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형식

(모듈라 형식에서 넘어옴)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모듈러 형식(modular form)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복소함수이다. 주로 정수론에 다양한 쓰임새를 가지며(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이차 형식(quadratic form), 타원 곡선, ...) 조합론, 미분방정식은 물론 심지어 초끈 이론에까지 응용된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이하 글은 학부 수준의 간단한 복소함수론 지식과 대수학 지식을 가정합니다.

여러 가지 정의가 가능하지만, 우선 가장 간단하지만 알아듣기 힘든 정의부터 소개한다:

복소함수 [math]\displaystyle{ f }[/math]가 복소 반평면 [math]\displaystyle{ \mathbb H = \{z|\Im(z)\gt 0\} }[/math]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라고 하자. 어떤 고정된 [math]\displaystyle{ k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 }[/math]가 두 가지 조건을 더 만족하면 [math]\displaystyle{ f }[/math]를 무게 [math]\displaystyle{ k }[/math]의 모듈러 형식이라고 한다.

1. [math]\displaystyle{ \begin{bmatrix}a&b\\c&d \end{bmatrix}\in \text{SL}_2\mathbb Z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frac{az+b}{cz+d})=(cz+d)^{k}f(z) }[/math]가 만족된다. 2. [math]\displaystyle{ y }[/math]가 무한으로 달려갈때, [math]\displaystyle{ f(iy) }[/math]는 sub-exponential growth를 가진다.

이 정의를 처음 봤다면 자연스럽게 들 수 있는 질문들이 세 가지 있다:

1. 왜 복소 반평면에서 굳이 정의하는가?

2. SL2Z에 대해 저런 이상한 변환조건은 왜 있는가?

3. 허수적 무한대로 갈때의 의미는 대체 무엇인가?

정의의 직관[편집 | 원본 편집]

이게 다 푸리에 시리즈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SL2Z is generated by translation and z->-1/z, etc. etc.]

격자에 대한 함수로써의 모듈러 형식[편집 | 원본 편집]

Fundamental Domain[편집 | 원본 편집]

Finiteness of Class Number[편집 | 원본 편집]

성질과 응용들[편집 | 원본 편집]

차원[편집 | 원본 편집]

모듈러 형식의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모듈러 형식을 죄다 모음으로써 생기는 [math]\displaystyle{ \mathbb C }[/math]-벡터 공간의 차원이 알려져 있다는 것이다.

무게 [math]\displaystyle{ k }[/math]의 모듈러 형식을 죄다 모아서 [math]\displaystyle{ M_k(\Gamma) }[/math]라고 하자. ([math]\displaystyle{ \Gamma=SL_2\mathbb Z }[/math]) 그리고 얘네를 모두 direct sum 해서 생기는 graded ring[math]\displaystyle{ M_*(\Gamma) }[/math]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1. [math]\displaystyle{ M_0(\Gamma), M_1(\Gamma), M_2(\Gamma), \cdots }[/math]의 차원은 다음과 같다:

1 0 0 0 1 0 1 0 1 0 1 0 2 0 1 0 2 0 2 0 2 0 2 0 3 0 2 0 3 0 3 0 3 0 3 0 ...

2. [math]\displaystyle{ E_4, E_6 }[/math]라는 특별한 모듈러 형식에 대해, [math]\displaystyle{ M_*(\Gamma)=\mathbb C[E_4,E_6] }[/math]이다. 즉, [math]\displaystyle{ E_4, E_6 }[/math]의 곱과 합으로 모든 모듈러 형식을 다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듈러 형식의 차원이 유한하다는 것 덕분에, 어떤 두 모듈러 형식이 같다는 것을 보이고 싶으면 첫 몇개의 항만 체크하면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displaystyle{ E_4^2 }[/math][math]\displaystyle{ E_8 }[/math]는 둘 다 무게 8의 모듈러 형식이지만 무게 8의 모듈러 형식들의 공간은 1차원이기에 [math]\displaystyle{ E_4^2 }[/math][math]\displaystyle{ E_8 }[/math]는 서로 일정 비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두 모듈러 형식의 (푸리에 전개의) 상수항만 보면 충분하고, 이 상수항이 같기 때문에 [math]\displaystyle{ E_4^2 = E_8 }[/math]이다.

비슷하게 [math]\displaystyle{ E_4 E_6 = E_{10}, E_6E_8 = E_4 E_{10}, E_{14} }[/math]이다. 아이젠슈타인 시리즈의 푸리에 전개에서 따라서 다음의 신묘한 정수론적 정리들을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sum_{m=1}^{n-1} \sigma_3(m) \sigma_3(n-m) = \frac1{120}(\sigma_7(n) - \sigma_3(n)) }[/math]

[math]\displaystyle{ \sum_{m=1}^{n-1} \sigma_3(m) \sigma_9(n-m) = \frac1{120}(\sigma_{13}(n) - 11\sigma_9(n)+10 \sigma_3(n)) }[/math]

모듈러 판별식, 바이어슈트라스 P와 타원곡선[편집 | 원본 편집]

타원곡선 = 도넛

그렇게 생기는 타원곡선의 판별식은 바로 무게 12 모듈러 형식. 아주 쓸데가 많다.

분할 함수[편집 | 원본 편집]

모듈러 판별식과 분할 수(partition number)의 생성함수(generating function)을 곱하면 1이 된다. 이것 덕분에 분할 수의 점화식을 바로 얻을 수 있다.

자연수를 네 개의 제곱수로 나타내보자[편집 | 원본 편집]

예를 들어서 8이 있다면 이것은 [math]\displaystyle{ 8=2^2+2^2+0^2+0^2 }[/math] 라고 표현 가능하다. 그리고 Lagrange four square theorem에 의하면 모든 자연수 n은 적당한 네 자연수 x,y,z,w가 있어서 [math]\displaystyle{ n=x^2+y^2+z^2+w^2 }[/math] 이 된다.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하자. [math]\displaystyle{ \vartheta(z)=\sum^{\infty}_{k=-\infty}e^{i\zeta n^2} }[/math] 그렇다면 Fourier analysis의 정리 중 하나인 Poisson summation formula를 쓴다면 [math]\displaystyle{ (\vartheta(z))^4 }[/math]은 modular form of weight 12가 된다. 이제 basis하고 비교하는 걸로 우리는 어떤 자연수를 네 개 제곱수로 나타내는 경우의 수를 정확하게 셀 수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