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학

(교육대학교에서 넘어옴)

교육대학(敎育大學)은 초등교원(초등학교 교사)을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를 의미한다. 대부분 별개의 대학이 설치되어서 운영되지만 대학 통폐합이나 다른 이유로 종합대학 내에 초등교육과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대부분 국립이지만 이화여자대학교의 경우는 예외로 사립이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줄여서 교대라고 부른다. 오늘날에는 4년제이지만 과거에는 2년제였고, 더 오래 전에는 대학이 아니라 고등학교 과정(사범학교)이었다.

한국의 교대는 고등교육법 제 41조에 의거 초등교육만 전담하고 있다. 이게 종합대학의 학과로 운영되면 초등교육과란 이름이 되나, 국내의 종합대학 중 초등교육과를 운영하는 곳은 이화여대제주대, 그리고 종합대학이 아닌 특수목적대학교인 한국교원대 밖에 없다. 그중 교원대는 설립 목적이 명백하고, 제주대는 원래 독립된 교대였던 제주교대와 합병한 것이니, 처음부터 초등교육과를 운영했던 종합대학은 이대밖에 없는 셈이다.

초등학교는 담임교사 1명이 (원칙상)[1] 모든 과목을 가르치는 체제인만큼 배우는 내용은 중등교육의 사범대학교보다는 전문성이 떨어진다. 이과 과목을 예로 들면 교대에서는 미적분학과 일반시리즈만 배우면 끝난다고 하나, 사범대학교는 교수과목에 대해서는 그 과목의 일반학과와 똑같이 배운다! 사대가 같은 학교의 일반학과보다 몇 계단은 높은 취급 받는 이유 중 하나로, 사대는 사실상 학과 그 자체가 교수과목과 교육학의 복수전공인 것이다.[2] 하지만 깊이는 얕아도 예체능을 포함하여 모든 과목을 고등학생 이상 수준으로 배워야 하니, 무지하게 빡세다고 한다. 대신 대부분의 예체능 과목이 1, 2학년 위주로 편성되다 보니 파릇파릇한 새내기들이 츄리닝을 입고 캠퍼스를 돌아다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임고생만 츄리닝 입는 거 아님!! 대신 임고생은 도서관에 가지.. 써글

교대에는 부설초등학교가 있다. 교대생들이 교생실습을 하고,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었을 때 제일 먼저 적용(실험)해 보기도 하는 학교이다. 국립대 부설초등학교와 마찬가지로 국립초등학교이다. 사립초등학교처럼 지원과 추첨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고, 학생들이 교복을 입고 다니고,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이 제공되어 인기가 높다. 또한 비싼 학비를 부담해야 하는 사립초등학교와 달리, (국립에 의무교육 과정이라) 학비가 무료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현실[편집 | 원본 편집]

과거 교육대학은 그리 인기가 높은 편은 아니었지만, 1997년 IMF 사태 이후 안정적인 직장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레 교육대학의 선호도도 높아졌다. 일단 교육대학 졸업후 임용고시를 거쳐 교사가 된다면 정년까지는 신분보장이 되는 직업이고, 1년에 2차례 방학이라는 유급휴가가 주어지며 퇴직 후 연금 등 복지도 좋기 때문. 문제점은 지나친 여성편중이라는 것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비는 여초현상이 매우 심하다. (하지만 유치원어린이집보다는 남교사가 많다.) 또한 저출산 등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갈수록 교사들의 밥그릇도 작아지는 추세라 최근에는 임용고시에 합격해도 해당지역에 T.O가 나지않아 백수생활을 하는 예비교사도 제법 많다고 한다.

한국의 초등교육 양성기관[편집 | 원본 편집]

교육대학 이외에 학부과정에 해당 학과가 있는 대학까지 기재

각주

  1. 학교에 따라서는 예체능이나 영어 등 가르치는 데 전문성이 필요한 과목은 전담교사를 두는 경우도 있으나 그런 학교도 전담교사와 담임교사를 순환보직을 시킨다. 애초에 초등학교의 과목 전담교사 제도는 강제성이 없는 곳이다.
  2. 그래서 사범대는 학위도 교육학과가 아니라면 교육학사가 아니라 교수과목의 학사 학위로 나오고, (예를 들어)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과, 수학과와 수학교육과... 등등의 졸업장은 대학원 진학할 때는 그냥 호환된다고 한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교육대학교 문서의 223780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