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

(불어에서 넘어옴)
프랑스어
Français
Map-Francophone World.png
파란색은 모국어, 하늘색은 공용어
언어 정보
지역 본문 참고
사용인구 약 2억 8000만 명
공용어 프랑스 등 29개 나라
표준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자 로마자
언어계통
ISO
639-2 fra
639-3 fre

프랑스국어. 유럽연합 내에서 가장 입지가 큰 언어이며, 국제연합의 공식 6대 세계공용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

Librewiki, Droits pour toutes les mains tenant un stylo.
리브레 위키, 펜을 쥔 모든 손에 권리를.

현황[편집 | 원본 편집]

현재 프랑스어가 단독으로 국어로 사용되는 주류 국가는 프랑스 뿐으로, 모나코 공국과 프랑스의 해외영토까지는 언어적으로 프랑스의 직접적인 영향권 하에 있다. 국가공식 공용어 중 하나로 인정받는 경우는 벨기에, 스위스, 캐나다로, 왈롱이라 불리는 남벨기에와 스위스 최서단의 6주(프리부르, 쥬네브, 발레, 보, 쥐라, 뇌샤텔) 그리고 캐나다의 퀘벡지방에서는 프랑스어가 모어로 쓰인다.

이전에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북아프리카 및 서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제1외국어로 사용된다.

현재 프랑스어가 각광받는 곳은 국제무대로, 국제축구연맹과 만국우편연합 등의 단체에서 공용어로 쓰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고대[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어의 기원은 서로마제국의 멸망 후 갈리아 지방에서 건국된 프랑크 왕국에서 찾을 수 있다. 로마인들은 옛부터 라인강 근처에서 살았던 게르만 부족들을 가리켜 프랑크족이라고 하였는데, 이 프랑크족 중 로마제국 영내로 이주해 살던 살리 부족이 서로마제국 멸망 직후의 혼란을 틈타 프랑크족을 규합하여 세운 나라가 바로 프랑크 왕국이다. 프랑크족은 원래 계통적으로 네덜란드어의 직계조상인 고대 저지 프랑코니아어를 모어로 사용했으나, 이들은 프랑크 왕국의 세력이 갈리아 전역으로 뻗어나가면서 지배층으로서 통치 상의 필요 때문에 현지의 피지배층인 북부 갈리아인들이 사용하던 라틴어 사투리를 배워서 쓰려고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켈트화된 속라틴어를 기반으로 고대 저지 프랑코니아어의 요소들이 은은하게 섞인 일종의 피진어가 탄생하였고, 프랑크족이 이 피진어를 대대로 사용하면서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지역 내에서는 게르만어가 완전히 잊혀졌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파리를 중심으로 한 일드프랑스 지역의 방언에서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 방언이 바로 현대 프랑스어의 시조가 되는 프랑시앵어이다. 로마인을 조상으로 둔 주민들이 대대로 라틴어를 모국어로 사용해온 이탈리아, 이베리아, 다키아가 지속적으로 격심한 정치적 혼란에 시달리며 분열되는 와중에도 프랑스 왕국은 장자세습제를 확립하면서 점점 정치적으로 안정되어갔고 이에 따라 각지에 저마다의 방언이 난립하던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왕국의 수도지역인 일드프랑스의 방언인 프랑시앵어의 영항력이 강력해지기 시작하였다.

중세[편집 | 원본 편집]

14세기 부터는 백년전쟁 중 잉글랜드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프랑스인'이라는 국가적 공동체의식이 생겨났고, 지방영주들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으며 국왕이 상비군과 징세권을 가지면서 강력한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프랑시앵어는 수도 지역만의 방언이 아닌 프랑스 전체의 국어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1539년 프랑수아 1세에 의해 '전국의 사법행정에 필요한 모든 소통과 기록에 있어 오로지 프랑스어만을 허용하는' 빌레르 코트레 칙령이 반포되었다.

근세[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 왕국이 강력한 절대왕정과 중앙집권을 바탕으로 한 국력신장과 정정안정을 달성하면서 프랑스어는 단순한 프랑스의 국어가 아닌 서방세계 전체의 고급 국제어이자 외교언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미 레콩키스타의 성공으로 이베리아가 아랍제국의 압제로부터 해방되었으며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이 르네상스를 통해 세계사적 문예부흥을 달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일관되게 높은 문화수준과 정정의 안정을 둘 다 유지하는 곳은 프랑스 왕국뿐이었기 때문에 프랑스어의 범유럽적 입지는 계속 유지되었다. 또한 프랑스의 문학과 철학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 프랑스어의 글말이 완성된 것도 이 시기이다.

근대[편집 | 원본 편집]

잉글랜드나 스페인 처럼 신대륙에 식민지 조성을 시도했다가 별로 재미를 보지 못한 프랑스는 19세기에 들어 제국주의 노선에 따라 북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를 대거 침략하여 정복하였고 이에 따라 프랑스어의 직접적 영향권이 유럽 밖으로도 크게 확장되었다. 또한 근대화라는 세계적 트렌드 속에서 선진문물 도입이라는 명분 아래 수많은 프랑스어 어휘들이 멀리 북유럽어와 러시아어에까지 도입되었다.

현재[편집 | 원본 편집]

그러나 잉글랜드나 스페인과 달리 근대 제국주의 패권국 프랑스가 주로 식민지화를 노린 구대륙 아프리카는 원주민의 문화적 헤게모니를 그렇게 쉽게 바꿀 수 있는 곳이 아니어서 신대륙에 대거 정착한 영어나 스페인어와는 달리 프랑스어 보급률이 떨어졌고,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세계의 패권이 순식간에 미합중국에 쏠리자 영어의 입지가 수직상승한데다 전후 민족주의 열풍으로 식민지들이 죄다 독립해버린 바람에 안그래도 모국어 구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프랑스어의 영향력은 크게 감소하여 현재에 이른다.

계통[편집 | 원본 편집]

로망스어군[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의 언어로서, 프랑스어의 대부분의 어휘가 이탈리아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의 어휘와 같은 어원을 공유하고 있다.

프랑스어와 고전 라틴어 및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고전 라틴어 탈격 네덜란드어
œil olho ojo occhio oculo oog
oreille orelha oreja orecchio aure oor
nez nariz nariz naso naso neus
pied pie piède pede voet
main máo mano mano manu hand
bras braço brazo braccio brachio arm
cou colo cuello collo collo hals


갈로로망스어[편집 | 원본 편집]

로망스어 중에서도 지금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역에서 쓰였던 로망스어는 다음과 같은 지역 고유의 독특한 음운변화가 많이 일어났다.

  • 모음 뒤의 p가 b를 거쳐 v로 변화
  • 모음 사이의 t가 d를 거쳐 소멸
  • 모음 a 앞의 c가 ch로 변화
  • 모음 뒤의 c가 i로 변화
  • a와 e와 o뒤의 l이 u로 변화
  • o가 eu/oe로 변화
  • e가 ie/oi로 변화


갈로로망스어 음운추이의 예시
고전 라틴어 탈격 프랑스어
paupere pauvre(빈민)
opera œuvre(작업)
capillo cheveu(머리카락)
capra chèvre(염소)
patre père(아버지)
matre mère(어머니)
lacte lait(젖)
facto fait(사실)
altero autre(다른)
aliquo aucun(아무)
bello beau(아름다운)
pelle peau(가죽)
molli mou(무른)
collo cou(목)
sorore sœur(자매)
oratore orateur(웅변가)
pede pied(발)
mele miel(꿀)
me moi(나)
te toi(너)


또한 속되게 쓰거나 다른 의미로 잘못 쓴 라틴어 단어에서 파생된 어휘도 많았다.

라틴어 속어 파생 어휘
고전 라틴어 탈격 프랑스어
bucca(뺨) bouche(입)
foco(벽난로) feu(불)
gamba(짐승의 오금) jambe(다리)
homine(인간) homme(남자)
femina(암컷) femme(여자)


그리고 대륙 켈트어에서도 상당량의 어휘가 유입되었다.(다만 대륙 켈트어파 언어들은 이후 로망스어에 밀려 소멸되었기에, 현존하는 켈트어파 언어들과 같은 어원을 공유하는 켈트계 프랑스어 어휘는 얼마 없다.)

켈트어 파생 어휘
아일랜드어 프랑스어
clog cloche(종)
súiche suie(그을음)


번외: 게르만어파로부터 받은 영향[편집 | 원본 편집]

기본적으로 서로마제국령 전역에 걸친 게르만 부족들의 침공과 정복 때문에 어떤 로망스어도 게르만어의 영향을 완전히 피할수는 없었긴 하나, 프랑스어는 본질적으로 원어민으로부터 자손들에게 대대로 전해져오는 언어가 아니라 로마화된 켈트족과 프랑크족 사이에서 형성된 피진어였기 때문에 게르만어의 요소가 훨씬 더 많이 들어갔고, 하여 이러한 심한 게르만화가 프랑스어와 다른 로망스어들과 차별되는 큰 이질성을 갖게 하였다 볼 수 있다.

프랑스어와 고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및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
프랑스어 고대 저지 프랑코니아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청색 bleu blao blauw azzurro azul azul
갈색 brun brūn bruin maronne marrón marron
고르다 choisir kiosan kiezen scegliere elegir escolher
춤추다 danser dansōn dansen ballare bailar bailar
가재 écrevisse krebit kreeft gàmbero congrejo lagostim
증오하다 haïr hatjan haten odiare odiar odiar
핥다 lécher leccōn likken lambire lamer lamber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본 항목에서는 프랑스어가 다른 언어들, 특히 프랑스의 주변국가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들과 명징하게 다른 점을 기술한다.

  • 어말에서 묵음인 자음철자가 많다.

현대 프랑스어는 어말에서는 소리내어 읽지않고 묵음으로 처리하는 철자가 많으며, 일상생활에서는 원래 묵음이 아닌 철자도 묵음에 가깝게 약화시키기도 한다. 이 때문에 프랑스어는 청해를 익히기 힘들고 정확하게 받아쓰는 것도 어렵다.

  • 어말 비음철자의 비모음화와 뭉개짐이 심하다

어말의 n, m은 앞에 오는 모음과 결합해 일본어의 ん에 해당하는 비모음으로 바뀌며, 그 비모음들도 프랑스어 특유의 뭉개짐 현상때문에 본래의 모음 발음을 무시하고 서로 간의 경계가 점점 불분명해지면서 종류가 줄어들고 있다.

  • 철자 상 이중모음의 단모음화가 심하다.

ai -> /ɛ/, ei-> /ɛ/, eu -> /ø/, ou -> /ʊ/, au-> /ɔ/

  • 동음이의어가 많다.

예컨대 프랑스어로 mer(바다), mère(어머니), maire(시장)는 음성기호 표기법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발음이 같다.

  • 로망스어임에도 라틴식 어미 고저 액센트가 없다.
  • 로망스어의 명사 2성체계와 게르만어의 범성대명사 개념을 모두 가진다

오늘날의 게르만어에는 주어가 대명사이고 계사의 보어가 명사구인 경우 보어의 성수에 상관없이 주어는 중성 단수대명사를 범성으로 취급하여 쓰도록 하는 법칙이 있는데 프랑스어는 남성/여성이라는 로망스어 명사의 2성체계를 쓰면서도 게르만어처럼 ce, ça라는 일종의 범성대명사도 쓰며, 심지어 이 범성대명사가 인칭대명사 대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다른 유럽어의 대명사 체계에 익숙하다면 프랑스어의 인칭대명사 체계에는 적응하기가 어렵다.

  • 고립어의 문법용어를 쓰며 주어와 직접목적어는 고립적이지만, 그 외에는 사실상의 굴절어적 특성을 보인다.

명사가 굴절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 à/de/en 이라는 전치사가 한정사 또는 명사와 직접 결합하여 명사의 굴절을 대신한다. 그래서 품사로는 à/de/en이 전치사로 분류되어도 어순상으로는 à/de/en을 전치사로 보지 않으며 따라서 à/de/en은 생략이 불가능하다. 다만 en은 전치사 dans으로 대체되어가는 과도기라서 반쪽짜리이다. 해서 프랑스어는 0+2.5격 언어로 볼 수 있다.

  • 타동사와 직접목적어 사이에 부사나 부사구가 들어간다.

고립적인 직접목적어는 가급적 타동사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굴절적인 나머지 격체/부사구들과 부사들은 자유롭게 타동사와 직접목적어 사이에 자리잡는다.

  • 부정문은 이중부정으로 쓰는 것이 표준이다.

ne ~ pas(not), ne ~ jamais(never), ne ~ personne(nobody)가 대표적이다. 영어와 북유럽어의 부정표현의 분리화(none->not any)와는 다르게 선행하는 ne가 없다고 부정의 의미가 사라지지진 않는다. 구어체이거나 문장이 아닌 경우에는 ne를 생략할 수 있다.

문자[편집 | 원본 편집]

몇가지 확장문자를 추가한 로마자를 사용한다.

  • A a /a/
  • B b /be/
  • C c /se/
  • D d /de/
  • E e //
  • F f /ɛf/
  • G g /ʒe/
  • H h /aʃ/
  • I i /ɪ/
  • J j /ʒɪ/
  • K k /kʲa/
  • L l /ɛl/
  • M m /ɛm/
  • N n /ɛn/
  • O o /ɔ/
  • P p /pe/
  • Q q /ky/
  • R r /ɛʁ/
  • S s /ɛs/
  • T t /te/
  • U u /ʏ/
  • V v /ve/
  • W w /dublve/
  • X x /ɪks/
  • Y y /ɪgʰʁɛk/
  • Z z /zɛd/
  • À à
  • Â â
  • Ç ç
  • É é
  • È è
  • Ê ê
  • Î î
  • Ô ô
  • Œ œ
  • Û û
  • ë
  • ï
  • ü

부호[편집 | 원본 편집]

  • ˊ(양음부호): l'accent aigu(본래의 음가를 유지하여 읽어라)
  • ˋ(억음부호): l'accent grave(뒤에 복자음이 이어졌을 때처럼 읽어라)
  • ˆ(곡절부호): l'accent circonflexe(원순화 시켜 읽어라)
  • ¨(분음부호): le tréma(앞의 모음과 따로 떼어서 읽어라)

음소[편집 | 원본 편집]

자음[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어의 닿소리들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n ɲ
파열음 p · b t · d k · g
마찰음 f · v s · z ʃ · ʒ
접근음 j · ɥ w
전동음 ʀ
설측음 l

모음[편집 | 원본 편집]

프랑스어의 홀소리들
전모음 중모음 후모음
고모음 i · y u
중고모음 e · ø o
중모음 ə
중저모음 ɛ · œ · ɛ̃ · œ̃ ɔ · ɔ̃
저모음 a ɑ · ɑ̃

유형[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프랑스어[편집 | 원본 편집]

사실상의 현재 프랑스어의 표준 그 자체. 프랑스는 중심지가 북부에 있는 나라이며, 북부의 도시권에서는 파리를 중심으로 하는 광역 수도권의 언어가 주로 사용된다. 어떻게 보면 정치적이고 학술적인 발음 표준에 가까운 아카데미 프랑세즈에서 지정한 발음과는 발음이 굉장히 다른데, 이 때문에 많은 프랑스어 초보들이 이론 상의 발음기호와 실제 발음의 괴리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아카데미에서는 프랑스어의 비모음을 4비모음 체계로 규정하고 있지만 수도권 프랑스어는 3비모음이다. 벨기에나 스위스에서도 숫자 표현에만 주의한다면 충분히 통용이 된다.

남유럽 프랑스어[편집 | 원본 편집]

프랑시탕어라고도 불린다. 어원은 프랑세+옥시탕. 정치적으로는 남프랑스, 문화사적으로는 지중해에 접한 옥시타니아 권역에서 사용되는 공용 프랑스어의 일종으로, 글은 북부 도시권 프랑스어와 같지만 발음이 다르며, 아직 구개수음 r이 아닌 전동음 r을 주로 사용하며 비모음의 변질을 배제하는 등 최대한 소리나는대로 쓰고 쓴대로 읽으려 하는 성향이 강하다. 즉 오히려 수도권 프랑스어보다 아카데미 공인 발음에 가까운 점이 있다. 그러나 어조의 높낮이나 음절의 장단은 표준 프랑스어보다는 차라리 이탈리아어에 훨씬 가깝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수도권 프랑스어와의 의사소통은 어렵다.

이는 옥시타니아 권역이 정치적으로는 프랑스의 국토일지언정 문화사적으로는 일드프랑스어를 표준으로 삼는 중유럽 오일어권이 아닌 툴루즈어를 표준으로 삼는 남유럽 오크어 권역이고, 이곳 기준으로 프랑스어는 읽기 어려운 외래언어이므로 프랑스어 글을 오크어식으로 읽은 프랑시탕이라는 어형이 발생한 것이다. 오크어 자체가 계통상 프랑스어가 아닌 카탈루냐어에 더 가까운 언어인지라... 프랑시탕으로 낭송하는 알퐁스 도데의 별 다만 이것은 소설의 배경이 프로방스 지방의 목장임을 감안해 목가적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북부인이 프랑시탕을 흉내낸 것에 가깝다.

캐나다 프랑스어[편집 | 원본 편집]

계통 상 진짜로 프랑스어의 사투리라고 할 수있는 것으로 캐나다의 퀘벡 프랑스어가 있다. 캐나다에는 퀘벡프랑스어청이라는 기관이 있어 프랑스의 아카데미 프랑세즈와 다른 독자적인 표준을 만들어 쓴다. 퀘벡 프랑스어는 점점 비모음이 불명료해지는 유럽프랑스어와 달리 반대로 비모음의 명료화가 일어나서 남유럽 프랑스어와 유사한 모음체계를 갖는다.

퀘벡어[편집 | 원본 편집]

또한 퀘벡에서는 퀘벡 특유의 강한 사투리가 존재하는데, 글은 표준 프랑스어와 거의 같지만 발음이 매우 다르다. 퀘벡 현지의 불어 화자들 중에는 프랑스 표준어에 가까운 발음을 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지만 퀘벡 토박이들은 대개 이 사투리가 좀 섞여있고, 많이 섞여있는 사람도 있고, 100% 오소독스한 퀘벡 사투리를 구사하는 사람도 있는데 사투리 발음이 많이 섞이기 시작하면 프랑스인도 알아듣지 못한다. 퀘벡 현지에서는 이 '사투리'까지도 프랑스어로 인정하지만, 프랑스에서는 퀘벡어라고 부르며 별도 취급한다. 이는 유럽 프랑스어는 이중모음이 대부분 단일모음화 되어있는데 비하여 퀘벡 사투리는 이중모음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넘어서 태생적 단일모음들까지 역으로 이중모음화되는 현상이 매우 강하며 특히 장모음의 경우 영어와 네덜란드어, 포르투갈어에서나에서 볼수있는 음운이질화가 강력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투리가 없는 사람은 part를 빠-ㆅ라고 읽지만, 사투리가 심한 사람은 뻐오ㆅ라고 읽는다.

어록[편집 | 원본 편집]

L'État, c'est moi.
짐이 곧 국가니라.
루이 14세
Je pense, donc je suis.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데카르트
On parle toujours mal quand on n'a rien à dire.
사람은 할 말이 없으면 욕을 한다.
볼테르
Le mot impossible n'est pas français.
프랑스어에 '불가능'이란 말은 없다.
나폴레옹



들어보기[편집 | 원본 편집]

  • 영화 브레이브하트의 프랑스어 대화장면

- Cet Ecossais révolte, ce Wallace, il se bat pour venger une femme?

- Ah, j'oubliais. Un magistrat qui voulait le capturer découvrit qu'il avait un amour secret. Il égorgea la fille afin de pousser Wallace à la révolte, et Wallace se révolta. Ses ennemis reconnurent sa passion pour son amour perdu alors ils organisèrent de saisir Wallace en profanant les sépultures de son père et de son frère, et ensuite, en sembusquant près de la tombe de sa femme. Mais il s'en est sorti, en guerroyant l'arme au poing. Il cacha le cadavre de sa bien-aimée dans un endroit secret. Ça, c'est de l'amour, non?

- De l'amour...

  • 프랑스어가 어려운 이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