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미분과 적분

(미적분에서 넘어옴)

문서의 내용이 너무 쉬워서 머리속에 쏙쏙 들어옵니다.

이 문서에는 독자적으로 연구한 내용이 들어갑니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무례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고, 의견 충돌 시 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세요.
수포자도 쉽게 알 수 있는 수학
집합과 명제 수의 체계와 수의 성질 문자와 식 및 방정식과 부등식 함수 수열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평면기하학과 공간기하학 해석기하학

이 문서에는 극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극한에 대해 알고 싶은 분은 쉬운 수학:극한을 참고하세요.

미분[편집 | 원본 편집]

고등학생들에겐 악몽의 시작 미분은 간단히 말하면 어떤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이다. 도함수는 뭔데요? 도함수는 함수를 미분했을 때 나오는 함수이다.

미분의 시작, 변화율[편집 | 원본 편집]

실생활의 예[편집 | 원본 편집]

Car differential example.jpg

어떤 자동차가 0m의 출발선에서 출발한 뒤 1초 후에 1m, 2초 후에 4m, 3초 후에 9m … 에 도달한다고 해 보자. 즉 자동차는 갈수록 빨라져서 [math]\displaystyle{ x }[/math]초 후 자동차의 위치는 [math]\displaystyle{ x^2 }[/math]m가 된다. 2시간 후에는 지구를 한바퀴 돈다 슈퍼카 이 때 출발하고 나서 10초 동안의 자동차의 평균 속력은 [math]\displaystyle{ \frac{\scriptstyle\text{출발 후에 10초 동안 간 거리}}{\scriptstyle\text{10초}} }[/math]니까, [math]\displaystyle{ \frac{100m}{10초}=10m/s }[/math]가 된다. 그럼 5초에서 10초 사이의 자동차의 속력은? [math]\displaystyle{ \frac{\scriptstyle\text{5~10초 동안 간 거리}}{\scriptstyle\text{10초 - 5초}} = \frac{\scriptstyle\text{(10초일 때 위치) - (5초일 때 위치)}}{\scriptstyle\text{10초 - 5초}} }[/math]니까 [math]\displaystyle{ \frac{100m - 25m}{10초 - 5초} = \frac{75m}{5초} = 15m/s }[/math]가 된다. 이렇듯, 이 자동차의 [math]\displaystyle{ a }[/math]초에서 [math]\displaystyle{ b }[/math]초 사이의 평균속력을 구하고 싶다면 [math]\displaystyle{ \frac{b^2 - a^2}{b - a} }[/math]로 구하면 된다.

그런데 10초 동안 이 자동차의 속력이 10m/s로 일정했을까? 그건 절대 아니다. 그림에서도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자동차는 점차 가속하고 있다. 10m/s는 10초 동안 이 자동차의 평균속력이지, 10초가 된 순간에 자동차 계기판에 찍힌 순간 속력은 아니다. 그렇다면 정확히 10초가 된 순간의 속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10초가 된 '순간'이라는 것은 10초 근처에서의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9.999초와 10초 사이의 속력, 혹은 10초와 10.001초 사이의 속력은 10초에서의 순간속력과 거의 비슷하다. 오차를 더 줄이고 싶다면 9.999… 뒤로 9를 더 많이 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9.999초와 10초 사이의 평균 속력보다는 9.9999999999999초와 10초 사이의 평균 속력이 10초에서의 순간속력과 더 가깝다.

수식으로 생각해보자. 우선 9초~10초에서의 속력은 아까 나왔던 [math]\displaystyle{ \frac{b^2 - a^2}{b - a} }[/math]를 활용해서 [math]\displaystyle{ \frac{100m - 81m}{10초 - 9초} }[/math]일 것이고, 9.9초~10초에서는 [math]\displaystyle{ \frac{100m - 98.01m}{10초 - 9.9초} }[/math], 9.99초~10초는 [math]\displaystyle{ \frac{100m - 99.8001m}{10초 - 9.99초} }[/math], … 가 된다.

이렇게 9를 무한히 붙여나갈 때 속력은 극한을 사용해서[math]\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10}\frac{100 - x^2}{10 - x} }[/math]라고 쓸 수 있고, 인수분해해서 계산하면 [math]\displaystyle{ \lim_{x \rightarrow 10}\frac{100 - x^2}{10 - x} = \lim_{x \rightarrow 10}\frac{(10 + x)(10 - x)}{10 - x} = \lim_{x \rightarrow 10}(10 + x) = 20 }[/math]

즉 10초가 된 순간의 자동차의 속력이 20m/s 임을 함수의 극한을 이용해 구한 것이다.

함수에서는?[편집 | 원본 편집]
미분의 원리를 보여 주는 움짤. 두 점 사이의 평균변화율을 나타내는 직선이, 두 점이 한없이 가까워지면 한 점의 순간변화율로 수렴한다.[1]

위에서는 자동차의 위치가 [math]\displaystyle{ f(x)=x^2 }[/math]로 정해져 있을 때이다.

평균변화율을 설명하기 전에 여러분이 알고 가셔야 될 용어가 있습니다. 이 용어는 순간변화율에서도 사용되니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바로 증분이 그것이죠!

증분이란, 어떤 값의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한다고 해봅시다. 그럼 y의 값은 f(a)에서 f(b)까지 변하겠죠? 이때, x값의 변화량 b-a를 x의 증분이라고 하고, 기호로 델타x[2]라고 표시합니다. 또한 y값의 변화량 f(b)-f(a)를 y의 증분이라고 하는데요. 이것도 마찬가지로 기호로 델타y라고 표시한답니다.

자, 그럼 평균변화율을 설명해 드리죠!

평균변화율은 바로 x의 증분에대한 y의 증분의 비율입니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자면 델타x/델타y=f(b)-f(a)/b-a이고, 델타x=b-a이므로, b=델타x+a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b)-f(a)/b-a=f(a+델타x)-f(a)/델타 x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식을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식이라고 말하죠. 무슨 말이냐고요? 간단해요! 평균변화율은 한마디로 두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라는 소리입니다. 어떤가요? 평균변화율 저글링 잡는 것 보다 쉽죠?

미분이라는 것은 어떤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가 있을 때 [math]\displaystyle{ (x, f(x)) }[/math]에서 [math]\displaystyle{ f(x) }[/math]와 접하는 선, 즉 접선의 기울기를 구할 때에 사용된다.

이를 어떻게 구하는지 보자. [math]\displaystyle{ f(x) }[/math] 함수 위의 두 점, [math]\displaystyle{ (a, f(a)) }[/math][math]\displaystyle{ (b, f(b)) }[/math]를 지나는 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기울기 : [math]\displaystyle{ \frac{f(b) - f(a)}{b-a} }[/math]

이를 그대로 적용해서, 점 [math]\displaystyle{ (x, f(x)) }[/math]와 그로부터 x축으로 [math]\displaystyle{ \Delta x }[/math]만큼 떨어진 [math]\displaystyle{ (x+\Delta x, f(x+\Delta x)) }[/math] 의 기울기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기울기 : [math]\displaystyle{ \frac{f(x+\Delta x) - f(x)}{ (x + \Delta x) - x} = \frac{f(x+\Delta x) - f(x)}{ \Delta x} }[/math]

이 때 [math]\displaystyle{ \Delta x }[/math]가 작아질수록 이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은 점점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접선의 기울기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의 접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접선의 기울기 : [math]\displaystyle{ \lim_{\Delta x\rightarrow 0}\frac{f(x+\Delta x) - f(x)}{ \Delta x} }[/math]

이를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의 도함수라고 하며, [math]\displaystyle{ f'(x) }[/math] 또는 [math]\displaystyle{ \frac {\mathrm dy}{\mathrm dx} }[/math]라고 표기한다. 전자는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의 도함수라는 것을 표현한 것이며, 후자는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낸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문제에 따라서 편리한 표현방법을 사용하게 된다.[3]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법[편집 | 원본 편집]

멘붕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증명은 생략한다. 자세한 증명은 미분으로.

상수함수[편집 | 원본 편집]
상수함수의 그래프

상수함수란 x의 값에 상관없이 항상 함숫값이 일정한 함수다. 즉 [math]\displaystyle{ f(x)=c }[/math][4]인 함수가 있을 때, 도함수 [math]\displaystyle{ f'(x)=0 }[/math]이다.

미분계수가 곧 그래프에서의 기울기니까, 직관적으로도 도함수는 항상 0임을 알 수 있다.

다항함수[편집 | 원본 편집]

다항함수의 미분법은 아주 간단하다. 빼기, 곱하기만 할 수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다. 물론 그 증명도 중요하지만 일단 계산법만 올려보자면 아래와 같다.

실수 n에 대해 함수 [math]\displaystyle{ {x}^{n} }[/math]의 도함수는 [math]\displaystyle{ ({x}^{n})'=n{x}^{n-1} }[/math]

마찬가지로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mathrm dx}({x}^{n})=n{x}^{n-1} }[/math]

상수배[편집 | 원본 편집]
상수배의 미분

[math]\displaystyle{ (cf(x))'=c(f(x))' }[/math]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mathrm dx}(cf(x))=c\frac{\mathrm d}{\mathrm dx}(f(x)) }[/math]

합차[편집 | 원본 편집]
합의 미분

[math]\displaystyle{ h(x)=f(x) \pm g(x)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h'(x)=f'(x) \pm g'(x) }[/math]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mathrm dx}(f(x) \pm g(x))=\frac{\mathrm d}{\mathrm dx}(f(x)) \pm \frac{\mathrm d}{\mathrm dx}(g(x)) }[/math]

여기까지는 정확히 증명을 모르더라도 직관적으로 대충 그럴 듯하게 보인다.

곱의 미분법[편집 | 원본 편집]
곱의 미분

[math]\displaystyle{ h(x)=f(x)·g(x)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h'(x)=f'(x)g(x)+f(x)g'(x) }[/math]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mathrm dx}(f(x)g(x))=\frac{\mathrm d}{\mathrm dx}(f(x))g(x)+f(x)\frac{\mathrm d}{\mathrm dx}(g(x)) }[/math]

미분했더니 왜 쪼개지냐고 묻는다면- (증명)

[math]\displaystyle{ (f(x)g(x))' = \lim_{h \to 0} \frac{f(x+h)g(x+h)-f(x)g(x)}{h} = \lim_{h \to 0} \frac{f(x+h)g(x+h)-f(x)g(x+h)+f(x)g(x+h)-f(x)g(x)}{h} }[/math] [math]\displaystyle{ = \lim_{h \to 0} \left(g(x+h) \frac{f(x+h)-f(x)}{h} + f(x)\frac{g(x+h)-g(x)}{h} \right) = f'(x)g(x)+f(x)g'(x) }[/math]

합성함수의 미분법[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h(x)=f(g(x))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h'(x)=f'(g(x))·g'(x) }[/math]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y}{\mathrm dx}=\frac{\mathrm dy}{\mathrm du}\times \frac{\mathrm du}{\mathrm dx} }[/math][5]

갑자기 왜 [math]\displaystyle{ g'(x) }[/math]가 튀어나왔냐고 묻는다면- (증명)

[math]\displaystyle{ (f(g(x)))' = \lim_{h \to 0} \frac{f(g(x+h))-f(g(x))}{h} = \lim_{h \to 0} \left( \frac{f(g(x+h))-f(g(x))}{g(x+h)-g(x)} \; \frac{g(x+h)-g(x)}{h} \right) }[/math]

이 때 [math]\displaystyle{ h \rightarrow 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g(x+h) \rightarrow g(x)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f(g(x)))' = \lim_{g(x+h) \to g(x)} \frac{f(g(x+h))-f(g(x))}{g(x+h)-g(x)} × \lim_{h \to 0} \frac{g(x+h)-g(x)}{h} = f'(g(x))g'(x) }[/math]

몫의 미분법[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h(x)=\frac{f(x)}{g(x)}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h'(x)=\frac{f'(x)g(x) - f(x)g'(x)}{{g(x)}^2} }[/math]

역함수[편집 | 원본 편집]

임의의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의 역함수 [math]\displaystyle{ {{f}^{-1}(x)}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f}^{-1}(x))'=\frac{1}{f'({f}^{-1}(x))} }[/math]

[math]\displaystyle{ \frac{\mathrm d}{\mathrm dx}({f}^{-1}(x))=\frac{1}{f'({f}^{-1}(x))} }[/math].

삼각함수[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sin x)'=\cos x \left( \frac{\mathrm d}{\mathrm dx}(\sin x)=\cos x \right) }[/math]

[math]\displaystyle{ (\cos x)'=-\sin x \left( \frac{\mathrm d}{\mathrm dx}(\cos x)=-\sin x \right) }[/math]

[math]\displaystyle{ \color{asd} (\tan x)'={\sec }^{2} x \left( \frac{\mathrm d}{\mathrm dx}(\tan x)={\sec }^{2} x \right) }[/math]

지수함수[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e^x)' = e^x \left( \frac{\mathrm d}{\mathrm dx}e^x = e^x \right) }[/math]

[math]\displaystyle{ (a^x)' = a^x \ln a \left( \frac{\mathrm d}{\mathrm dx}({a}^{x})={a}^{x}\ln a (a\neq 1,a\gt 0) \right) }[/math]

로그함수[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n x)' = \frac{1}{x} \left( \frac{\mathrm d}{\mathrm dx}\ln x = \frac{1}{x} \right) }[/math]

[math]\displaystyle{ (\log_{a} x)' = \frac{1}{x \ln a} \left( \frac{\mathrm d}{\mathrm dx} \log_{a} x = \frac{1}{x \ln {a}} \right) }[/math]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편집 | 원본 편집]
음함수[편집 | 원본 편집]

그래서, 미분을 왜 쓰는데?[편집 | 원본 편집]

평균값 정리[편집 | 원본 편집]

구간단속방법을 잘 나타내는 그림으로 수정바람 ㅠㅠ

도로교통 이야기로 잠시 넘어가보자. 구간단속은 일정 구간에서 평균 속도가 제한 속도를 위반하면 적발하는 단속 방법이다. 이전까지 쓰이던 지점단속에는 단속 대상자가 카메라 앞에서만 속도를 잠시 줄인 뒤 카메라에서 벗어나면 다시 과속을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구간단속에서는 이런 꼼수가 원천 차단된다.

예를 들어 어떤 운전자의 차량이 적발 속도가 80km/h이고 길이가 1km인 구간단속 시작지점에 들어설 때 시속 60km으로 달리고 있었다고 가정하고 30초 후 끝지점으로 나올 때 여전히 시속 60km로 달리고 있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이 차량의 평균 속도는 120km/h이다. 이 결과는 단속구간에 있을 때 어느 순간 차량의 순간속도가 120km/h을 찍었다는 걸 의미한다. 지점단속으로는 단속에 걸리지 않지만 구간단속으로는 얄짤없이 단속에 걸리게 된다. 이 상황을 약간 추상화하면, 어느 구간에서 (구간 양끝 함수값의 차)/(구간 양끝점의 차)의 값과 같은 미분계수를 가지는 지점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얻고, 이것이 바로 평균값 정리다.

적분[편집 | 원본 편집]

부정적분[편집 | 원본 편집]

문과생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적분은 미분 거꾸로, 미분은 적분 거꾸로"

상수배[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 c f(x) dx = c \int f(x) dx }[/math]

합차[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 (f(x) \pm g(x)) dx = \int f(x) dx \pm \int g(x) dx }[/math]

[math]\displaystyle{ \color{#FF00}{{x}^{n}} }[/math][편집 | 원본 편집]
함수 역도함수(부정적분)
[math]\displaystyle{ {x}^{n} }[/math] [math]\displaystyle{ n \neq -1 }[/math] [math]\displaystyle{ \frac{{x}^{n+1}}{n+1}+C }[/math]
[math]\displaystyle{ n = -1 }[/math] [math]\displaystyle{ \ln |x|+C }[/math]
삼각함수[편집 | 원본 편집]
함수 역도함수(부정적분)
[math]\displaystyle{ \sin x }[/math] [math]\displaystyle{ -\cos x +C }[/math]
[math]\displaystyle{ \cos x }[/math] [math]\displaystyle{ \sin x+C }[/math]
[math]\displaystyle{ {\sec}^{2} x }[/math][6] [math]\displaystyle{ \tan x+C }[/math]
[math]\displaystyle{ {\csc}^{2} x }[/math][7] [math]\displaystyle{ -\cot x+C }[/math][8]
[math]\displaystyle{ \sec x \tan x }[/math] [math]\displaystyle{ \sec x +C }[/math]
[math]\displaystyle{ \csc x \cot x }[/math] [math]\displaystyle{ -\csc x +C }[/math]
[math]\displaystyle{ {a}^{x},a\gt 0,a\neq 1 }[/math][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 {a}^{x} dx=\frac{{a}^{x}}{\ln a}+C }[/math]

치환적분법[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 f(x) dx = \int f(g(t)) g'(t) dt }[/math][9]

뭐 이렇기는 한데, 미분의 합성함수의 미분법과는 달리 치환적분법은 모든 합성함수에 대해 적용할 수가 없다. 오히려 적용이 거의 안 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전혀 간단하지 않게 말하자면 [math]\displaystyle{ t= }[/math]([math]\displaystyle{ x }[/math]에 관한 적당한 함수)로 놓고 [math]\displaystyle{ x= }[/math]([math]\displaystyle{ t }[/math]에 관한 함수)로 적절히 변형한 다음에 위 식에 대입하자.
또는 dt,dx 등을 숫자처럼 취급하여 적당한 함수를 t로 놓은 다음에 적당히 양변을 미분해 보자.

예시 1 : [math]\displaystyle{ \int {(2x+1)}^{3} dx = ? }[/math]

[math]\displaystyle{ 2x+1=t, f(x)={(2x+1)}^{3} }[/math]로 놓자. 양변에 1을 빼고 2로 나누면, [math]\displaystyle{ x=\frac{t-1}{2}=g(t) \implies g'(t)=\frac{1}{2}=\frac{dx}{dt} }[/math]

이제 [math]\displaystyle{ f(x) }[/math]에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int {(2x+1)}^{3} dx = \int { \left( 2×\frac{t-1}{2} + 1 \right) }^{3} \times \frac{1}{2} dt }[/math] [math]\displaystyle{ = \int \frac{1}{2}{t}^{3} dt = \frac{1}{2} \int {t}^{3} dt = \frac{1}{2} \times \frac{1}{4} t^4+C = \frac{1}{8} t^4+C }[/math]

[math]\displaystyle{ t=2x+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t }[/math]에 다시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frac{1}{8} {(2x+1)}^{4} + C }[/math]


예시 2 : [math]\displaystyle{ \int \tan x dx = ? }[/math]

[math]\displaystyle{ \tan x=\frac{\sin x}{\cos x} }[/math] 이므로 주어진 식은 [math]\displaystyle{ \int \frac{\sin x}{\cos x} dx }[/math]

이때 [math]\displaystyle{ t=g(x)=\cos x }[/math]로 두면 [math]\displaystyle{ g'(x) = - \sin x = \frac{{\mathrm d}t}{\mathrm 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sin x}{\cos x}dx = \int \frac{1}{t} × -1 dt = -\int \frac{1}{t} dt = -\ln|t| + C }[/math]

[math]\displaystyle{ t= \cos x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t }[/math]에 다시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 \ln|\cos x| + C }[/math]

예시 3 : [math]\displaystyle{ \int \csc x dx = ?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1}{\sin x}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sin x}{\sin^2 x}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sin x}{1-\cos^2 x}dx }[/math]
[math]\displaystyle{ t=\cos x }[/math],[math]\displaystyle{ \frac{dt}{dx}=-\sin x }[/math]
[math]\displaystyle{ dt=-\sin x dx }[/math]
[math]\displaystyle{ -\frac{1}{\sin x}dt=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1}{1-t^{2}}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int \ \left ( \frac{1}{1+t}+\frac{1}{1-t} \right )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int \frac{1}{1+t} dt-\frac{1}{2}\int \frac{1}{1-t} 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1+t \right |+\frac{1}{2}\ln \left | 1-t \right |+C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1+\cos x \right |+\frac{1}{2}\ln \left | 1-\cos x \right |+C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frac{1-\cos x}{1+\cos x} \right |+C }[/math]

예시 4 : [math]\displaystyle{ \int \sec x dx = ?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1}{\cos x}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cos x}{\cos^2 x}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cos x}{1-\sin^2 x}dx }[/math]
[math]\displaystyle{ t=\sin x }[/math],[math]\displaystyle{ \frac{dt}{dx}=\cos x }[/math]
[math]\displaystyle{ dt=\cos x dx }[/math]
[math]\displaystyle{ \frac{1}{\cos x}dt=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1}{1-t^{2}}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int \ \left ( \frac{1}{1+t}+\frac{1}{1-t} \right )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int \frac{1}{1+t} dt-\frac{1}{2}\int \frac{1}{1-t} dt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1+t \right |+\frac{1}{2}\ln \left | 1-t \right |+C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1+\sin x \right |-\frac{1}{2}\ln \left | 1-\sin x \right |+C }[/math]
[math]\displaystyle{ \frac{1}{2}\ln\left | \frac{1+\sin x}{1-\sin x} \right |+C }[/math]

예시 5: [math]\displaystyle{ \int \cot x 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cos x}{\sin x}dx }[/math]
[math]\displaystyle{ t=\sin x,\frac{dt}{dx}=\cos x,dt=\cos x dx,\frac{1}{\cos x}dt=dx }[/math]
[math]\displaystyle{ \int \frac{1}{t}dt,\ln\left | t \right |+C,\ln\left | \sin x \right |+C }[/math]

예시 6: [math]\displaystyle{ \int \sqrt{1+b^2 \left ( \ln a \right )^{2}a^{2\left ( bx+c \right )}}dx }[/math]

1.이 함수는 곡선 [math]\displaystyle{ f(x)=a^{bx+c} }[/math]의 길이를 구하는 데 필요한 함수이므로 한번 구해봅시다.
2.우선 [math]\displaystyle{ t=a^{2\left ( bx+c \right )} }[/math]로 삼아야 합니다.
3.양변에 자연대수를 취해볼까요?
4.[math]\displaystyle{ \ln t=2\left ( bx+c \right )\ln a }[/math]
5.[math]\displaystyle{ \frac{\ln t}{2\ln a}=bx+c }[/math]
6.[math]\displaystyle{ \frac{\ln t}{2\ln a}-c=bx }[/math]
7.[math]\displaystyle{ \frac{\ln t}{2b\ln a}-\frac{c}{b}=x=g(t) }[/math]
8.자,이제 양변에 미분을 먹여줍시다.
9.[math]\displaystyle{ \frac{1}{2bt\ln a }=g'(t) }[/math]
10.이제 [math]\displaystyle{ f(x)=\sqrt{1+a^{\left ( 2\left ( bx+c \right ) \right )}b^{2} \left (\ln a \right )^2} }[/math]에 대입합시다.
11.[math]\displaystyle{ 2(bx+c)=\frac{\ln t}{\ln a} }[/math]
12.[math]\displaystyle{ \frac{\int \sqrt{1+b^2\left ( \ln a \right )^{2}t}}{2bt \ln a} dt }[/math]
13.아무튼 이렇게 됩니다.자 아무튼 [math]\displaystyle{ \frac{\int \sqrt{1+b^2\left ( \ln a \right )^{2}x}}{2bx \ln a} dx\\ }[/math]을 구해봅시다.
14.[math]\displaystyle{ t=\sqrt{1+b^{2}\left ( \ln a \right )^{2}x}\\ t^{2}=1+b^2\left ( \ln a \right )^{2}x\\ t^{2}-1=b^2\left ( \ln a \right )^{2}x\\ \frac{t^{2}-1}{b^2\left ( \ln a \right )^{2}}=x=g(t)\\ \frac{2t}{b^2\left ( \ln a \right )^{2}}=g'(t)\\ }[/math]
15.[math]\displaystyle{ \frac{\frac{2t^2}{b^2\left ( \ln a \right )^2}}{\frac{2b\ln a\left ( t^2-1 \right )}{b^2\left ( \ln a \right )^2}} }[/math]
16.[math]\displaystyle{ \frac{2t^2}{b^2\left ( \ln a \right )^2}\\ \frac{2b\ln a\left ( t^2-1 \right )}{b^2\left ( \ln a \right )^2}\\ \int \frac{\frac{2t^2}{b^2\left ( \ln a \right )^2}}{\frac{2b\ln a\left ( t^2-1 \right )}{b^2\left ( \ln a \right )^2}} dt\\ \int \frac{2t^2}{2b\ln a \left ( t^2-1 \right )}dt\\ \int \frac{t^2}{b\ln a \left ( t^2-1 \right )}dt\\ \frac{1}{b\ln a}\int \frac{t^2}{t^2-1}dt\\ \frac{1}{b\ln a}\int \left ( \frac{t^2-1+1}{t^2-1} \right )dt\\ \frac{1}{b\ln a}\int \left ( 1-\frac{1}{t^2-1} \right )dt\\ }[/math]
17. [math]\displaystyle{ \frac{1}{t^2-1}=\frac{A}{t+1}+\frac{B}{t-1}\\ \frac{1}{t^2-1}=\frac{At-A+Bt+B}{t^2-1}\Leftrightarrow \left ( A+B \right )t+\left ( B-A \right )=1\\ \begin{cases} & A+B= 0\\ & B-A= 1 \end{cases}\\ \begin{pmatrix} 1 & 1\\ -1 & 1 \end{pmatrix}^{-1}\begin{pmatrix} 0\\ 1 \end{pmatrix}=\begin{pmatrix} \frac{-1}{2}\\ \frac{1}{2} \end{pmatrix}\\ A=-\frac{1}{2},B=\frac{1}{2}\\ \frac{1}{2}\left ( \frac{1}{t-1} -\frac{1}{t+1}\right )=\frac{1}{t^2-1} }[/math]
18. [math]\displaystyle{ \frac{1}{b\ln a}\int \left ( 1-\frac{1}{t^2-1} \right )dt\\ \frac{1}{b \ln a}\left ( \int 1 dt -\frac{1}{2}\int\left ( \frac{1}{t-1}-\frac{1}{t+1} \right ) dt\right )\\ \frac{1}{b \ln a}\left ( t-\frac{1}{2}\ln \left | \frac{t-1}{t+1} \right | \right )+C\\ }[/math] 19. [math]\displaystyle{ \frac{1}{b \ln a}\left ( \sqrt{1+b^{2}\left ( \ln a \right )^{2}x}-\frac{1}{2}\ln \left |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x}-1}{\sqrt{1+b^{2}\left ( \ln a \right )^{2}x}+1} \right | \right )+C\\ }[/math] 20. 12번의 부정적분은 [math]\displaystyle{ \frac{1}{b \ln a}\left ( \sqrt{1+b^{2}\left ( \ln a \right )^{2}t}-\frac{1}{2}\ln \left |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t}-1}{\sqrt{1+b^{2}\left ( \ln a \right )^{2}t}+1} \right | \right )+C\\ }[/math] 아래와 같습니다.
21.이제 원래대로 되돌아갑시다...

[math]\displaystyle{ \frac{1}{b \ln a}\left ( \sqrt{1+b^{2}\left ( \ln a \right )^{2}a^{2\left ( bx+c \right )} }-\frac{1}{2}\ln \left |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a^{2\left ( bx+c \right )}}-1}{\sqrt{1+b^{2}\left ( \ln a \right )^{2}a^{2\left ( bx+c \right )}}+1} \right | \right )+C\\ }[/math]

22.

[math]\displaystyle{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 bx+c \right )}}-\frac{1}{2}\ln \left |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bx+c \right )}}-1}{\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bx+c \right )}}+1} \right |}{b\ln a}+C\\ \frac{2\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bx+c \right )}}-\ln \left | \frac{\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bx+c \right )}}-1}{\sqrt{1+b^{2}\left ( \ln a \right )^2 a^{2\left (bx+c \right )}}+1} \right |}{2b\ln a}+C\\ }[/math]

이제 끝났습니다.

부분적분법[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 f(x)g'(x) dx=f(x)g(x)-\int f'(x)g(x)dx }[/math]

          그 적     미 그(...)

[math]\displaystyle{ f(x) }[/math]대로 두고 [math]\displaystyle{ g'(x) }[/math]분한 뒤 적분 안에서 [math]\displaystyle{ f(x) }[/math]분하고 [math]\displaystyle{ g'(x) }[/math]를 적분한 대로 둔다.

로그함수, 역삼각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중에서 가장 전자를 [math]\displaystyle{ f(x) }[/math]에 대입하고 후자를 [math]\displaystyle{ g'(x) }[/math]에 대입하는 것이 좋다. 후자로 갈수록 적분하기 쉬우며 적분한 함수가 간단하기 때문.

곱의 미분법 적분판이라고 볼 수 있…지만 만능은 전혀 아니다. 또 뒤에 달린 [math]\displaystyle{ \int f'(x)g(x)dx }[/math]에서 다시 부분적분을 할 수 있다. 즉 부분적분을 연쇄적으로 두 번, 세 번 할 수도 있다.

예시 1 : [math]\displaystyle{ \int x e^x\ dx = ? }[/math]

[math]\displaystyle{ x }[/math][math]\displaystyle{ f(x) }[/math]로, [math]\displaystyle{ e^x }[/math][math]\displaystyle{ g'(x) }[/math]로 놓자. 즉 [math]\displaystyle{ x }[/math]는 미분하고 [math]\displaystyle{ e^x }[/math]는 적분해서

[math]\displaystyle{ \int x e^x dx = x(e^x +C) - \int 1·(e^x +C) = x e^x + Cx - (e^x + Cx + D ) = (x-1)e^x - D }[/math]

(단, [math]\displaystyle{ C, D }[/math]는 적분상수다.)

이 때 적분상수는 부호를 떼버려도 된다. 적분상수 자체가 정해진 값이 아닌, 임의의 실수이기 때문.

[math]\displaystyle{ \therefore \int x e^x dx = (x-1)e^x + D }[/math]


예시 2 : [math]\displaystyle{ \int \log_{a} x\ dx = ? \; (a\gt 0) }[/math]

우선 로그함수를 자연로그로 바꿔 [math]\displaystyle{ \int \log_{a} x dx = \int \frac{\ln x}{\ln a} dx = \frac{1}{\ln a} \int \ln x dx }[/math]로 쓰자.

이제 적분하거나 미분할 함수 2개가 필요한데, 보이는 건 [math]\displaystyle{ \ln x }[/math]밖에 없다! 이 때는 당황하지 말고 앞에 숨어 있는 1을 끄집어내서 [math]\displaystyle{ 1 × \ln x }[/math]로 만들고 1을 다항함수로 취급하자.

1은 적분하고 [math]\displaystyle{ \ln x }[/math]는 미분하면 [math]\displaystyle{ \frac{1}{\ln a} \int 1 × \ln x dx = \frac{1}{\ln a} \left(x \ln x - \int x·\frac{1}{x} dx \right) = \frac{1}{\ln a} \left( x \ln x - \int 1 dx \right) = \frac{1}{\ln a} (x \ln x - x) }[/math]

[math]\displaystyle{ \therefore \int \log_{a} x\ dx = \frac{1}{\ln a} (x \ln x - x) \; (a\gt 0) }[/math]

예시 3 : [math]\displaystyle{ \int x\log_{a} x\ dx = ? \; (a\gt 0)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 }[/math]
[math]\displaystyle{ f(x)=\ln x,g'(x)=x }[/math]로 둡니다.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ln x\left ( \frac{x^{2}}{2}+C \right )-\int \frac{1}{x}\left ( \frac{x^{2}}{2}+C \right )dx \right )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int \left ( \frac{-x^{2}}{2x}+\frac{-C}{x} \right ) dx \right )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int \left ( \frac{-x}{2}+\frac{-C}{x} \right ) dx \right )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int \frac{-x}{2}dx+\int \frac{-C}{x} dx\right )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frac{1}{2}\int \ xdx-C\int \frac{1}{x} dx\right )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frac{1}{2}\times \frac{x^{2}}{2}-C\times \ln \left | x \right | \right )+D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ln x-\frac{x^{2}}{4}-C\ln \left | x \right | \right )+D }[/math]
그런데 [math]\displaystyle{ x\geq 0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 | x \right |=x }[/math]입니다.따라서.
[math]\displaystyle{ \require{cancel}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cancel{+C\ln x}-\frac{x^{2}}{4}+\cancel{-C\ln x} \right )+D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frac{1}{\ln a} \left ( \frac{x^{2}\ln x}{2}-\frac{x^{2}}{4} \right )+D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 \frac{x^{2}\ln x}{2\ln a}-\frac{x^{2}}{4\ln a} +D }[/math]
[math]\displaystyle{ \frac{1}{\ln a}\int x \ln x dx= \frac{2x^{2}\ln x-x^{2}}{4\ln a} +D }[/math]
[math]\displaystyle{ \therefore \frac{1}{\ln a}\int x \ln x dx= \frac{x^{2}\left ( 2\ln x -1 \right )}{4\ln a} +D }[/math]


부분적분의 빠른 계산을 위한 팁[편집 | 원본 편집]

위에서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math]\displaystyle{ g\left(x\right) }[/math]자리에 어떤 함수가 들어가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지에 관한 팁이다.

  • L-I-A-T-E
    L = 로그함수, I = 역삼각함수, A = 대수함수(다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T = 삼각함수, E = 지수함수
    적분기호 안의 함수를 위 순서대로 배열한다. 그런 다음, 왼쪽에 있는 함수를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 오른쪽에 있는 함수를 [math]\displaystyle{ g^\prime \left(x\right) }[/math]로 놓고 부분적분을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연쇄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적분의 횟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정적분[편집 | 원본 편집]

정적분이란 함수 y=f(x)와 닫힌 구간[a, b]로 둘러 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이다.[10] 사실 보통 배울 때 적분은 미분 거꾸로다... 라고 배우는데, 사실 미적분은 절대 같이 발달한 게 아니다. 단지 계산식이 그렇게 얽혀 있을 뿐이다(미적분의 기본 정리인가 뭔가. 얼핏 보면 적분을 미분하면 원래 식이 나온다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들지만,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포인트다. ). 여기서 미분과는 좀 상관없어 보이는 넓이 개념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

구분구적법[편집 | 원본 편집]

도형의 넓이나 입체의 부피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주어진 도형을 충분히 작은 여러 개의 기본 도형[11]으로 나누고,
  2. 그 기본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합을 구할 수 있는 식을 만들고[12]
  3. 2에서 구한 식에서 n->∞일 때의 극한값을 구하면 됩니다.

이것이 바로 구분구적법이다.

다음은 구분 구적법을 적용해서 도형의 넓이를 구한 것이다.

구분구적법을 활용한 삼각형의 넓이 구하기

화면 확대가 필요하다!도저히 작성자의 실력으로는 도형과 식들을 표현 할 수 없었다 카더라.

여기까지가 구분구적법의 설명! 하지만, 작성자가 구분구적법을 공부하실 위키러에게 드리고 싶은 말씀은, 수능에 안 나올 거 같다고, 중요하지 않다고 막 넘기시지 마시고, 어떻게 해서 구분구적법이 나오게 되었는가? 즉, 구분구적법의 원리와 발상을 공부해 보시라는 것이다. 수능에서는 흔한 합답형 문제로 출제된다. 위에서 말한 적분의 발생 기원과 관련있을지도...(단순한 미분 거꾸로가 아니라는 거)

정의[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sum_{k=1}^{n}f(x_{k})\Delta x(\Delta x=\frac{b-a}{n},x_{k}=a+k\Delta x)=\int_{a}^{b}f(x)dx }[/math]

예제 1[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int_{1}^{2} {x}^{2} dx }[/math]
[math]\displaystyle{ f(x)={x}^{2} }[/math]
[math]\displaystyle{ a=1,b=2,b-a=1 }[/math]
[math]\displaystyle{ \Delta x=\frac{1}{n},{x}_{k}=1+k\Delta x=1+\frac{k}{n}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 \sum_{k=1}^{n}(1+\frac{k}{n})^2\frac{1}{n}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 \sum_{k=1}^{n}(1+\frac{2k}{n}+\frac{k^{2}}{n^2})\frac{1}{n}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 \sum_{k=1}^{n}(\frac{1}{n}+\frac{2k}{n^2}+\frac{k^{2}}{n^3})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sum_{k=1}^{n}\frac{1}{n}+\sum_{k=1}^{n}\frac{2k}{n^2}+\sum_{k=1}^{n}\frac{{k}^{2}}{{n}^{3}})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frac{1}{n}\sum_{k=1}^{n}1+\frac{2}{n^2}\sum_{k=1}^{n}k+\frac{1}{n^3}\sum_{k=1}^{n}{k}^{2}) }[/math]
그리고
[math]\displaystyle{ \sum_{k=1}^{n}k=\frac{n(n+1)}{2},\sum_{k=1}^{n}{k}^{2}=\frac{n(n+1)(2n+1)}{6} }[/math]
입니다.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1+\frac{2}{n^2}\frac{n(n+1)}{2}+\frac{1}{n^3}\frac{n(n+1)(2n+1)}{6}) }[/math]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1+\frac{n(n+1)}{n^2}+\frac{n(n+1)(2n+1)}{6n^3}) }[/math]
극한의 성질에 따라 세 식 모두 수렴하므로 각각 분리한다.
[math]\displaystyle{ \lim_{n\rightarrow \infty }1+\lim_{n\rightarrow \infty }\frac{n(n+1)}{n^2}+\lim_{n\rightarrow \infty }\frac{n(n+1)(2n+1)}{6n^3} }[/math]
[math]\displaystyle{ 1+1+\frac{1}{3}=\frac{7}{3} }[/math]

미적분의 기본정리[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f(x) }[/math]가 닫힌구간 [math]\displaystyle{ [a,b] }[/math]에서 연속일 때, [math]\displaystyle{ \frac{d}{dx} \int_{a}^{b} f(t)\, dt=f(x) }[/math]이다.
닫힌구간 [math]\displaystyle{ [a,b] }[/math]에서 연속인 함수 [math]\displaystyle{ f(x) }[/math]의 한 부정적분을 [math]\displaystyle{ F(x) }[/math]라고 할 때, [math]\displaystyle{ \int_{a}^{b} f(x) dx=F(b)-F(a) }[/math]

이 미적분의 기본정리를 통하여 이제 정적분의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다. 정적분 계산할 때 부정적분이 사용되므로 이제까지 부정적분 구하는 연습을 한 것이다. 이 정리가 없었으면 정적분값을 구할 때, 항상 구분구적법 처음 할 때처럼, 구간을 나누고 도형의 합을 계산하고 극한으로 보내는 작업을 해야 한다.

각주

  1. 더 잘 설명된 그림이 있으면 추가바랍니다.
  2. 학교나 학원에서 선생님들을 이것을 그냥 h로 쓰기도 합니다.
  3.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math]\displaystyle{ f'(x) }[/math]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후에 나오는 합성함수의 미분이나 치환적분에서 [math]\displaystyle{ \frac {\mathrm dy}{\mathrm dx} }[/math]로 표기하면 굉장히 편리하므로 같이 알아두자!
  4. 상수(Constant)의 첫글자 c를 따서, '일정한 값'인 상수를 표시할 때는 c를 많이 쓴다.
  5. 적당한 함수를 u(x)로 놓은 다음에 y를 u에 대해 미분한 함수*u를 x에 대해 미분한 함수 하면 된다.
  6. [math]\displaystyle{ \sec x }[/math][math]\displaystyle{ \frac{1}{\cos x} }[/math]입니다.
  7. [math]\displaystyle{ \csc x }[/math][math]\displaystyle{ \frac{1}{\sin x} }[/math]입니다.
  8. [math]\displaystyle{ \cot x }[/math][math]\displaystyle{ \frac{1}{\tan x} }[/math]입니다.
  9. [math]\displaystyle{ x=g(t) }[/math]
  10. a, b를 포함하는 구간을 닫힌 구간이라고 합니다. 이상과 이하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다. a이상 b이하
  11. 기본 도형은 직사격형, 이등변삼각형, 원기둥, 직육면체등과 같이 넓이 또는 부피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도형으로 정해야 한다.
  12. 보통 여기서 Σ(시그마)와 k, k^2, k^3의 공식이 사용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