삭도법을 입법할 때는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기술적 특징에 따른 구분[편집 | 원본 편집]

  • 왕복식 삭도 : 전통적으로 말하는 케이블카가 이 방식이다. 밧줄에 운반기구를 매달고 이걸 왕복시켜 운행하는 방식이다. 2개의 운반기구를 교호로 운행시키는 방식으로 운행하며, 대개 대용량의 밀폐식 구조를 가진 운반기구를 사용해 운행한다.
  • 자동순환식 삭도 : 밧줄이 순환하여 회전하는 상태에서, 운반기구가 여기에 체결(악삭)하거나 이를 해방하는 식으로 운행하는 방식이다. 대개 체결과 해방은 승강을 실시하는 정류장에서 실시하게 된다. 이런 운행방식으로 인해서 승강시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고 복수의 운반기구를 한 케이블에 설치하여 이용하는게 가능해진다. 밀폐식 운반기구를 쓰는 경우에는 케이블카라고 하고, 개방형 운반기구를 쓰는 경우 대개 리프트라는 표현을 쓴다.
  • 고정순환식 삭도 : 앞서의 자동순환식 삭도와 달리 단순히 회전하는 밧줄에 일정 간격으로 운반기구를 매달아놓은 물건이다. 스키장 등에 설치된 리프트가 이 타입의 장비이다.
  • 견인식 삭도 : 활주식 리프트라고 하기도 한다. 고정순환식에 가깝지만, 아예 운반기구가 따로 없이 사람이나 물건이 매달릴 수 있는 간단한 기구만 달려있는 식이다. 이걸 몸에 달거나 붙잡아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가장 단순한 방식이다.
  • 화물 삭도 : 앞서 언급한 각 삭도 외에 주로 화물의 운반용도로 쓰는 것을 화물 삭도로 분류한다. 고정 설치된 경우도 있지만 공사 등의 목적으로 가설되는 것도 많으며, 지상에서 따로 와이어를 달아 견인하거나, 운반기구 스스로의 힘으로 자주하거나 심지어 미끄러져 내려가는 식으로 쓰기도 한다.

밧줄 방식에 따른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단선식 : 하나의 밧줄과 추진과 하중을 모두 받아내는 방식이다. 가장 간단한 방식이다.
  • 2선식 : 하중 지지용의 밧줄(지삭)과 견인용의 밧줄(예삭)을 하나씩 두고 사용하는 방식이다.
  • 3선식 : 지삭이나 예삭 중 하나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예삭을 2개를 쓰는 방식이 흔하다.
  • 4선식 : 지삭과 예삭을 모두 2개씩 설치하는 방식이다.

목적에 따른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관광용 : 이른바 일반 여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목적으로, 대개 산악이나 해양지역의 전망을 보거나 이동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스키용 : 스키장에 설치된 것들로, 대개 코스 하단에서 상단까지 이동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화물용 : 화물 삭도들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시설 등에서 소요되는 물자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