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남극성구

근남극성구(近南極星區)는 천구의 남극에 가까운 하늘 구역을 뜻한다. 본 문서는 동아시아의 별자리 체계 중 동아시아에서 전혀 보이지 않는 천구의 남쪽 영역을 다룬다.

3원 28수에 기반한 별자리 체계는 조선 초기와 그 이전 시기부터 꾸준히 전해져왔다. 여기에 명나라 말기 서광계(徐光啓)가 유럽의 성도를 참고해 보이지 않는 구역을 추가로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비롯한 여러 오래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구성 별자리[편집 | 원본 편집]

근남극성구에 속한 별자리는 총 23개이다.

참고로 현대 별자리는 더 늦은 시기인 20세기에 최종 정착된 별자리 체계이기에, 현대 별자리와 정확히 일대일 대응하지는 않는다.

별자리 한문 별 개수 현대 별자리 대응
해산 海山 6 용골자리, 센타우루스자리, 돛자리, 파리자리
십자가 十字架 4 남십자자리
마미 馬尾 3 센타우루스자리
마복 馬腹 3 센타우루스자리
밀봉 蜜蜂 4 파리자리
삼각형 三角形 3 남쪽삼각형자리
이작 異雀 9 극락조자리, 팔분의자리
공작 孔雀 11 공작자리
파사 波斯 11 인디언자리, 망원경자리
사미 蛇尾 4 물뱀자리, 팔분의자리
사복 蛇腹 4 물뱀자리
사수 蛇首 2 물뱀자리, 그물자리
조훼 鳥喙 7 큰부리새자리
12 두루미자리, 큰부리새자리
화조 火鳥 10 봉황자리, 조각가자리
수위 水委 3 봉황자리, 에리다누스자리
부백 附白 2 물뱀자리
협백 夾白 2 황새치자리, 그물자리
금어 金魚 5 황새치자리, 화가자리
해석 海石 5 용골자리
비어 飛魚 6 날치자리
남선 南船 5 용골자리
소두 小斗 9 카멜레온자리

주요 항성[편집 | 원본 편집]

아래는 주요 항성의 동양 명칭과 현대 명칭을 나타낸 것이다.

한글 이름 한문 이름 바이어 명명법 고유 이름
수위1 水委一 에리다누스자리 α 아케르나르
마복1 馬腹一 센타우루스자리 β 하다르
십자가1 十字架一 남십자자리 γ 가크룩스
십자가2 十字架二 남십자자리 α 아크룩스
십자가3 十字架三 남십자자리 β 미모사
남선5 南船五 용골자리 β 미아플라시두스
해석1 海石一 용골자리 ε 아비오르
학1 鶴一 두루미자리 α 알나이르
공작11 孔雀十一 공작자리 α 피콕
삼각형3 三角形三 남쪽삼각형자리 α 아트리아
화조6 火鳥六 봉황자리 α 안카
사수1 蛇首一 물뱀자리 α
조훼1 鳥喙一 큰부리새자리 α
파사2 波斯二 인디언자리 α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