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서 중앙은행이 일반은행과 거래할 때의 금리를 의미한다. 시중 일반 금리의 기준이 되며 기준금리 변동은 통화정책의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다.[1] 미국은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일본은 콜금리를 기준금리로 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에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직접 설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통화정책 운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준금리의 변동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편집 | 원본 편집]

기준금리가 오르게 되면 금융기관은 이자 부담으로 인해 영업 이윤이 줄게 된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금융기관은 개인 혹은 기업에게 한 대출 금리를 높이게 된다. 이는 경제주체들이 대출을 자제하게 만들어 경제 전반의 소비가 줄게 된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반대의 현상이 발생해 소비가 늘어 경제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지만 늘어난 화폐량로 인해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기도 한다.[1] 기준금리는 이 항목에서 설명된 경로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실물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흥국의 딜레마[편집 | 원본 편집]

미국이란 나라가 워낙 덩치가 큰 데다 달러가 세계 화폐로 통용되기 때문의 미국의 기준금리 변동은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면 달러가 강세를 보이며 이에 따라 주로 달러로 거래되는 유가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2]

경제 상황을 고려했을 때 금리를 인하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미국에서 금리인상 움직임이 보인다면 신흥국은 무작정 금리를 하락하기 어렵다. 금리 인하는 보통 침체된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하는데, 금리를 낮춰버리면 외국 자본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 등으로 빠져나가기 때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지만, 오히려 외국 자본이 들어와 거품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학자 Helene Rey는 이를 신흥국이 가진 딜레마라고 표현했다.[1]

선진국은 신흥국에 비해 미국의 금리인상에 비교적 타격을 덜 받는 편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