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문화

언어 문화[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편집 | 원본 편집]

전통문화[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생활 문화[편집 | 원본 편집]

식문화[편집 | 원본 편집]

  • 김치가 국민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김치전, 김치국, 김치찜, 김치라면 등 수 많은 음식에 김치가 들어간다.
  • 매운 음식과 마늘을 매우 좋아한다. 세계에서 음식의 매운맛 분포도(가장 매운 음식에서 가장 안 매운 음식까지)가 매우 넓은 편이다. 한국에서 안 매운 편에 속하는 음식이 외국인에게는 엄청 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신라면은 한국에선 우스운 수준이지만 일본에선 상당히 매운 편이다. 일본 마트에서 신라면이 잘 안 팔리는 이유가 반한 감정이 아니라 매워서라고...
  • 비만율이 낮은 것에 비해 많이 먹으며 식도락을 즐긴다.

먹방 (Mukbang)[편집 | 원본 편집]

패션[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패션 분야는 선두를 달리고 있다.

주거[편집 | 원본 편집]

많은 한국인이 아파트에 산다. 전세라는 유용한 제도가 크게 발달해 있다.

오락 문화[편집 | 원본 편집]

문학[편집 | 원본 편집]

드라마[편집 | 원본 편집]

영화[편집 | 원본 편집]

애니메이션[편집 | 원본 편집]

음악[편집 | 원본 편집]

게임[편집 | 원본 편집]

보드 게임[편집 | 원본 편집]

한국에서 가장 유행하는 대표적인 보드 게임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원산의 화투(花札)를 이용한 고스톱(일본의 코이코이(こいこい))이다. 하지만 정작 일본에서 화투와 코이코이가 거의 쇠퇴했기 때문에, 이제는 한국이 종주국을 넘겨받을 수 있을 정도에 이르렀다.

옛부터 즐겨온 전통적인 보드 게임으로는 윷놀이, 바둑, 장기[1]가 있다.

비디오 게임[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의 비디오 게임 시장은 일본에서 홍콩이나 대만을 통해 간접적으로 비디오 게임을 들여와 수요층을 만들고, 훗날 미국에서 들여오기 시작한 PC 게임을 시장 모델로 삼아 태동하였다. 그러나 태동 단계부터가 대부분 복제 소프트웨어로 시작[2]한만큼, PC 게임 시장(및 콘솔 게임도 덩달아)은 게임잡지사들의 자폭과 함께 일찍이 사양길에 접어들어, 처음부터 복제 소프트 문제를 앓지 않아도 될 온라인 게임에 많은 게임사가 전향하여 지금에 이른다.

E-스포츠[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 후반부터 유행한 스타크래프트의 경우는 넘사벽의 성적을 거두어서 종주국의 지위[3]를 사실상 빼앗아 왔을 정도이고, 비교적 잘한다는 평가를 받지 못했던 FPS 장르조차 오버워치로 우승을 따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인의 여가 패턴은 대략 아래와 같다.

  • 어린이 : 유치원, 초등학생들도 학원에 가느라 바쁘다.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이 줄어들었으며(미세먼지), 장난감 대신 스마트폰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 10대 : 초등학생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들은 학원에 다녀오면 여가를 보낼 시간도 부족하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아져 한국의 10대들은 재패니메이션을 보거나 리그 오브 레전드 등의 온라인 게임을 즐긴다.
  • 20대 : 10대 시절에 비해 많이 해방되어 놀이 문화의 폭이 넓어진다. 술, 노래방, 클럽, 여행 등의 취미 생활을 즐기는 사람은 많지만 이외에 특별한 취미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대학가의 경우 락 등의 음악을 즐기거나 등산을 가기도 한다. 공대생의 경우 학과 공부가 빡세서 놀 시간이 많이 없다. 취준생과 공시생이 많아져 옛날에 비해 놀이 문화를 즐길 여가 시간이 없어져가는 추세.
  • 30대 : 수영 등의 스포츠, 게임 및 독서, 쇼핑, 영화 보기 등을 즐긴다. 드라이브를 하거나 맛집 탐방을 다녀서 블로그를 작성하는 30대들도 상당히 많다. 돈과 여유가 되는 편이라면 해외여행을 즐긴다. 명절 등 30대가 골치아파할만한 시즌에는 여행을 가서 안돌아오기도 한다.
  • 40대 이상 : 아저씨들의 경우 골프를 친다. 50대에는 아줌마 아저씨 할것없이 손자볼 나이라서 그런지 TV 육아 프로그램을 즐긴다.
  • 65세 이상 노인 : 할머니들은 회관에 모여서 수다를 떨며 노신다. 할아버지들은 할머니들보다 모여서 이야기하는 것을 힘들어하시는 편. 향토적인 내용의 TV 프로그램을 즐긴다.

각주

  1. 의 경우는 중국 유래이긴 하다.
  2. 당시 한국은 일본 문화를 상당히 배척하던 시기였고, 때문에 정식 유통망보다는 대만의 불법 카트리지를 통해 들여오는게 훨씬 많았다.
  3. 스타크의 원산지는 미국이므로 종주국 또한 일단은 미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