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rdless Phone / 無線電話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기존의 집전화 단말기를 고정형에서 무선-휴대형으로 바꾼 전화이다. 전화기 혼자서 쓸 순 없고 짝이 맞는 고정장치(기지국)가 따라온다.
뒷날 출시된 휴대전화와 달리 이동성에 큰 제한이 있지만, 시티폰이나 PHS 같이 기술적 제한을 타파하고 휴대전화에 가깝게 만들어진 서비스가 등장했었다. 둘다 휴대전화에 밀려 망했지만.
무선, 유무선, 무무선 등으로 팔린다.
- 무선·무무선전화기
- 1대만 단독으로 판매하면 무선전화기, 2대 이상을 세트로 판매하면 무무선전화기라고 한다. 단독판매 모델이어도 똑같은 모델을 추가로 구매하거나 확장전용 단말을 구매하면 추가단말을 등록해 인터콤처럼 꾸밀 수 있다.
- 유무선전화기
- 유선전화기를 겸하는 고정장치와 무선전화기로 구성된 제품이다. 무선전화기만 따로 살릴 순 없다.
표준[편집 | 원본 편집]
- CT-1
- CT-2
- DECT(DCP)
- 현대의 무선전화 표준. 디지털화 되었으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운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LG U+ CDMA와 이웃한 1786 – 1792 MHz 대역을 사용한다.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개방된 2.4 GHz 대역을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이용종료' 무선 전화기·마이크 단속 2020년까지 유예, 뉴스1, 2013.10.22.
- ↑ KT 900MHz 주파수 하향, 무선전화기 간섭↓, ZDnet korea,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