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에 최남선이 지은 창가. 원제는 경부텰도노래(京釜鐵道歌)이다. 총 67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인이 발간하는 <소년>에서 발표했다.
일본의 철도창가 노래에 맞춰 작사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4·4조 등이 아닌 최초로 7·5조 율격을 사용한 국내 노래이다. 곡은 철도창가(오오노 우메와카 버전) 외에도 스코틀랜드 민요 'Coming Through The Rye'에 맞춰 부르기도 했다지만 국내외에 당시의 노래 녹음 파일이 없어 확인은 불가능하다.
가사[1][편집 | 원본 편집]
볼드체는 현재 역.
1.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소리에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같으니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2. 늙은이와 젊은이 섞어 앉았고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혀 지내니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3. 관왕묘와 연화봉 둘러보는 중 어느 덧에 용산역 다달았도다
새로 이룬 저자는 모두 일본집 이천여 명 일인이 여기 산다네
4. 서관가는 경의선 예서 갈려서 일산수색 지나서 내려간다오
옆에 보는 푸른 물 용산나루니 경상강원 웃물배 뫼는 곳일세
5. 독서당의 폐한터 적상하면서 강에 빗긴 쇠다리 건너나오니
노량진역 지나서 게서부터는 한성지경 다하고 과천땅이다.
6. 조조양양 흐르는 한강물소리 아직까지 귀속에 쳐져있거늘
어느 틈에 영등포 이르러서는 인천차와 부산차 서로 갈리네
7. 예서부터 인천이 오십여 리니 오류 소사 부평역 지나간다네
이 마음에 틈을 타 다시 갈차로 이번에는 직로로 부산가려네
8. 관악산의 개인경 우러러보고 영랑성의 묵은 터 바라보면서
잠시동안 시흥역 거쳐 가지고 날개 있어 나는 듯 안양이르러
9. 실과 같은 안양을 옆에 끼고서 다달으니 수원역 여기로구나
예전에는 유수도 지금 관찰부 경기도의 관찰사 있는 곳이라
10. 경개이름 다 좋고 서호항미정 그 옆에는 농학교 농사시험장
마음으로 화영전 담배한후에 대성인의 큰효성 감읍하도다
11. 달 바라는 라각은 어찌되었나 물 구경 터 화홍문 변이 없는지
운담풍경 때맞춰 방화수유정 등어상연 겸하는 만석거로다
12. 광교산을 옆하고 떠나나가서 잠시간에 병점역 이르렀도다
북에 뵈는 솔밭은 융능뫼신도 이름높은 대황교 거기 있다오
13. 이다음에 정차장 오산역이니 온갖곡식 모이는 큰 장거리오
그 다음에 정차장 진위역이니 물새사냥 하기에 좋은 터이라
14. 서정리를 지나서 평택이르니 들은 늦고 산낮아 들만 넓도다
묘한경치좋은 토산 비록 없으나 쌀 소출은 다른데 당하리로다
15. 게서 떠나 성환역 다달아서는 해가 벌써 아침때 훨씬 겨웠네
오십년전 일청전 생각해보니 여기 오매 옛일이 더욱 새로워
16. 일본사람 저희들 지저귀면서 그 때 일이 쾌하다 서로 일컬어
얼굴마다 기쁜 빛 가득하여서 일본남자 대화혼 자랑하는데
17. 그 중에도 한로파 눈물 씻으며 그 때통에 외아들 잃어 버리고
늙은 신세 표영해 이꼴이라고 떨어지는 눈물을 금치못하니
18. 말말마다 한이오 설움이어서 외국사람 나까지 감동되거늘
쓸데없는 남의공 자랑하기에 저의 동포 참상을 위로도 없네
19. 척수루의 빈터는 볼 수 있으나 월봉산의 싸움터 자취 없도다
안성천의 다리를 얼른 건너서 순식간에 직산역 와서 닿았네
20. 백제국의 첫도읍 위례성터는 성암산에 있으니 예서삼십리
천오동에 놓았던 구리 기둥은 돌 주초인 두개가 남았다더라
21. 이편저편 보는 중 모르는 틈에 어느 덧에 천안역 다달았도다
온양온천[2] 여기서 삼십리이니 목욕하러 가는 이 많이 나리네
22. 인력차와 교자가 준비해있어 가고 옴에 조금도 어려움 없고
청결하게 꾸며논 여관있으나 이는 대개 일본인 영업이라니
23. 이런 일은 아무리 적다하여도 동포생업 쇠함을 가히 알리라
그네들이 얼마나 잘하였으면 이것 하나 보전치 못하게되오
24. 백제 때에 이지명 탕정[3]이라니 그 때부터 안 것이 분명하도다
수천년간 전하던 이러한 것을 남을 주고 객되니 아프지 않소
25. 소정리와 전의역 차례로 지나 갈거리를 거쳐서 조치원오니
낙영산의 그림자 멀리 바라고 화양서원 옛일을 생각하도다
26. 내판역을 지나서 미호천건너 / 몇십분이 안되어 부강역이니
충청일도 윤내는 금강가이라 / 쌀 소금의 장터로 유명한데오
27. 사십리를 격조한 공주고을은 / 충청남도 관찰사 있는 곳이니
내포일관 너른 뜰 끼고 앉아서 / 이근처의 상업상 중심점이오
28. 계룡산의 높은봉 하늘에 다니 / 아태조 집 지으신 고적있으며
금강루의 좋인경 물에 비치니 / 옛 선비의 지은 글 많이전하네
29. 마미신탄 지나서 대전이르니 / 목포가는 곧은길 예가 시초라
오십오척 돌미륵 은진에있어 / 지나가는 행인의 눈을 놀래오
30. 증약[4]지나 옥천역 다달아서는 / 해가 벌써 공중에 당도하였네
마니산성 남은 터 바라보는중 / 그 동안에 이원역 이르렀도다
31. 속리사가 여기서 삼십리라니 / 한번 가서 티끌마음 씻을 것이오
운연죽던 양산이 육십리라니 / 쾌남아의 매운혼 적상하리라
32. 고당포를 바라며 심천이르니 / 크지 않은 폭포나 눈에 띠우고
그 다음에 영동역 다달아서는 / 경부사이 절반을 온세음이라
33. 삼십사번 화신풍 불어올 때에 / 때 좋다고 꽃피는 금성산인데
정든손을 나누기 어렵다하여 / 꽃다운 혼 스러진 낙화대로다
34. 미근[5] 황간 두역을 바삐 지나서 / 추풍령의 이마에 올라타도다
경부선중 최고지 이고개인데 / 예서부터 남쪽은 영남이라오
35. 얼마 안가 김천역 다달아보니 / 이전부터 유명한 큰장거리가
사통하고 원달한 좋은덴고로 / 이근처에 짝 없이 굉장하다네
36. 그 다음의 정차장 금오산[6]이니 / 이름 있는 도선굴 있는 곳이라
산아래에 지었던 길재사당은 / 지낸 세월 오래라 저리되었네
37. 금오산성 너른 곳 지금 어떠뇨 / 재연못과 한시내 그저 있는지
무릉도원 깊은데 역사피하듯 / 이전부터 그근처 피난곳이라
38. 약수역[7]을 지나면 왜관역이니 / 낙동강의 배편이 예가 한이요
삼백년전 당하던 임진왜란에 / 일본군사 수천명 머무던 데라
39. 왜관지나 신동에 신동지니면 / 영남천지 제일큰 대구군이라
경상북도 모든골 적고 큰일을 / 총할하늘 관찰사 여기 있으니
40. 부하인구 도총합 사만오천에 / 이천이백 일본인 산다하더라
산 이름은 연구나 거북 못보고 / 집 이름은 영귀나 관원있도다
41. 년년마다 춘추로 열리는 장은 / 우리나라 셋째의 큰교역이니
대소없이 안 나는 물건이없고 / 원근없이 안 오는 사람이었네
42. 누구누구 가르쳐 팔공산인지 / 일곱 고을 너른 터 타고 있으되
수도동의 폭포는 눈이 부시고 / 동화사의 쇠북은 귀가 맑도다
43. 달성산의 그윽한 운취 끼고서 / 경산군을 지나서 청도이르니
청덕루의 부던적 소리가 없고 / 소이서국 끼친체 영자도없네
44. 성현터널 빠져서 유천다달아 / 용각산을 등지고 밀양이르니
장신동의 기와집 즐비한 것은 / 시골촌에 희한한 경광이러라
45. 밀양군은 령서의 두서너째니 / 예전에서 도저부 두었던 데라
상업상에 조그만 중심이되어 / 상원들의 래왕이 끊이지 않네
46. 객관 동변 영남루 좋은 경개는 / 노는 사람 지팽이 절로 멈추고
만어산에 나는 돌 쇠북과같이 / 두드리면 쟁쟁히 소리난다네
47. 그다음에 있는역 삼랑진이니 / 마산포로 갈리는 분기점이라[8]
예서부터 마산도 만리동안에 / 여섯 군데 정차장 지나간다네[9]
48. 원동역을 지나서 물금에오니 / 작원관을 찾으며 낙동강끼고
머지않은 임경대 눈앞에있어 / 천하재자 고운을 생각하도다
49. 통도사가 여기서 육십리인데 / 석가여래 이마뼈 묻어있어서
우리나라 모든 절 으뜸이 되니 / 천이백칠십년 전 이룩한 바라
50. 물금역을 지나면 그 다음에는 / 해육운수 연하는 구포역이라
낙동강의 어귀에 바로 있어서 / 상업 번성 하기로 유명한데라
51. 수십분을 지난후 다시 떠나서 / 한참 가니 부산진 거기로구나
우리나라 수군이 있을 때에는 / 초선두어 요해처 방비하더니
52. 해외 도적 엿봄이 끊이었는지 / 남의 힘을 빌어서 방비하는지
해방함 한척 없이 버려 두었고 / 있는 것은 외국기 날린 배로다
53. 수백년전 예부터 일인사던곳 / 풍신수길 군사가 들어올 때에
부산으로 파견한 소서행장의 / 혈전하던 옛전장 여기 있더라
54. 범어사 대찰이 예서 오십리 / 신라 흥덕왕시에 왜관 십만을
의상이란 승장이 물리치므로 / 그 정성을 갚으려 세움이라네
55. 삼십리를 떨어진 동래온정은[10]/ 신라부터 전하는 옛 우물이라
수 있으면 도상의 피곤한 것을 / 한 번 가서 씻어서 뉘기리로다
56. 영가대의 달구경 겨를 못하나 / 충장단의 경배야 어찌 잊으리
초량역을 지나선 부산항이니 / 이철도의 마지막 여기라 하네
57. 부산항은 인천의 다음 연대니 / 한일사이 무역이 주장이 되고
항구안이 너르고 물이 깊어서 / 아무리 큰배라도 족히 닿이네
58. 수입수출 통액이 일천여만원 / 입항출항 선박이 일백여만둔
행정사무 처리는 부이이하고 / 화물출입 감독은 해관이하네
59. 일본사람 거류민 이만인이니 / 얼른 보면 일본과 다름이 없고
조그마한 종선도 일인이부려 / 우리나라 사람은 얼른 못하네
60. 한성남산 신령이 없기전부터 / 윤산신령 없은 지 벌써 오래니
오늘날에 이르러 새삼스럽게 / 강개함도 도리어 어리석도다
61. 검숭하게 보이는 저기 절영도 / 부산항의 목쟁이 쥐고 있으니
아무데로 보아도 요해혈지라 / 이충무의 사당을 거기 모셨네
62. 인천까지 여기서 가는 동안이 / 육십시간 걸려야 닿는다는데
일본마관[11]까지는 불과 일시에 / 지체없이 이름을 얻는다하네
63. 슬프도다 동래는 동남제일현 / 부산항은 아국중 둘째큰 항구
우리나라 땅같이 아니 보이게 / 저렇 듯한 심한양 분통하도다
64. 우리들도 어느 때 새 기운 나서 / 곳곳마다 잃은 것 찾아 들이여
우리장사 우리가 주장해보고 / 내나라 땅 내 것과 같이 보일가
65. 오늘 오는 천 리에 눈에 띄는 것 터진 언덕 붉은산 우리같은 집
어느 때나 내 살림 넉넉하여서 보기 좋게 집 짓고 잘살아보며
66. 식전부터 밤까지 타고온 기차 / 내 것같이 앉아도 실상 남의 것
어느 때나 우리 힘 굳세게되어 / 내 팔뚝을 가지고 굴려볼거나
67. 이런 생각 저생각 하려고 보면 / 한이없이 뒤대에 연적나오니
천리길을 하루에 다달은 것만 / 기이하게 생각되 그만둡시다
각주
- ↑ '경부 텰도 노래', 위키문헌
- ↑ 온양온천역은 1922년 개업으로 당시에는 천안역에서 타 교통수단으로 환승했다.
- ↑ 탕정역은 장항선.
- ↑ 1974년 8월 15일 폐지
- ↑ “미륵”(彌勒)의 오식으로 보인다.
- ↑ 폐역
- ↑ “약목”(若木)의 오식으로 보인다.
- ↑ 당시 명칭은 마산선이었으며, 경전선 복선전철화의 영향으로 거의 흔적이 없고, 3.15대로의 기념비만이 마산선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 ↑ 낙동강 - 진영 - 창원 - 구마산 - 마산. 당시 마산역은 마산선의 종착역으로 현재 역 위치와는 다소 다르다. 당시 위치는 마산합포우체국 부근.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온천장역이 가까움
- ↑ 마관(馬関)은 하관(下関)의 옛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