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마작/역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이란 마작에 있어 포커나 고스톱의 족보에 해당되는 것을 말한다. 역은 패가 완성된 모양이나 패를 완성한 방식 등에 의해 결정되며, 난이도에 따라 수라는 단위가 매겨져 있다. 완성한 손패에 적용 가능한 모든 역의 판 수를 합쳐 최종 판수를 계산하게 되며, 이 계산된 판 수에 따라 점봉을 주고받게 된다.

일부 역은 멘젠 여부에 따라 성립이 불가능한 역이 존재하며, 멘젠이 아닌 경우 판수가 1판씩 내려가는 역도 존재한다. 로컬 룰에 따라 일부 역이 추가되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만들기 매우 어려운 역은 역만이라고 부르며, 더 이상 다른 역을 계산하거나 다른 역의 판 수를 합치지 않고 최고 점수로 취급한다. 여러 역만이 중첩된 경우에는 더블 역만, 트리플 역만 등으로 역만 끼리 합치거나, 역만에 해당하는 역의 특정 형태는 역만이 아닌 더블 역만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로컬 룰에 따라서 더블 역만이나 트리플 역만 등을 인정하지 않거나, 역만 또는 더블 역만에 해당하는 역이 다른 경우도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는 각 역을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최종적으로 판수에 따라 요약한다. 리치마작이 아닌 다른 마작의 역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한다.

특성에 따른 역의 분류[편집 | 원본 편집]

자패로 완성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특정 자패가 손패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 역이다. 자패로 몸통을 만들 때에는 커츠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역을 완성시키기 어려워 보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해당하는 역들은 멘젠 상태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역을 완성하기 위한 조건 자체는 유사한 다른 역에 비해 비교적 달성하기 쉽다. 반면 비멘젠으로 역을 완성해갈 때 해당 자패가 공개되면 다른 사람들에게 경계될 가능성 또한 높다.

역패[편집 | 원본 편집]

역패(일본어: 役牌)란 특정 자패로 이루어진 커츠 1개로 구성되는 역으로서 가장 직관적인 역이다. 멘젠 여부와 무관하며 모으는 순간 역으로서 인정받기 때문에 가장 빠르고 쉽게 완성할 수 있어 '특급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역패는 최종 판수 계산시 커츠의 개수에 따라 판수를 전부 합산하며, 역패의 종류에 따라 판수를 전부 합산한다. 또한 역패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해당 역을 부를 때에는 정식 명칭 대신 자패의 이름으로 대체하거나 '역패'라는 이름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역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삼원패
자패 중 삼원패로 커츠 1개를 만들면 인정된다. 커츠 1개 당 1판이다.
자풍패
네 바람패 중 자신의 자리에 해당하는 바람패로 커츠 1개를 만들면 인정된다. 커츠 1개 당 1판이다.
장풍패
네 바람패 중 현재 장에 해당하는 바람패로 커츠 1개를 만들면 인정된다. 커츠 1개 당 1판이다.

자풍패와 장풍패는 바람패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중복이 가능하다. 동1국에서 동가가 동 커츠를 완성한 경우 자풍패와 장풍패를 모두 인정하여 2판으로 계산한다.

소삼원[편집 | 원본 편집]

삼원패로 몸통 두 개와 머리 하나를 만드는 역이다. 삼원패의 3종 중에서 2종으로 몸통을, 다른 하나로 머리를 만들어야만 가능하다. 멘젠 여부와 무관하며, 다른 몸통의 형태 역시 무관하다. 소삼원 역 자체는 2판으로 계산되나 삼원패로 이루어진 몸통이 반드시 2개 포함되어 있으므로 2판이 항상 추가되어 사실상 4판으로 취급된다.

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
 
마작-발.png마작-발.png마작-발.png
 
마작-6삭.png마작-6삭.png마작-6삭.png
 
마작-중.png
 
마작-백.png마작-백-누움.png마작-백.png
  쯔모
마작-중.png
백과 발로 몸통을, 중으로 머리를 만들었다. 소삼원 2판, 역패 2판으로 총 4판이다.

대삼원[편집 | 원본 편집]

삼원패 세 종으로 몸통 세 개를 만드는 역이다. 나머지 몸통 하나와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며, 멘젠 여부도 무관하다. 역만에 해당하는 역이다.

마작-7삭.png마작-8삭.png마작-9삭.png
 
마작-백.png마작-백.png마작-백.png
 
마작-중.png마작-중.png마작-중.png
 
마작-발.png마작-발.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
  론
마작-발.png
백, 중으로 몸통을 확정하였으며 발로 론 화료하여 대삼원을 확정하였다. 이 때 대기는 발과 9통의 샤보 대기인데, 9통으로 화료할 경우 대삼원이 아닌 소삼원이 된다.

소사희[편집 | 원본 편집]

바람패로 몸통 세 개와 머리 하나를 만드는 역이다. 바람패 4종 중에서 3종으로 몸통을, 다른 하나로 머리를 만들어야만 가능하다. 멘젠 여부와 무관하며, 남은 몸통 하나의 형태는 무관하다. 역만에 해당하는 역이다.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동.png마작-동.png마작-동.png
 
마작-남.png마작-남.png마작-남.png
 
마작-서.png마작-서.png
 
마작-북.png마작-북.png
  론
마작-북.png
동과 남은 몸통이고 서와 북의 샤보 대기이다. 어느 쪽으로 화료하든 하나는 몸통을, 하나는 머리를 만드므로 소사희가 확정된 경우이다.

대사희[편집 | 원본 편집]

바람패로 몸통 네 개를 만드는 역이다. 멘젠 여부와 무관하며 남은 머리의 형태 역시 무관하다. 역만에 해당하는 역이나 로컬 룰에 따라서는 더블 역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마작-동.png마작-동.png마작-동.png
 
마작-남.png마작-남.png마작-남.png
 
마작-서.png마작-서.png마작-서.png
 
마작-8만.png마작-8만.png
 
마작-북.png마작-북.png
  론
마작-북.png
동, 남, 서로 몸통 세 개를 완성했으며 8만과 북의 샤보 대기이다. 북으로 화료한 경우에는 대사희가, 8만으로 화료한 경우에는 소사희가 된다.


일부 패종 만으로 완성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손패 전부가 특정 패종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성립되는 역이다. 역의 이름에 '일색'이 포함되므로 '일색 계열'이라고도 부른다. 손패를 특정 패종으로만 만든다는 것은 그 외의 패종은 전부 버려진다는 뜻이므로, 버림패만으로 역과 오름패를 추측하기가 매우 쉬워지게 되며 화료를 경계하는 상대방으로서는 방어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비슷한 패가 여러 개 겹치게 되므로, 멘젠 상태일 경우 복합대기의 형태가 많이 발생하며 반대로 후리텐에 빠질 가능성도 높다.

혼일색[편집 | 원본 편집]

수패 한 종류와 자패만으로 손패를 완성하는 역이다. 몸통과 머리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도 상관없으나, 반드시 한 종류의 수패와 자패만으로 완성해야 한다. 3판 역에 해당하지만 멘젠이 아닐 경우 2판으로 계산한다.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8만.png
 
마작-4만-누움.png마작-3만.png마작-5만.png
 
마작-6만.png
마작-6만-누움.png
마작-6만-누움.png
마작-6만.png
 
마작-북.png마작-북.png마작-북-누움.png
  쯔모
마작-8만.png
만수패와 자패 북만을 가지고 완성하였다. 멘젠 상태가 아니므로 다른 역 없이 혼일색만으로 2판이다.

청일색[편집 | 원본 편집]

#혼일색과 유사하나, 자패 없이 한 종류의 수패만으로 완성하는 역이다. 6판 역에 해당하지만 멘젠이 아닐 경우 5판으로 계산한다.

마작-1통.png마작-1통.png마작-1통.png
 
마작-3통.png마작-4통.png마작-5통.png
 
마작-6통.png마작-7통.png마작-8통.png
 
마작-8통.png마작-9통.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
  론
마작-7통.png
통수패만으로 모든 손패를 완성하였다. 멘젠 상태이므로 다른 역 없이 6판이다.

위 손패는 다양한 복합대기가 겹쳐 있는데, 오름패는 다음과 같다.

오름패 분석
9통을 머리로 보는 경우
위 예시와 동일하게 7통 변쨩팅에 해당한다.
8통을 머리로 보는 경우
2, 5, 8통의 양면대기의 복합대기에 해당한다.
마작-1통.png마작-1통.png마작-1통.png
 
마작-3통.png마작-4통.png마작-5통.png마작-6통.png마작-7통.png
 
마작-8통.png마작-8통.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마작-9통.png
8통을 단기로 대기하는 경우
8통을 머리로서 단기로 대기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오름패는 8통 하나이다. 위 2, 5, 8통의 양면대기와 동일한 오름패이므로 큰 의미는 없다.
마작-1통.png마작-1통.png마작-1통.png
 
마작-3통.png마작-4통.png마작-5통.png
 
마작-6통.png마작-7통.png마작-8통.png
 
마작-8통.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마작-9통.png

대기의 형태에 대한 내용은 리치마작#오름패와 팅을 참고한다.

자일색[편집 | 원본 편집]

자패 만으로 완성하는 역으로서 멘젠 여부와 관계없이 역만 역이다. #자패로 완성하는 역에 서술된 다른 역만인 소사희, 대사희, 대삼원 등과 복합될 가능성이 높다.

마작-동.png마작-동.png마작-동.png
 
마작-남.png마작-남.png마작-남.png
 
마작-서.png마작-서.png마작-서.png
 
마작-북.png마작-북.png
 
마작-발.png마작-발.png
  론
마작-발.png
자패 만으로 모든 손패를 완성하였다. 오름패는 북과 발인데, 북으로 화료하는 경우 자일색과 대사희를, 발로 화료하는 경우 자일색과 소사희를 완성하게 된다. 더블 역만에 해당하며, 룰에 따라서는 그냥 역만으로 취급하거나, 대사희를 더블 역만으로 인정할 경우 트리플 역만이 된다.

녹일색[편집 | 원본 편집]

패의 색상이 녹색으로만 이루어진 패 만으로 손패를 완성하는 역이다. 이에 해당하는 패는 2, 3, 4, 6, 8삭과 발 뿐인데, 이 외의 삭수패는 그림에 빨간 색이 일부 섞여있기 때문이다. 멘젠 여부와 관계없이 역만으로 계산한다. 패의 숫자 자체는 6종이므로 7종의 자패로 완성할 수 있는 자일색보다도 더 어려워 보이나, 녹일색의 경우 수패가 있으므로 슌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작-2삭.png마작-3삭.png마작-4삭.png
 
마작-3삭.png마작-4삭.png
 
마작-6삭.png마작-6삭.png마작-6삭.png
 
마작-8삭.png마작-8삭.png
 
마작-발.png마작-발.png마작-발-누움.png
  쯔모
마작-2삭.png
삭수의 2, 3, 4, 6, 8삭과 발 만으로 모든 손패를 완성하였다. 오름패는 2삭과 5삭의 양면대기이나, 5삭으로 화료할 경우 녹일색을 인정받지 못한다.


수패의 패턴으로 완성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이페코[편집 | 원본 편집]

패종과 숫자가 동일한 슌츠 2쌍을 손패에 포함하는 역이다. 남은 몸통 두 개와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다. 멘젠 상태에서만 1판 역으로 인정받으며, 비멘젠 상태일 경우 역을 인정받지 못한다.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마작-6통.png마작-6통.png
 
마작-2삭.png마작-3삭.png마작-4삭.png
 
마작-3삭.png마작-4삭.png
 
마작-뒤.png마작-중.png마작-중.png마작-뒤.png
  론
마작-2삭.png
234삭의 슌츠가 두 개가 되어 이페코를 완성하였다. 역은 이페코와 중으로 총 3판으로 계산된다. 대기패는 2삭과 5삭인데, 만일 5삭으로 화료하는 경우 이페코가 사라지게 되므로 이 때는 중 역패만 남아 1판으로만 계산된다.

량페코[편집 | 원본 편집]

패종과 숫자가 동일한 슌츠 2쌍을 각각 2개 만들어 손패에 포함하는 역이다.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며, 두 슌츠의 쌍이 반드시 동일한 수패일 필요도 없다. 멘젠 상태에서만 3판 역으로 인정받으며, 비멘젠 상태일 경우 역을 인정받지 못한다. 또한 필연적으로 이페코가 포함되나 (동일한 슌츠 1쌍이 있으므로) 량페코와 이페코를 동시에 인정하지는 않는다.

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
 
마작-4만.png마작-5만.png
 
마작-7삭.png마작-8삭.png마작-9삭.png
 
마작-7삭.png마작-8삭.png마작-9삭.png
 
마작-백.png마작-백.png
  론
마작-3만.png
345만과 789삭의 슌츠를 각각 두 개씩 만들어 량페코를 완성하였다. 역은 량페코로 총 3판으로 계산된다. 대기패는 3만과 6만인데, 만일 6만으로 화료하는 경우 량페코는 사라지며 남은 789삭의 슌츠 2쌍만 남아 이페코 1판만을 인정받게 된다.

삼색동순[편집 | 원본 편집]

3종의 수패로 동일한 슌츠 3개를 손패에 포함하는 역이다. 다른 몸통 하나와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다. 멘젠 상태에서는 2판으로, 비멘젠 상태에서는 1판으로 계산한다.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
 
마작-2통.png마작-3통.png마작-4통.png
 
마작-2삭.png마작-4삭.png
 
마작-발.png마작-발.png마작-발.png
 
마작-9삭.png마작-9삭.png
  론
마작-3삭.png
수패 2, 3, 4로 이루어진 슌츠를 만수패, 통수패, 삭수패로 모두 완성하여 삼색동순을 완성하였다. 마지막 3삭을 (론 화료로) 다른 사람에게서 가져왔더라도 멘젠 상태이므로 삼색동순은 2판이 인정되며, 발 역패가 추가되어 총 3판이다.

삼색동각[편집 | 원본 편집]

3종의 수패로 동일한 커츠를 손패에 포함하는 역이다. 다른 몸통 하나와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다. 슌츠보다는 커츠가 완성하기 더 어렵기 때문에, 멘젠과 비멘젠 상태 모두에서 2판으로 계산한다.

마작-7만.png마작-7만.png마작-7만.png
 
마작-7통.png마작-7통.png마작-7통.png
 
마작-7삭-누움.png마작-7삭.png마작-7삭.png
 
마작-7통.png마작-8통.png
 
마작-9삭.png마작-9삭.png
  쯔모
마작-9통.png
7삭 커츠를 만수패, 통수패, 삭수패로 모두 완성하여 삼색동각을 완성하였다. 총 2판이다.

일기통관[편집 | 원본 편집]

한 종류의 수패로 123, 456, 789의 슌츠를 포함하는 역이다. 다른 몸통 하나와 머리의 형태는 무관하다. 멘젠 상태에서는 2판으로, 비멘젠 상태에서는 1판으로 계산한다. 단순히 한 종류의 수패로 1부터 9까지 전부 손패에 모으는 것으로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슌츠 세 개인 123, 456, 789를 완성해야만 한다.

마작-2만-누움.png마작-1만.png마작-3만.png
 
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
 
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
 
마작-발.png마작-발.png
 
마작-중.png마작-중.png
  쯔모
마작-발.png
만수패로 일기통관을 확정짓고, 남은 머리를 발 또는 중으로 완성하는 형태이다. 발과 중 어느 쪽으로 화료하더라도 역패 하나가 확정되며, 비멘젠 상태로 일기통관을 완성하였으므로 총 2판으로 계산된다.


커츠로 완성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또이또이[편집 | 원본 편집]

삼암각[편집 | 원본 편집]

사암각[편집 | 원본 편집]

산깡즈[편집 | 원본 편집]

스깡즈[편집 | 원본 편집]

요구패의 유무로 완성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수패 1과 9를 노두패라고 부르며, 노두패와 자패를 합쳐 요구패라고 부른다. 요구패는 슌츠를 만들수 없거나 어렵기 때문에, 요구패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패의 진행이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아래는 노두패 혹은 요구패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완성하는 역이다.

탕야오[편집 | 원본 편집]

손패에 요구패가 전혀 없는 상태로 완성하는 역이다. 멘젠 상태에서 1판으로 인정되며, 비멘젠 상태에서도 1판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으나 로컬 룰에 따라 인정받지 못하기도 한다.

요구패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슌츠를 완성하는 데 유리하며, 특성 상 다른 역과 조합하기에도 좋으므로 리치마작의 핵심적인 역 중에 하나이다.

특별히 비멘젠 상태로 탕야오를 완성하는 것을 '쿠이탕' 이라고 부르는데, 쿠이탕의 인정 여부는 로컬 룰에 따라 변동이 심하므로 반드시 시작 전에 확인하여야 한다. 쿠이탕은 비멘젠 상태로 요구패만 제거하면 완성되기 때문에 그 속도가 대단히 빠르나, 버림패와 울어서 공개된 자신의 손패로 쿠이탕을 노린다는 것을 들킬 가능성 또한 매우 높다. 리치와 대척점에 있는 역으로서, 쿠이탕 자체를 별도의 역으로 보아도 좋을 만큼 쿠이탕의 인정 유무에 따라 전체적인 게임의 양상이 상당히 바뀌게 된다.

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
 
마작-7만.png마작-7만.png마작-7만.png
 
마작-2통.png마작-3통.png마작-4통.png
 
마작-5삭.png마작-6삭.png
 
마작-8삭.png마작-8삭.png
  론
마작-4삭.png

자패나 1, 9의 수패 없이 손패를 완성하여 탕야오를 완성하였다.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
 
마작-3만.png마작-3만.png마작-3만.png
 
마작-2통.png
 
마작-5통-누움.png마작-4통.png마작-6통.png
 
마작-7삭-누움.png마작-7삭.png마작-7삭.png마작-7삭.png
  쯔모
마작-2통.png
자패나 1, 9의 수패 없이 손패를 완성하여 탕야오를 완성하였다. 비멘젠 상태이므로 쿠이탕을 인정하는 경우에만 탕야오 역을 인정받을 수 있다.

찬타[편집 | 원본 편집]

원래 이름은 혼전대요구(일본어: 混全帯幺九)이나, 혼찬타 또는 찬타로 줄여 읽던 것이 현대에 와서 찬타로 정착되었다. 손패의 모든 몸통과 머리에 요구패가 하나 이상 포함된 채로 완성하는 역으로 멘젠 상태에서 2판으로 인정되며 비멘젠 상태에서는 1판으로 인정된다.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
 
마작-1통.png
 
마작-북.png마작-북.png마작-북.png
 
마작-1삭-누움.png마작-2삭.png마작-3삭.png
  쯔모
마작-1통.png
몸통 4개와 머리에 각각 1만, 9만, 1통, 1삭, 북이 포함되어 찬타를 완성하였다. 비멘젠 상태이므로 찬타 1판으로 계산된다.

준짱[편집 | 원본 편집]

원래 이름은 순전대요구(일본어: 純全帯么九)이나, 준찬타 또는 준짱으로 줄여 읽던 것이 현대에 와서 준짱으로 정착되었다. 손패의 모든 몸통과 머리에 노두패가 하나 이상 포함된 채로 완성하는 역으로 멘젠 상태에서 3판으로 인정되며 비멘젠 상태에서는 2판으로 인정된다.

요구패가 포함되어야 하는 찬타와 다르게, 자패 없이 노두패로 조건이 변경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역의 조건만으로는 모든 준짱 역은 찬타를 포함하게 되나 준짱과 찬타를 동시에 인정하지는 않는다.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
 
마작-1통.png마작-1통.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마작-9통.png
 
마작-1삭.png마작-1삭.png
  론
마작-1통.png
몸통 4개와 머리에 각각 1만, 9만, 1통, 9통, 1삭이 포함되어 준짱을 완성하였다. 대기패는 1통과 1삭이나, 어느 쪽으로 완성하든 한 쪽이 머리로, 다른 하나는 몸통이 되게 된다. 멘젠 상태이므로 3판으로 계산된다.

혼노두[편집 | 원본 편집]

노두패에 자패를 포함한, 즉 요구패로만 손패를 만드는 역이다. 수패는 1과 9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슌츠는 포함할 수가 없다. 멘젠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2판으로 인정되나, 역의 특성상 또이또이 혹은 #치또이츠를 반드시 포함하게 되어 실질적인 판수는 더 높아지게 된다.

역의 조건만으로는 모든 혼노두 역은 찬타를 포함하게 되나 혼노두와 찬타를 동시에 인정하지는 않는다.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마작-9통.png
 
마작-백.png
 
마작-중-누움.png
마작-중-누움.png
마작-중.png마작-중.png
  쯔모
마작-백.png
수패 1, 9와 자패만으로 혼노두를 완성하였다. 또이또이 2판과 역패 중 1판, 혼노두 2판으로 총 5판으로 계산된다.

청노두[편집 | 원본 편집]

노두패로만 만드는 역을 의미한다. 다른 수패나 자패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채로, 각 수패의 1, 9로 총 6종의 노두패로만 몸통과 머리를 완성해야 한다. 멘젠을 요구하지 않으며, 역만 역이다.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1통.png마작-1통.png마작-1통.png
 
마작-9통.png마작-9통.png마작-9통.png
 
마작-9삭.png
 
마작-1삭.png마작-1삭-누움.png마작-1삭.png
  쯔모
마작-9삭.png
수패의 1, 9만으로 완성한 청노두이다.

패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성립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손패에 특정 패를 포함하는 것만으로도 성립되는 역으로서, 유일한 역은 도라이다. 도라는 판수 계산시에는 포함되지만, 도라만 가지고서는 화료할 수 없다. 도라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도라에 해당하는 패 한 개를 가지고 있을 때마다 1판씩 중첩하여 계산한다. 도라에 대한 설명은 리치마작#도라를 참고한다.

대기의 형태에 따라 성립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핑후[편집 | 원본 편집]

구련보등[편집 | 원본 편집]

구련보등(일본어: 九蓮宝燈)은 대단히 만들기 어려운 역으로서 '천의무봉'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권에서는 '9개의 문', '천국의 문' 등으로도 불린다.

구련보등은 특수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청일색으로서, 화료한 패를 포함한 14개의 패 중 13개의 패가 한 종류의 수패만으로 '1112345678999' 형식을 만들고, 남은 하나의 패가 해당 수패 중 아무거나 하나인 경우에 성립한다. 이 때 손패는 멘젠 상태여야 하는데, 추가적으로 1만 혹은 9만 등으로 안깡을 선언하지 않아야만 한다. 이는 후술할 #순정구련보등의 영향인데, 현재의 구련보등은 준(準)구련보등[1]에 해당하는 역이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만수패 만으로 완성해야만 구련보등으로 인정해 주었으나, 그 난이도가 너무나 어렵기 때문에 현재에서는 어떤 수패로 완성하더라도 구련보등을 인정해 준다.

위의 조건에 의해 멘젠 상태에서만 인정되며, 역만 역으로 인정된다.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
 
마작-8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쯔모
마작-2만.png
쯔모패를 포함하여 11123445678999의 형식을 만들었는데, 남은 한 패는 8만으로 완성한 구련보등이다. 오름패는 2, 5, 8만으로 양면대기의 복합이나 2만으로 화료한 경우에만 구련보등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순정구련보등[편집 | 원본 편집]

순정구련보등은 손패를 수패 1종류로 '1112345678999' 형식을 만들고, 오름패로 해당 수패 전체가 되어 화료한 경우를 의미한다. 손패가 '1112345678999'의 형식일 경우, 1부터 9 사이의 어떤 패가 오더라도 화료할 수 있는 9면 복합팅이 된다. 위의 손패는 몸통 두 개를 확정짓는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손패의 오름패 분석
1만, 9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2, 5, 8만으로 머리를 완성하는 단기대기의 복합 대기이다.
123만, 789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
 
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
1, 9만의 샤보팅이다.
123만, 9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
 
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3, 6, 9만의 양면대기의 복합 대기이다.
1만, 789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
 
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
1, 4, 7만의 양면대기의 복합 대기이다.
345만, 678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2만.png
 
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
 
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2만 단기팅과 3만 변짱팅의 복합 대기이다.
1만, 678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
 
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2, 5만의 단기대기의 복합 대기이다.
234만, 567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
 
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
 
마작-8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7만 변짱팅과 8만 단기팅의 복합 대기이다.
234만, 9만을 몸통으로 확정하는 경우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
 
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
 
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
 
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5, 8만의 단기대기의 복합 대기이다.

따라서 오름패가 해당 수패 전체인 9면 대기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멘젠 상태여야 하며, 패의 형태로 인해 어떠한 깡 선언도 불가능하다.

순정구련보등 역시 역만으로 인정되나, 로컬 룰에 따라 더블 역만으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1만.png마작-2만.png마작-3만.png마작-4만.png마작-5만.png마작-6만.png마작-7만.png마작-8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마작-9만.png
  쯔모
마작-5만.png
만수패를 이용하여 순정구련보등을 완성하였다.

특수 형태의 역[편집 | 원본 편집]

일반적인 역과는 다른 형태를 갖는 역을 의미한다. 형태가 다르므로 부르기를 할 수 없으며, 자연스럽게 멘젠 상태일 수밖에 없다.

치또이츠[편집 | 원본 편집]

치또이츠(七対子)는 몸통 없이 서로 다른 머리만 7개로 이루어진 역이다. 머리는 부르기를 통해 완성할 수 없기 때문에 멘젠 상태에서만 치또이츠를 완성할 수 있으며, 머리만 존재하므로 머리 단기대기만 가능하다.

량페코는 필연적으로 치또이츠와 동일한 생김새일 수밖에 없는데, 패종과 숫자가 동일한 슌츠 2쌍씩 2개 혹은 머리 6개 중 한 쪽만을 골라야 하므로 둘 다 적용할 수는 없다. 량페코 쪽이 판 수가 더 높으므로 반드시 그래야 할 이유가 없다면 량페코를 선택한다.

치또이츠는 2판에 해당하는 역이며, 치또이츠를 완성할 경우 점수 계산시 부수를 25부로 고정한다.

마작-2만.png마작-2만.png
 
마작-4통.png마작-4통.png
 
마작-5통.png마작-5통.png
 
마작-1삭.png마작-1삭.png
 
마작-3삭.png마작-3삭.png
 
마작-백.png마작-백.png
 
마작-발.png
  쯔모
마작-발.png

발 단기대기로 화료한 치또이츠이다. 총 2판이다.

마작-2만.png마작-2만.png
 
마작-4통.png마작-4통.png
 
마작-4통.png마작-4통.png
 
마작-1삭.png마작-1삭.png
 
마작-3삭.png마작-3삭.png
 
마작-백.png마작-백.png
 
마작-발.png
  쯔모
마작-발.png
4통의 머리가 두 쌍이므로 치또이츠가 아니며, 잘못된 화료이다.

국사무쌍[편집 | 원본 편집]

국사무쌍(国士無双)은 요구패 13종만으로, 13종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 적용되는 역이다. 13개의 손패와 화료한 패까지 포함해 총 14개의 패로 역을 완성하므로 필연적으로는 한 종의 요구패만 두 개를 가지게 되고, 나머지는 전부 한 개씩만 갖고 있어야만 한다. 국사무쌍에는 머리도, 몸통도 전혀 없으므로 멘젠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요구패는 일반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패로 여겨지는데, 이 때문에 초반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요구패를 종류별로 전부 모아야 하므로 처음 배패 시부터 많이 갖고 있는 경우에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처음 배패 때 요구패를 9종 이상 갖고 있을 경우 구종구패 선언을 해 도중유국할 수 있는데, 국사무쌍을 위해 유국하지 않고 게임을 진행하는 선택을 할 수도 있다.

국사무쌍은 역만 역이다. 하지만 오름패를 제외한 손패에 이미 13종의 요구패를 모두 모은 경우는 요구패 13종 모두가 오름패가 되며, 이 경우에 한해 로컬 룰에 따라 더블 역만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물론 이 때에는 버림패에 요구패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후리텐 상태가 된다.

국사무쌍에 한해서, 오름패를 다른 사람이 안깡 선언할 경우 창깡 화료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 룰이 유명하다.

마작-1만.png마작-9만.png마작-1삭.png마작-9삭.png마작-1통.png마작-1통.png마작-9통.png마작-동.png마작-남.png마작-서.png마작-북.png마작-발.png마작-중.png
  쯔모
마작-백.png

백 단기대기로 화료한 국사무쌍이다.

마작-1만.png마작-9만.png마작-1삭.png마작-9삭.png마작-1통.png마작-9통.png마작-동.png마작-남.png마작-서.png마작-북.png마작-백.png마작-발.png마작-중.png
  쯔모
마작-9만.png
13종의 모든 요구패가 대기패로, 9만으로 화료했다.

특정 상황에서 성립하는 역[편집 | 원본 편집]

멘젠쯔모[편집 | 원본 편집]

해저로월[편집 | 원본 편집]

하저로어[편집 | 원본 편집]

영상개화[편집 | 원본 편집]

창깡[편집 | 원본 편집]

유국만관[편집 | 원본 편집]

천화[편집 | 원본 편집]

지화[편집 | 원본 편집]

인화[편집 | 원본 편집]

리치와 그 관련 역[편집 | 원본 편집]

리치라는 행위는 손패의 형태와는 무관하므로 #특정 상황에서 성립하는 역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리치라는 역과 관계된 역이 많으므로 여기에 별도로 모아 서술한다. 또한 여기에 서술되어 있지는 않지만, 리치를 선언했을 때에만 유효한 도라도 존재한다. 이는 리치마작#도라를 참고한다.

리치[편집 | 원본 편집]

멘젠 텐파이 상태에서 리치 선언을 하는 것으로 성립한다. 리치 선언 자체에 대해서는 리치마작#리치를 참고한다. 리치 역은 리치라는 행위만으로 성립하므로 다른 어떠한 역과도 조합이 가능하며, 형식 텐파이 상태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가 만들기 쉬운 역이다.

리치 선언 후 화료하게 되면 리치 역을 적용하며, 1판으로 계산한다.

더블리치[편집 | 원본 편집]

첫 순에 리치를 선언하는 것으로 성립한다. 다른 모든 조건은 리치와 동일하나, 본인의 첫 쯔모시까지 아무도 발성하지 않은 채로 쯔모한 뒤 첫 버림패로 리치를 선언해야 한다.

더블리치는 2판으로 계산한다.

일발[편집 | 원본 편집]

리치 선언 이후, 그 바로 다음 순까지 화료하는 경우 성립한다. 여기서 다음 순이란, 리치 선언으로 버린 패 직후 타가가 각각 버린 세 개의 패와, 그 이후 본인이 쯔모한 패까지 총 네 개의 패 중에서 화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 본인이 화료하기 전까지 누구도 부르기를 해서는 안 되며, 본인이 쯔모한 패로 깡 선언을 해도 일발 역은 유효하지 않게 된다.

만약 일발로 화료할 경우 1판을 추가 계산한다. 일발 역에는 반드시 리치가 필요하므로, 일발 화료할 경우 리치 역까지 최소 2판을 확보할 수 있다.

판수에 따른 역의 분류[편집 | 원본 편집]

1판 역[편집 | 원본 편집]

멘젠 필요[편집 | 원본 편집]

문전청자모화 (門前清自摸和, 멘젠쯔모)[편집 | 원본 편집]

멘젠 상태에서 쯔모로 화료하는 경우를 말한다. 구조상, 대부분의 역과 중복이 가능하고 보통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적은 편.

리치 (立直)[편집 | 원본 편집]

문서 참고. 여담으로, 가끔 실수가 아닌 고의로 노텐 상태에서 리치를 거는 경우가 있는데, 걸리면 온갖 욕을 얻어 먹을 수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자.

일발 (一発)[편집 | 원본 편집]

리치를 걸고 순정 1순 내로 화료하면 성립한다. 즉, 1순 내에 누군가가 부르게 된다면 성립하지 않는다.

평화 (平和, 핑후)[편집 | 원본 편집]

이름의 뜻은 평범한 화료. 부수가 붙지 않도록 화료하면 성립한다. 즉, 다음의 조건이 성립될 시 평화가 성립하게 된다.

  • 멘젠 상태일 것. 쯔모로 화료시 2부가 붙게 되지만, 평화의 경우에는 붙지 않는다.
  • 멘쯔 4개 모두 슌쯔일 것. 커쯔나 깡쯔는 최소 2부가 붙게 된다.
  • 양면팅 상태일 것. 간짱팅, 변짱팅, 단기팅의 경우 2부가 붙게 되고 샤보팅은 커쯔가 존재하게 된다.
  • 또이쯔가 역패가 아닐 것. 또이쯔가 역패이면 2부, 연풍패이면 4부가 붙는다.

보다 시피 하나도 평범하지가 않다.(...) 이는 국표 마작에서는 자패 없이 멘쯔 4개가 다 슌쯔면 성립하는 정말 평범한 역이 리치마작으로 들어오면서 상당히 까다로워진 것. 쯔모가 2부라서 문제가 생기지만, 이는 평화만 예외로 두어 해결했다. 초보의 경우 조건이 많아 잘 노리지 않는 역.

일배구 (一盃口, 이페코)[편집 | 원본 편집]

멘쯔 중 동일한 슌쯔가 두 개 있으면 성립한다. 일배구가 2개 있다면 3판 역인 양배구가 되며 이페코로 인정되지 않는다. 칠대자와는 동시에 인정되지 않는다.

멘젠 불필요[편집 | 원본 편집]

역패 (役牌)[편집 | 원본 편집]

자패 중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패를 역패라고 하고, 이를 커쯔나 깡쯔로 모으면 1판이 된다. 멘젠이 필요 없기 때문에 초보자들이 자주 노리는 역 중 하나.

  • 자풍패: 자신의 방위와 동일한 바람패를 의미한다. 즉, 동가의 경우 동패, 남가의 경우 남패가 되는 식이다.
  • 장풍패: 현재의 장의 방위와 동일한 바람패를 의미한다. 즉, 동장이라면 동패, 남장이라면 남패가 된다.
  • 연풍패: 자풍패와 장풍패가 동일한 경우 자풍과 장풍 모두 인정되어 2판이 된다.
  • 삼원패: 백패, 발패, 중패를 말한다. 소삼원과 함께 인정될 수 있다. 대삼원의 경우 역만이니 동시에 인정되지 않는다.
단요구 (断幺九, 탕야오)[편집 | 원본 편집]

요구패 없이 화료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2~8의 수패로만 나야 한다. 멘젠이 아닌 상태로 만드는 것을 쿠이탕이라고 하는데, 룰에 따라서 인정되는 경우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쿠이탕이 굉장히 만들기 쉬워서 전체적으로 게임이 재미 없이 빨리 끝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빠르게 나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들도 꽤 된다. 즉, 호불호가 굉장히 갈리는 역. 또한, 상대에게 들키기 굉장히 쉬운 역이기도 하다. 버림패에 요구패만 잔뜩 쌓여있기 때문.

특수한 방법으로 화료했을 경우[편집 | 원본 편집]

사실 아래의 역들은 확률로 따졌을 때 역만과 비슷한 위치에 있지만 정작 판수는 1판 밖에 안 되는 역들이다. 보통은 노려서 만드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그냥 다른 역으로 화료했을 때, 보너스로 1판 추가되는 거나 마찬가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상개화 (嶺上開花)[편집 | 원본 편집]

사키를 본 오덕이라면 매우 익숙할 만한 바로 그 역이다. 깡을 할 때 영상패를 쯔모하게 되는 데, 이 영상패로 화료하게 되면 성립한다. 깡을 쳐야하는 특성상 리치나 일발 등과는 중복이 불가능하다. 깡을 연속으로 쳐서 영상개화를 하는 경우 (소위 연깡개화로 불리는 상황) 여러번 인정되지 않고 한 번으로만 인정된다.

가끔 사키를 본 오덕들이 마작에 관심을 가지고 배울 때, 영상개화를 시도해 보려고 하는데... 거의 안 나온다. 사람에 따라서는 마작을 하면서 만든 역만의 수보다 영상개화의 수가 더 적을 수도 있다. 작정하고 노려서 다이밍깡이든 쇼밍깡이든 치면 영상개화는 못하고 도라패만 잔뜩 늘려 판수만 키우는 꼴이 되는 경우도 있다. 거기다 만약 그 판에서 쏘이게 된다면...

창깡 (搶槓)[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사람이 쇼밍깡을 한 패가 자신의 완성패인 경우, 상대의 깡을 무효로 하고 론으로 화료하는 것을 말한다. 깡이 무효가 되므로 깡도라가 늘지는 않는다. 그리고 론에 해당하기 때문에 후리텐 역시 그대로 적용된다.

안깡의 경우 창깡이 불가능 하지만, 국사무쌍에 한해서 인정되는 로컬룰이 존재한다. 물론 국사무쌍이 역만이기 때문에 역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창깡을 노리고 플레이 한다면, 하나만 남은 패가 패산에 남아 펑으로 커쯔를 만든 사람이 쯔모하고 깡을 쳐야 하는 엄청나게 작은 확률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작정하고 노리는 사람은 거의 없다. 사실상 대기 중에 어쩌다가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

해저로월/해저모월 (海底撈月/海底摸月)[편집 | 원본 편집]

패산에 마지막으로 남은 단 한 개의 패를 해저패라고 하는데, 이를 쯔모해서 나는 경우 성립한다.

당연히 이걸 작정하고 노리는 사람은 없으며 보통 유국 날 걸 대비해서 텐파이를 만들었다가 우연히 나거나, 간절히 바라다 우주가 나서서 도와주게 되면 걸리는 역이다. 멘젠일 경우 멘젠쯔모와 중복이 가능하고 리치일 경우에도 중복이 가능하다. 뭔가 진짜로 날 수 있을 것 같을 때, 패산에 패 4개가 남은 상황에서 리치 걸고 해저패로 난다면, 리치, 일발, 멘젠쯔모, 해저로월로 총 4판이 되게 된다. 물론, 확률은...

하저로어 (河底撈魚)[편집 | 원본 편집]

마지막 버림패를 하저패라고 하고 이를 론했을 경우 성립한다. 하저패는 론만 가능하고 치, 펑, 깡은 불가능 하며 론을 할 수 없다면 그 판은 유국이 된다. 국표마작의 경우에는 이 역을 해저로월이라고 부르고 위 문단의 해저로월은 묘수회춘이라고 한다.

2판 역[편집 | 원본 편집]

3판 역[편집 | 원본 편집]

만관역 (로컬룰)[편집 | 원본 편집]

6판 역[편집 | 원본 편집]

역만[편집 | 원본 편집]

  1. '준우승'을 말할 때의 '준'에 해당한다. 일본어에서 '준(準)'과 '순(純)'의 발음이 유사하므로 현재는 단순히 '구련보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