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U반

베를린 U반베를린 시내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 체계이다. 사실상 시내 전철화된 베를린 S반, 노면전차, 시내버스와 함께 대중 교통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총 영업 거리 146km(노선 수 9+1개), 정거장 수 173개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철도이자 가장 규모가 큰 도시철도이기도 하다. 차량 관리 및 운행은 BVG (Berliner Verkehrsbetriebe)에서 담당하며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교통조합의 운임 체계를 따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개통 초기[편집 | 원본 편집]

베를린 대확장 및 양차 대전 전간기[편집 | 원본 편집]

베를린 분단 시기[편집 | 원본 편집]

통일 이후[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노선 건설 시기 및 열차 폭에 따라서 Kleinprofil, Großprofil로 나뉜다. Kleinprofil 노선은 전폭 2.3m, Großprofil 노선은 전폭 2.65m 차량이 운행한다. 별도의 개찰구 없이 자율 검표제이기 때문에 Paid area와 Free area의 구분이 엄격하지 않지만, 공간이 있는 역에는 개찰기 주변에 선을 그어 두었다. 반드시 이용 전에 승차권이나 패스를 개찰기에 집어넣어 개표하도록 하자. 열차 운행 정보는 역사에 설치된 LED 모니터 기반 DAISY (Dynamisches Auskunfts- und Informationssystem) 시스템에 표시되며, 긴급 운휴나 사고 정보도 이 곳으로 표시된다.

독일의 다른 도시철도와는 달리 지하 역사 내에서 3G/4G가 잘 터지지 않는다. O2가 2017년부터 전 구간 3G/4G를 설치하긴 했지만 다른 통신사는 아직까지는 일부 구간에만 설치해 둔 상태다.

노선[편집 | 원본 편집]

총 9개의 간선 노선과 1개의 지선이 있다. 평일 야간에는 운행을 중지하고 병행 버스가 다니며, 금요일 밤부터 일요일 밤까지는 24시간 운행한다.

노선 종별 연장 (km) 역 수
U1 울란트슈트라세바르샤우어 슈트라세 Kleinprofil 9.0 13
U2 판코룰레벤 Kleinprofil 20.7 29
U3 놀렌도르프플라츠크룸메 랑케 Kleinprofil 11.9 15
U4 놀렌도르프플라츠인스브루커 플라츠 Kleinprofil 2.9 5
U5 알렉산더플라츠회노 Großprofil 18.4 20
U55 중앙역브란덴부르크 문 Großprofil 1.4 3
U6 알트-테겔알트-마리엔도르프 Großprofil 19.9 29
U7 라트하우스 슈판다우루도 Großprofil 31.8 40
U8 비테나우헤르만슈트라세 Großprofil 18.0 24
U9 오슬로어 슈트라세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Großprofil 12.5 18

차량 사업소는 베를린 곳곳에 흩어져 있으며, 이 때문에 노선간 연결선이 존재한다.

  • Bw Grunewald - U2 올림피아-슈타디온 역에 붙어 있는 Kleinprofil 노선의 차량 사업소이다.
  • Hw Seestraße - U6 제슈트라세 역에서 진입할 수 있는 Großprofil 노선의 차량 사업소이다. 최초의 Großprofil 노선이 개통되면서 별도의 차량 사업소가 필요하여 지어졌다.
  • Bw Britz-Süd - U7 브리츠-쥐트 역에서 진입할 수 있는 차량 사업소이다. U7호선의 확장으로 인하여 많은 차량을 유치할 공간이 필요해서 1969년 착공하여 1971년 완공되었다.
  • Bw Friedrichsfelde - U5 프리드리히스펠데 역에서 진입할 수 있는 차량 사업소이다. 1927년 착공하여 1930년 완공되었다. 동독 시절에는 동베를린에 속한 유일한 차량 사업소였기 때문에 Kleinprofil 차량도 연결선을 통해서 여기에서 관리를 받았다. 독일 통일 이후 서베를린으로 다시 갈 수 있게 되어서 원래대로 되돌아갔다.
  • 기타: U1 바르샤우어슈트라세 역에도 차량 사업소가 있었으나 독일 분단으로 인하여 유령역이 되면서 공간도 버려졌다. 현재는 주박선으로만 사용 중이다. U3 크루메 랑케 역에도 간이 사업소가 있으나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동베를린에서는 일부 U반 차량의 관리를 동독국유철도의 쇠네바이데 차량 사업소에 위탁시켰으나, 통일 이후 회사가 나뉘면서 제자리로 돌아갔다. U5의 동쪽 끝인 회노 역에도 주박 및 검수 시설을 만들어 두었으나, 개통되고 나서 통일로 인하여 버려졌다.

영업 운전에 사용하지 않는 선시공 구간도 존재한다.

  • U9 투름슈트라세 역의 U5 대비용 시설
  • U7 융페른하이데 역의 U5용 승강장
  • U7 아데나워플라츠 역의 U1 대비용 시설
  • U9 슐로스슈트라세/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역의 U10 대비용 시설 및 승강장
  • U7 클라이스트파르크 역의 U10 대비용 시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오래된 역사만큼 차량 종류도 다양하다. Kleinprofil 차량은 Großprofil 노선에 진입은 할 수 있으나 제3궤조의 극성이 반대이며 집전 구조가 다르다(Kleinprofil은 상면 접촉 및 대지 음극, Großprofil은 하면 접촉 및 대지 양극). 그 반대는 차량 한계 때문에 진입조차 불가능하다. 전 차량 반자동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열 때는 레버를 젖히거나 버튼을 누르지만 닫을 때에는 자동이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신형 차량(H, HK, IK) 한정으로 자동으로 문 열림까지 취급하고 있다.

Kleinprofil[편집 | 원본 편집]

  • BVG A
  • BVG A3 - 2차 대전 이후 서베를린 Kleinprofil 노선에 투입하기 위해서 신조한 도시철도 차량. 1960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되었다. 초기형 중 일부 편성은 후기형 수준으로 전장품과 내장재가 개조되었고, 이 편성들은 A3E라는 이름으로 거의 50년 가까이 운행 중이다.
  • BVG G - 동독 시절 동베를린 Kleinprofil 노선에 투입하기 위해서 신조한 도시철도 차량. 통일 이후 일부 편성은 평양 지하철로 팔려갔고 일부 편성은 전동기 및 실내 개수를 통해서 현재도 운행 중이다. 차량 번호가 크게 세 번 바뀌었는데, 동베를린 시절에는 DR 형태의 6+1자리 번호를 사용했고, 독일 통일 직후에는 차량별 3자리 번호를 사용했다가 GI/1E 개조 이후 1070-1094 편성 번호를 사용한다.
  • BVG HK - 통일 이후 도입된 차량. 총 24편성이 존재하고 편성 내 차량 간을 이동할 수 있다. H와는 자매 관계이다. 편성 번호는 1001-1024이다.
  • BVG IK - A3, G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서 2016년부터 도입하고 있는 차량. Stadler Tango 노면 전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2020년 현재 초기 계약분인 40편성은 전부 도입되었다. 이 중 11편성은 차량 부족으로 인하여 Großprofil 노선인 U5에서 뛰고 있는데, Kleinprofil 8량 편성이 Großprofil 6량 편성보다 살짝 길어서 U5 이외 노선은 승강장 길이가 맞지 않아서 불가능하다고 한다. 해당 11편성은 집전장치 극성 전환기가 개조되었고 출입문 주변에 임시 발판을 설치해서 차량 한계를 맞춰 두었다. 한편 F79 차량의 조기 폐차로 인한 Großprofil 차량 부족 사태 때문에 BVG에서는 20편성을 더 주문했으나, 슈타들러의 경쟁사 지멘스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14편성은 원래대로 주문하고, 나머지 6편성은 F79 차량이 실제 폐차되었을 때에만 주문하기로 했다. 초기 계약분 40편성의 편성 번호는 1025-1064이며, Großprofil 노선을 뛰는 차량도 같은 번호대를 사용한다. 2020년 이후 편성은 생뚱맞게(...) 5065부터 시작하는데, GI/1E와 일부 편성 번호가 겹치기 때문에 비어 있는 5000번대 번호를 사용한다.

Großprofil[편집 | 원본 편집]

  • BVG B
  • BVG C - 초기형인 C I와 C II형은 전쟁 보상으로 전부 소련으로 뜯겨나갔다. 현재 3편성 보존되어 있다.
  • BVG D - 서독 BVG에서 2차 대전 후 처음으로 도입한 차량이다. D 차량은 철제, DL 차량은 알루미늄제이다. 통일 직전에 일부 차량이 동베를린으로 팔려 가서 현재의 U5호선에서 운행하였다. 통일 이후 상당량의 차량이 퇴역하면서 평양 지하철로 팔려갔다. 베를린에는 3편성이 보존되어 있었으나, 차량 부족을 땜빵하기 위해서 2017년에 개조를 거쳐서 U55호선에서 다시 영업 운행을 시작했다.
  • BVB E - 베를린 S반 총파업 때문에 잉여 S반 차량이 상당히 많이 생기자, 동독 BVB에서 U반 차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S반에 쓰던 ET 168 전동차를 개조한 차량이다. 시제차 E I는 상대적으로 멀쩡한 차량이었으나, 동독의 고질적인 예산 부족으로 인해서 양산형 E III 차량은 S반 차량 개조로 노선을 변경했다. 당연히 기반 성능은 1920년대에 제작된 그대로라서 전력 효율이나 가속 성능도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독일 통일과 함께 전 차량 퇴역되었다. 독일 통일 직후인 1992년에 노란색+아이보리색 동베를린 도색을 통짜 노란색인 서베를린 도색으로 교체하면서 6+1자리 차량 번호도 1800-1900번대의 4자리로 교체했으나, 재도색 불과 2년 후에 폐차했기에 까였기도 했다.
  • BVG F - D 차량과 외형으로는 은근히 닮은 구석이 있고, 2017년 현재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차량이다. 1973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되었고 여러 개선형이 존재한다. 차량 번호는 2500-3000번대까지 사용 중이다.
  • BVG H - 통일 이후 도입된 최신형 차량. 총 46편성이 존재하고 편성 내 차량 간을 이동할 수 있다. HK와는 자매 관계이다. 편성 번호는 5001-5046까지를 사용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