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왕

고이왕(古爾王, 생년 미상~286년, 재위 기간 234년~286년)은 백제의 제8대 국왕이다. 백제의 기틀을 다진 중요한 왕이며 구이왕(久爾王)이라고도 불린다. 사반왕의 숙부이며 사반왕이 너무 어려서 정사를 잘 처리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반왕을 폐위시켰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왕위에 오르다[편집 | 원본 편집]

고이왕은 사반왕의 숙부였는데 6대 국왕이었던 구수왕이 죽고 7대 국왕으로 어린 사반왕이 즉위하자 사반왕 대신 치정을 도맡아 했다. 그러다가 사반왕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사반왕을 폐위시켰으며 대신 자신이 왕위에 올라서 백제의 8대 국왕이 된다.

치정[편집 | 원본 편집]

고이왕 시기에는 지금의 충청북도 제천시, 단양군 부근에서 신라와의 충돌이 잦았지만 별로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1] 이외에도 낙랑군을 침략하였으며, 말갈, 동예, 남옥저와도 충돌하여 대외적으로 크게 팽창했다.

내부적으로도 많은 개혁이 이루어졌는데, 특히 기존의 좌우보 체제를 개혁하여 여섯 개의 좌평(육좌평)을 두고 그들에게 다양한 직무를 맡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품계에 따라 관복을 제정했으며 이런 체제 정비를 통해 왕권 강화라는 결과를 이끌어 냈다.

이후 고이왕은 신라에 대한 외교 활동을 벌이다가 즉위한 지 53년 되는 286년에 죽었다.

가계[편집 | 원본 편집]

고이왕의 가계는 보통 《삼국사기》의 기록대로 하여 개루왕의 둘째 아들로 보지만, 개루왕의 첫째 아들인 초고왕이 죽은 후 20년 뒤에 즉위하여 다시 50년을 즉위하였으므로 논란이 있다. 따라서 고이왕의 가계는 불명확하며, 사반왕의 숙부라는 것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그 당시 왕들[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사실 신라가 백제와 국경을 마주한 것은 300년 뒤인 지증왕 시기이다. 이 시기에 백제와 충돌한 세력은 진한 계열의 작은 소국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