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JPG
건축물 정보
주소 전라남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대지면적 189,764 m2
문화재 정보
종목 사적 제145호
지정일 1965년 4월 1일

조선시대 고창(高敞)지역 고을의 읍성으로 고창군의 옛 이름인 모량부리를 따서 모량성, 혹은 모양성이라고도 한다. 이 성은 호남의 내륙지역을 방어하는 요충지에 있는 읍성으로 단종 원년인 1453년에 세워진 것이라고도 하며, 숙종대에 완성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게 알려진 바는 없다. 성 둘레는 총 1,684m로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이며, 동문, 서문, 북문의 3개 문과 각 문에 옹성이 설치되어 있으며, 6개소의 치와 해자들이 갖춰져 있어서 읍성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었던 성이다.

특성[편집 | 원본 편집]

조선시대에 있던 읍성들 중에서 그 형태가 상당히 온전하게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읍성[1]들 중 하나이다. 때문에 성곽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좋은 자료가 되고 있는데 특이하게도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을 가지고 있어서 고구려 시대의 성문이나 보은의 삼년산성,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가 되고 있다.

읍성 자체의 방어력도 꽤 높았던 편인데 일반적인 조선시대의 읍성은 그냥 행정적 중심지와 치안유지라는 의미가 강하고 유사시에는 인근의 산성으로 피난을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 고창읍성은 북문쪽 입구만 평지와 접하고 있을 뿐 나머지 성곽구간은 사실상 포곡식 산성과 다름없는 지형에 건설되어 있는데다 읍성주제에 각 돌출부에 치성(雉城)이 6군데나 붙어있고 3개의 문루 모두에 옹성까지 설치되어 있어서 사실상 읍성의 탈을 쓴 산성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또한 이런 지형적 특성 덕분에 일제의 읍성철거의 만행 속에서도 원형 그대로를 거의 다 보전한 채 살아남게 된 몇 안 되는 읍성중 하나이다

기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이 성은 여성들의 성밟기 행사로 유명하다. 흔히 고창 성밟기, 혹은 모양성 밟기로 알려진 것이 바로 그것으로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기원하는 의식의 하나로 일종의 지신밟기라고도 할 수 있다. 사실 땅밟기의 기원[2] 물론 진짜 목적은 겨우내 얼었다 녹은 성벽을 돌을 이고 다지면서 성을 보수하는 것이었다.

각주

  1. 형태가 온전하게 남은 다른 읍성은 해미읍성낙안읍성 정도가 있다
  2. 취소선을 그어놨지만 사실 개신교에서 하는 소위 땅밟기 행위는 사실 이러한 지신밟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무속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