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평화상

(노벨평화상에서 넘어옴)

노벨 평화상노벨상 중에서 세계 평화에 기여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는 상이다.

노벨상의 다른 부문은 공동수상은 인정하더라도 단체에게는 주지 않는데 비해서 이 상의 경우는 개인이 아닌 단체에게도 수상이 가능하다. 어찌 보면 세계 평화를 간절히 원했던 알프레드 노벨의 소망에 가장 어울리는 상이라 할 수 있다.

노벨상의 다른 분야들은 스웨덴에서 시상하지만 평화상만큼은 노르웨이에서 시상한다. 노벨상에서 가장 중요한 상으로 인정받지만 동시에 매번 수상때마다 정치적 논란에 휩쓸리기도 한다. 명백한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시상하는 다른 분야에 비해 아무래도 주관적인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문학상도 충분히 주관적 수상인데….

역대 수상자[편집 | 원본 편집]

수상연도 성명 국적 인정업적
1901 장 앙리 뒤낭
프레데리크 파시
스위스
프랑스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설립
국제 평화 연맹의 설립
1906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조선을 팔아먹고 러일전쟁 직후 러일 양국을 중재하여 포츠머스 강화조약을 성립
1919 우드로 윌슨 미국 제1차 세계 대전국제연맹의 창설에 기여정작 미국은 국제연맹에 불참했다는 건 함정
1922 프리드쇼프 난센 노르웨이 난민들을 위한 여권인 난센 여권의 발행으로 난민 보호에 기여
1925 오스틴 체임벌린[1]
찰스 G.도스
영국
미국
부전조약이라 불리는 로카르노 조약 체결에 기여
도스안을 마련, 재정위기에 처한 독일의 배상금 문제를 일부 해결하여 중부유럽의 안정에 기여
1926 아리스티드 브리앙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프랑스
독일
전년도의 체임벌린과 동일하게 로카르노 조약 체결에 기여
1935 카를 폰 오시에츠키[2] 독일 독일 내 반전평화운동의 적극적 추진과 독일 재군비 폭로
1948 수상자 없음 - 비폭력불복종 운동의 마하트마 간디 수상이 유력했으나 간디가 암살당하면서 수상자 선정을 하지 않음
1951 레옹 주노 프랑스 국제노동기구(ILO)의 창설
1952 알베르트 슈바이처 프랑스 아프리카에서의 오랜 의료봉사활동과 이를 통한 인류에의 헌신
1953 조지 마셜 미국 마셜 플랜을 통한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유럽 재건과 부흥스탈린 피꺼솟
1961 다그 함마르셸드 스웨덴 국제연합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분쟁지역에서 분쟁해소와 평화에 노력. 수상 결정 후 콩고 분쟁 중재차 현지로 향하다 비행기 사고로 추락사하여 수상하지는 못함.
1964 마틴 루터 킹 미국 미국 시민권 운동을 주도, 특히 차별받는 흑인들에 대한 인권 운동에 기여
1965 유니셰프 - 전 세계 아동에 대한 처우개선
1968 르네 카생 프랑스 UN 인권선언을 기초함
1971 빌리 브란트 독일 서독의 총리로서 동유럽에 대한 사과와 화해에 기반한 동방정책을 실현
1973 헨리 키신저
레득토[3]
미국
베트남
파리 협정으로 오랜 베트남 전쟁을 끝내고 동남아시아에 평화를 가져왔다.북베트남 : 속았지롱?[4]
1978 안와르 사다트
메나헴 베긴
이집트
이스라엘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통해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오랜 적대관계를 종식시킴[5]
1979 마더 테레사 인도 인도 빈민에 대한 끊임없는 봉사
1983 레흐 바웬사 폴란드 폴란드 자유노조운동을 이끌며 폴란드 민주화에 기여
1984 데즈먼드 투투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적극적 항거
1989 14대 달라이 라마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독립 운동과 비폭력항쟁의 유지
1990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냉전 종식과 소련 민주화소련을 말아먹은 혁혁한 공로
1991 아웅산 수지 미얀마 미얀마의 민주화 및 인권에 대한 기여[6]
1993 넬슨 만델라
프레데릭 빌렘 데 클레르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십여 년 동안 계속된 최악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시키고 평화적인 민주화 확립에 기여
1994 야세르 아라파트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이스라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분쟁을 종식시키기로 합의, 중동에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킬 계기를 마련하였다.[7]
1996 카를루스 벨루
주제 라모스 오르타
동티모르 동티모르 분쟁 및 독립운동에 있어 폭력수단을 배제한 평화적 해결 방안을 모색
1996 조디 윌리엄스
지뢰금지국제운동
미국
대인지뢰의 사용금지 및 현재 매설된 지뢰의 제거작업
1999 국경없는 의사회 - 세계 각지에서의 인도주의적 의료봉사활동
2000 김대중 대한민국 한국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에 기여[8]
2001 코피 아난
국제연합
가나
-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조직적 공헌 UN 조공
2002 지미 카터 미국 세계 평화와 전 인류의 보편적 인권을 향한 끝없는 봉사김일성을 비롯한 수많은 독재자들을 제거
2003 시린 에바디 이란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의 여성 인권 개선을 위한 투쟁[9]
2006 무함마드 유누스
그라민 은행
방글라데시 빈곤층의 경제적 자립력 확보와 이를 통한 빈곤 퇴치에 기여[10]
2007 앨 고어
IPCC[11]
미국
-
범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재앙을 경고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
2008 마르티 아티사리 핀란드 내전중이던 인도네시아 정부군과 아체 반군을 중재, 내전 종식과 평화협정을 이끌어냄
2009 버락 오바마 미국 국제 외교와 인류의 협력 강화에 기여[12]
2010 류사오보 중국 중국의 인권 신장을 위한 투쟁과 기여[13][14]
2012 유럽연합 -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럽의 화합과 번영에 기여[15]
2014 카일라쉬 사티아르티
말랄라 유사프자이[16]
인도
파키스탄
아동 인권신장과 교육기회 부여[17]
2015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튀니지

각주

  1. 뮌헨 협정체코슬로바키아를 팔아먹고 거짓된 평화를 얻어온 네빌 체임벌린의 형이다. 한국에서는 네빌 체임벌린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2. 제국의사당 방화로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계속 수용소에 구금된 상태였다. 불행히 살아생전에 상을 수여받지 못하고 1938년 사망. 정치적 이유로 상을 수상하지 못한 최초의 사례이다.
  3. 수상을 거부했다.
  4. 1975년 북베트남은 파리 협정을 파기하고 남베트남을 침공, 무력통일을 이룩한다. 레득토의 수상 거부는 이를 예고한 것이었다.
  5. 사다트는 이후 무슬림형제단에 의해 암살당하지만 이집트의 대 이스라엘 정책 기조는 유지되었다.
  6. 수상 당시 가택연금 상태였기에 남편(영국인)이 대리 수상했다. 가택연금이 해제된 후 21년 만에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노벨상 수상 연설을 한다.
  7. 불행히도 팔레스타인에선 강경파 하마스가 득세하기 시작했고, 이스라엘에선 노벨상을 수상한 라빈을 반역자라 규탄, 이듬해인 1995년 극우파에 의해 암살당했다. 중동의 평화는 현재까지도 요원하다.
  8. 한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
  9. 2009년 이란 정부는 그녀의 노벨상 메달을 압수(!)해가는 용자짓을 저질렀다 국제사회의 규탄 속에 반환했다.
  10. 무함마드 유누스는 그라민 은행의 설립자로, 빈곤층에게 소액, 저리의 신용대출을 해주어 최소한의 생활력과 경제적 자립능력을 양생하는데 주력하였다. 일방적인 원조가 아닌, 저리긴 하지만 명백한 대출을 통해 경제구조적 측면에서 빈곤퇴치에 노력했다. 이 수상을 통해 노벨위원회는 빈곤(가난)의 퇴치도 세계평화의 범주라는 사실을 천명하며 평화의 해석 범위를 크게 넓혔다.
  11.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12. 정치적으로 상당히 논란이 되는 수상이었다. 2009년은 오바마 취임 첫 해였고, 딱히 뚜렷한 평화에의 기여는 없었다. 이라크, 아프간 철군이 논의되었지만 평화적 목적이 아닌 순전히 미국 내부적 상황이었고, 핵무기 감축을 논의하긴 했지만 2009년 기준으로 아직 합의가 된 사항은 아니었다. 때문에 이 수상을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만을 보고 준 상으로 보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 우스개소리로 조지 W.부시와 공화당 정권을 끝냈기에 수여한 거 아니냐고도.이게 사실같은데?
  13. 중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 중국계가 수상한 적은 있으나 중국 국적을 포기한 이후의 수상이어서 중국 국적자로는 류사오보가 처음이다. 중국에서는 류사오보를 애써 무시하고 201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모옌을 첫 노벨상 수상자로 치켜세우고 있다.
  14. 중국이 류사오보를 가택연금하고 그 가족, 친지, 친구들의 출석도 불허하여 류사오보의 사진을 의자에 올려놓는 공석 시상이 이루어졌다. 이후 중국과 노르웨이 양국간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다.
  15. 오바마보다 더한 정치적 논란에 시달린 수상이었다. 당시 유럽 일부 국가들의 경제적 위기로 분열위기가 EU 회의론이 나오고 있어 이를 무마하려는 수상이라는 것
  16. 약 16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노벨상 수상자이며 파키스탄 최초의 수상자
  17. 2009년, 2012년을 능가하는 논란이 있던 수상이다. 아동 인권 및 교육기회 제공이라는 취지에는 다들 공감하지만 말랄라의 경우, 그녀가 탈레반에 의해 피습되어 생긴 유명세를 이용하려는 수단으로 상을 준 것 아니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