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기무사령부 쿠데타 기도 사건은 2017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당시 국군기무사령부에서 친위 쿠데타를 계획한 사건이다.
배경[편집 | 원본 편집]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소야대(당시 새누리당이 여당임) 정국이 형성되고, 최순실 게이트에서 촉발된 촛불시위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로 이어져 정권의 존속이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그 상황에서 국군기무사령부에서 위수령과 계엄령을 악용해 국민을 진압하고, 박근혜 정권의 연장을 꿈꾸며 문건을 작성했다.
타임라인[편집 | 원본 편집]
- 2016년 촛불시위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박 대통령이 계엄령을 준비한다는 첩보를 입수했다.'라는 발언을 했으며[1], 시위 현장에 리퍼트 당시 주한미국대사가 이따금씩 산책을 한다며 모습을 드러냈다[2]. 후일 추 대표의 첩보는 反쿠데타 세력으로부터 입수한 첩보였음이 알려졌으며, 리퍼트 대사의 경우 군 정보기관에 몸담고 있었던 경력을 통해 정보를 입수하거나 추측했을 것으로 회자되고 있다.
- 2017년 3월 3일, 국군기무사령부에서 국방부에게 계엄령 문건 보고
-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탄핵 인용
- 2018년 1월 25일, 국군기무사령부에서 “정치적 중립 준수 다짐 선포식”을 실시했다. 전 기무부대에서 모든 장병이 손을 씻으며 고강도 개혁을 해야한다고
생쇼다짐했다.[3] - 2018년 7월 5일, <전시 계엄 및 합수 업무 수행 방안>(8쪽) 문건 폭로[4]
- 2018년 7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기무사에 대한 특별수사 지시[5]
- 2018년 7월 23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대비계획 세부자료>(67쪽) 공개[6]
쿠데타 주요 계획[편집 | 원본 편집]
- 위수령 관련
- 경찰력만으로 집회 통제가 어려워져 광역지자체장이 군 병력 출동을 요구할 것이라 가정
- 육군총장이 위수사령관을 발령하고, 위수사령관은 위수령을 발령
- 위수령 선 조치 후 합참총장에게 후 보고(육군 단독으로는 병력 이동명령 불가)
- 계엄령 관련
- 사회 혼란으로 경찰력만으로 집회 통제가 어려워질 것이라 가정
- 국방부의 제청으로 NSC에서 협의, 대통령(또는 권한대행)을 통해 계엄령 선포
- 계엄군으로 기계화보병사단 6개, 기갑여단 2개, 특전여단 6개 투입
- 주요시설(청와대, 국회, 헌법재판소 등)에 여단급 병력 파견
- 기타 정권 안위를 위한 조치
- 당정 협의체를 통해 여당(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계엄령 해제 투표 출석 방지
- 반정부 행위를 방지한다는 구실로 야권 국회의원 체포, 계엄령 해제 시도 저지
논점들[편집 | 원본 편집]
- 역사인식과 민주사회 위협
- 누가 지시했는가?
- 머릿속이 꽃밭
- 계엄으로 넘어가기 전에 서울지역 위수령으로 기초를 다지고자 했는 데, 당시 서울시장이 누구였는지를 생각해봤을 때 위수령 발동협조 조차 얻지 못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북한과의 대립이 최고조였던 시점에서 육군의 주축인 기보사단과 기갑여단의 총구를 국민에게 돌려 국가의 적이 누구인지 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 설사 실제로 계엄령이 실행되어 전국 각지에 계엄군이 파견되어도, 병력의 절대다수가 원래 일반 시민이었던 징병 병사들이고 시민들도 호락호락하게 나오지 않았을 터였기에 소련 8월 쿠데타처럼 전개되었을 것이다.
각주
- ↑ 추미애 "朴대통령 계엄령 준비한다는 정보 돌아…즉각 하야하라", 뉴시스, 2016.11.18.
- ↑ 리퍼트 美대사도 ‘朴대통령 퇴진’ 촛불집회에 동참?, 헤럴드경제, 2016.11.07.
- ↑ 기무사, 정치 중립 준수 다짐 선포식 열어, YTN, 2018.01.25.
- ↑ 촛불집회 때 '군 출동 검토', 이번엔 기무사 문건 나왔다, JTBC, 2018.07.05.
- ↑ 文대통령 '촛불집회 계엄령 검토' 관련 국방부에 수사 지시, 연합뉴스, 2018.07.10.
- ↑ 기무사, 朴 탄핵 후 모든 상황 적용 가능한 계엄계획 세웠다, 세계일보, 2018.07.24.
- ↑ "한민구 전 국방장관 지시로 계엄문건 작성", YTN, 2018.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