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별자리

오늘날에는 서양에서 들어온 별자리 체계를 쓰고 있는 한편, 과거 동아시아에서는 3원 28수로 구성된 체계가 천문학의 기반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현대에도 항성을 다룰 때 이 별자리 체계 위주로 쓰고있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까지 쓰였고, 대표적인 기록물로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있다.

동양의 별자리는 280개로 현대 별자리보다 구역이 세분화되어 있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각각의 별자리 크기는 좀더 작은 편이 되고, 일부는 '항성 하나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다.[1]

삼원과 이십팔수는 위의 별자리들을 각각의 별자리군으로 묶어서 나타낸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각각의 구역을 대표하는 별자리 자신의 이름이 되기도 한다.

3원[편집 | 원본 편집]

삼원(三垣)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하늘을 세 구역으로 나눈 것이다. 천구의 북극 주변의 영역을 담장 형태로 둘러싼 형태를 하고 있다. 삼원은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 세 가지가 있다.

  • 자미원(紫微垣)은 하늘의 황제인 태제(太帝)의 자리로 천자가 거주하는 곳을 뜻한다. 북극과 주위를 둘러싸는 구역을 차지하고 있다. 작은곰자리, 용자리, 세페우스자리 등이 이 영역에 들어가 있다.
  • 태미원(太微垣)은 이십팔수와 자미원 사이 구역 중 봄철 하늘에 있다. 이는 천자의 궁정(宮庭)으로 장군과 관료들이 관할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처녀자리사자자리의 북쪽 부분, 머리털자리 등이 여기에 들어가 있다.
  • 천시원(天市垣)은 이십팔수와 자미원 사이 구역 중 여름철 하늘에 있다. 시장을 상징하며, 형벌과 도량형을 주관한다. 뱀자리, 뱀주인자리헤르쿨레스자리 등이 이 구역에 포함된다.

28수[편집 | 원본 편집]

이십팔수(二十八宿)는 동아시아에서 관측 가능한 하늘 중 삼원을 제외한 부분을 28개 별자리군으로 나눈 것이다. 수(宿)는 원래 '잘 숙'자로, 달이 밤마다 머무르고 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별자리군이란 뜻으로 부를 때에는 한자음이 '수'가 된다. 달의 공전 주기, 즉 항성월은 27일 8시간으로, 이는 28일과 길이가 비슷하다.

참고로 이십팔수의 배열은 달의 공전을 '온전히' 따라가지는 않는다. 가령 자수와 삼수는 오리온자리에 해당되는데, 이는 위치부터 황도나 백도에서 한참 벗어나 있다.

이십팔수는 방위별로 7개씩 나누어지며, 이를 사방신이 거느린다. 동쪽은 청룡, 북쪽은 현무, 서쪽은 백호, 남쪽은 주작이 맡는다. 여기서 방위는 하지점이 남중하는 시각[2]의 하늘의 방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청룡와 백호는 각각 동쪽과 서쪽 지평선에 걸쳐 있으며, 주작은 남쪽 하늘에 떠 있고, 현무는 북쪽하늘 지평선 아래에 가라앉아 있다.

아래는 이십팔수를 서쪽에서 동쪽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 동방청룡 -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
  • 북방현무 -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
  • 서방백호 - 규(奎)·루(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
  • 남방주작 - 정(井)·귀(鬼)·류(柳)·성(星)·장(張)·익(翼)·진(軫)

그 외[편집 | 원본 편집]

동아시아에서는 천구의 남극에 가까운 영역을 전혀 볼 수 없다. 3원 28수 체계에서는 이 영역의 별자리가 들어가 있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명나라 말기 서광계(徐光啓)가 유럽의 성도를 참고하여 천구의 나머지 영역에 23개 별자리를 추가하였다. 근남극성구 문서 참고.

각주

  1. 예를 들어 천랑(天狼)에 해당하는 별은 시리우스, 노인(老人)은 카노푸스 이렇게 하나씩 구성되어 있다.
  2. 오리온자리가 남중하는 때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