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전거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자전거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빌려주고 반납하는 체계를 갖춘 대중교통을 의미한다. 출퇴근용이나 운동, 또는 레저할 때 활용이 가능하다. 시민의 편의를 추구하고 대중교통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관련 정책이 추진된다.

대한민국에서의 현황[편집 | 원본 편집]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전거를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갖추고 있는 곳에 비해 체계적인 대여 - 반납 시스템을 갖춘곳은 의외로 적다. 관리가 안 되는 경우 비양심적인 사람들이 훔쳐가서 도색만 바꿔 자기 것인 마냥 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가장 최악의 사례 중에서 '양심자전거'라는 것이 있었다. 진짜 양심에 맡겼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자전거 무료 나눔한 꼴이 되어버렸다.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들면 단거리 수요를 확실히 잡기 때문에 경쟁 대상이 되는 대중교통인 버스택시의 매출에 타격을 입힐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창원시누비자, 고양시피프틴의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관리 부족으로 이용가능한 멀쩡한 자전거가 극히 부족한 경우도 있다. 또한 시스템상의 허점으로 반납이 불편해서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도 하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같은 서울시내임에도 불구하고 구가 달라져 반납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목적지 근처에서 먼 곳에서 반납하게 되어 많이 불편해진다.

빌리는 곳이 몇 없어 그림의 떡인 곳도 있다. 심한 경우 시민들이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지형상의 문제로 경사가 심해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곳도 있다.

다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공공자전거 중에서 이용객,이용률등에서 최다 성과를 이룬다고 평가받는 창원시누비자조차도 적자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자전거를 험하게 쓰다보니 수리비용으로 나가는 돈이 만만찮다.

수도권[편집 | 원본 편집]

서울[편집 | 원본 편집]

따릉이 문서 참고. 다만 따로 놀고 있는 구도 있어서 불편한점이 있다. 서울시 자전거 대여소 목록

경기도[편집 | 원본 편집]

인천[편집 | 원본 편집]

충청권[편집 | 원본 편집]

동남권,대구권[편집 | 원본 편집]

광주권, 전라권[편집 | 원본 편집]

제주권[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국내에선 이 분야의 대표적 성공적 사례로 뽑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