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불

도대불.jpg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제주도 특유의 해안 시설물로 제주도에서 고기잡이 나간 배가 무사이 포구를 찾아 들어올 수 있도록 돌을 쌓아서 불을 밝힐 수 있게 만든 대(臺)로 주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현무암을 쌓아서 만들었다. 전기가 들어오기 이전 시절인 20세기 초반(일제강점기) 제주도 연안 곳곳에 건설되었으며, 석유로 불을 피우거나 물고기 기름을 사용하여 불을 피우는 각지불 혹은 남포등을 도대 위에다 걸어놓았었다. 전기가 들어오기 이전 제주도 지역에만 존재하던 일종의 등대라고 할 수 있으며, 일종의 신호유적에 해당한다. 제주도 도내 최초의 도대불 건설은 1915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늦게 건설된 것은 1965년으로 전해진다.

도대의 어원에 대한 설은 여러 가지기가 있지만 등대를 뜻하는 일본어 "도오다이"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외에 길을 밝혀준다는 의미인 도대(道臺)라는 설도 꽤 유력한 설 중 하나. 또 다른 어원으로는 돛대처럼 높이 켠 불이라는 의미로 붙었다고 하는 설도 있다. 불을 밝히는 연료로는 물고기 기름, 솔칵(송진, 관솔), 석유 등으로 마을마다 사용 연료가 달랐으며, 이는 각자 마을의 사정에 맞게 운영되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도대불을 쌓는 재료는 처음에는 돌을 이용하였고 이후 쇠를 이용한 곳도 있었으나 쇠로 만든 도대불은 쉽게 부식되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 도대에 불을 밝히는 일을 "불칙"이라 하였으며 그 역할을 하는 사람을 "불칙이"라고 불렀다. 불을 켜는 시점은 주로 해가 지는 무렵부터 시작하여 출어를 나간 선박들이 항구로 돌아오는 새벽 무렵까지였으며, 불칙이의 역할은 나이가 많아서 더 이상 배를 탈 수 없는 늙은 어부들이 돌아가면서 불칙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항구에 선박이 무사히 돌아오면 돌아온 선박들은 이 수고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잡은 생선 중 일부를 불칙이들에게 주어서 생계를 이을 수 있도록 하였었다.

이 도대불은 등명대, 탑망대, 관망대, 광명등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었다.

발생 이유[편집 | 원본 편집]

도대불이 생길 무렵의 시기는 제주도 연안에 마라도등대우도등대, 산지등대와 거의 비슷한 시기이다. 그러나 이들 근대적 등대들은 제주도 주민들과는 전혀 상관 없는 육지와 제주도를 오가는 선박이나 제주도를 그냥 스쳐가는 외부 선박들을 위한 것이지 어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는 시설물은 아니었다. 이런 이유로 도대불은 일반적인 등대와는 달리 민간 차원에서 직접 관리하는 등대였다.

형태[편집 | 원본 편집]

  • 원뿔형
  • 원통형
  • 사다리꼴형
  • 상자형
  • 표주박형

소멸[편집 | 원본 편집]

제주도 어민들의 길잡이가 되던 도대불은 1970년대 제주도 전역에 전기가 보급이 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된다. 애초에 불의 밝기 자체가 호롱이나 횃불 정도였기 때문에 없는 것 보다 나은 정도였고 전기를 사용하는 훨씬 밝은 등대들이 설치되면서 빠르게 도태되어 버렸다. 이후 제주도 연안의 무인등대들과 방파제등대 및 등주들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고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제주도 연안의 항만 시설의 확충과 해안도로의 건설로 해안가에 있던 상당수 도대불 시설이 철거되거나 돌무덤의 형태로 파손되어 방치되게 되었었다. 제주도 연안 포구마을마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도대불은 2010년 기준으로 총 18곳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일부 시설은 마을 주민들이 자리를 인근으로 옮겨서 다시 복원하기도 하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