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5-1번 | |
---|---|
![]() 현재는 8201번으로 이동했다. |
|
노선 정보 | |
지역 | 광주시 |
종류 | 직행좌석버스 |
기점 |
구미동차고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
종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중)[1]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
거리 |
인가거리 75.4 km BIS 상 75.2 km |
운행시간 |
상행 05:00~00:40 하행 06:00~02:00 배차간격: 20~35분 |
운영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21대 |
분당신도시와 서울역을 이었던 광역버스이다. 지금의 광역버스가 있게 한 일등공신으로, 이 노선을 기점으로 경기도 시내버스에 "직행좌석버스"란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많은 시외버스가 광역버스로 바뀌기도 하였다.[2]
또한, 1995년 1113번과 함께 최초로 버스카드 시스템을 적용하고[3], 1997년에는 최초로 버스정차안내시스템을 선보이는 등[4] 여러 의미로 선구자적인 노선이기도 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95년 오리역과 광화문역을 연결하면서 타 도로인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하는 다른 좌석버스와 달리, 수도권 직행좌석버스 최초로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도록 노선이 개통되었다. 또한 서울특별시 차적의 좌석버스보다 300원이 저렴하면서 이동공중전화와 TV 수상기가 설치된 고속버스와 맞먹는 고급 차량을 사용하여 승객의 호응이 높아 130여 대에 이르는 대한민국 내 최다 차량 보유 시내버스 노선이라는 기록도 갖고 있었다.
물론 45-2번(현 9401번) 버스, 6006번(현 9404번) 버스, 736-1번(현 9408번) 버스, 7007번 (구 9409번, 9401B번) 버스 등이 개통하면서 수익성이 다소 악화되었으나, 1005-1번에 최초로 도입한 차량을 다른 경기도 신도시 지역에 투입함으로써 KD운송그룹 사세 확장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신분당선 개통 이후에도 절찬리 운행 중에 있었다가 2018년 10월 28일부로 최종 폐선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수송[편집 | 원본 편집]
정류소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상행 (왕) | 하행 (복) | |||||
---|---|---|---|---|---|---|
km | 정류소명 | BIS ID | BIS ID | 정류소명 | km | |
0.0 | 구미동차고지 | 07-041 | 07-040 | 구미동차고지 | 75.2 | |
1.2 | 오리역 | 07-058 | 07-057 | 오리역 | 74.8 | |
1.7 | 하얀마을.구미도서관 | 07-060 | 07-055 | 하얀마을 | 74.4 | |
2.0 | 까치마을.건영빌라.2001아울렛 | 07-332 | 07-054 | 까치마을건영빌라.구미도서관 | 74.0 | |
2.4 | 미금역 | 07-079 | 07-070 | 미금역.농협.2001아울렛 | 73.6 | |
3.0 | 대원사거리.까치마을 | 07-103 | 07-101 | 청솔마을.주공9단지.동아아파트 | 73.0 | |
3.3 | 헬스케어혁신파크.가스공사 | 07-121 | 07-119 | 헬스케어혁신파크.가스공사 | 72.7 | |
07-129 | 이마트앞 | 72.2 | ||||
4.1 | 분당도서관.계원예고.이마트 | 07-116 | ||||
07-106 | 분당도서관.계원예고.계원예술학교 | 71.9 | ||||
4.6 | 한진아파트 | 07-094 | 07-091 | 한솔프라자 | 71.5 | |
4.9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07-093 | 07-090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71.1 | |
5.0 | 한솔고교.정자동주민센터 | 07-423 | 07-414 | 정자동주민센터 | 71.0 | |
5.2 | 주공7단지.한솔종합사회복지관 | 07-092 | 07-088 | 주공7단지앞 | 70.7 | |
6.0 | 파크타운.롯데아파트 | 07-134 | 07-135 | 파크타운.양지마을 | 70.0 | |
6.9 | 샛별마을.우방아파트 | 07-192 | 07-325 | 중앙공원.샛별마을우방아파트 | 69.2 | |
7.2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 07-335 | 07-324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 69.0 | |
7.7 | 효자촌 | 07-219 | 07-218 | 동아우성아파트.효자촌.시범단지 | 68.4 | |
8.2 | 서현중학교 | 07-228 | 07-225 | 서현중학교 | 67.8 | |
8.8 | 새마을연수원입구 | 07-205 | 07-321 | 새마을연수원입구 | 67.2 | |
9.5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 07-561 | 07-168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프라자 | 66.6 | |
10.2 | 백현마을2단지 | 07-487 | 07-420 | 백현마을3단지 | 66.0 | |
10.5 | 백현마을1단지 | 07-488 | 07-493 | 백현마을4단지 | 65.7 | |
10.8 | [[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07-489 | 07-492 | [[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65.3 | |
판교TG(경유) | (미정차) | (미정차) | 판교TG(경유) | |||
금토JC(경유) | (미정차) | (미정차) | 금토JC(경유) | |||
청계산(경유) | (미정차) | (미정차) | 청계산(경유) | |||
염곡IC(경유) | (미정차) | |||||
(미정차) | 양재IC(경유) | |||||
23.1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22-297 | 22-296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53.6 | |
23.8 | 교육개발원입구(중) | 22-002 | 22-001 | 교육개발원입구(중) | 52.7 | |
24.4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중) | 22-004 | 22-003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중) | 52.2 | |
25.0 | 뱅뱅사거리(중) | 22-006 | 22-005 | 뱅뱅사거리(중) | 51.6 | |
25.5 | 우성아파트(중) | 22-008 | 22-007 | 우성아파트(중) | 51.1 | |
26.0 | 신분당선강남역(중) | 22-010 | 22-009 | 신분당선강남역(중) | 50.6 | |
26.7 | 지하철2호선.강남역(중) | 22-012 | 22-011 | 지하철2호선강남역(중) | 49.9 | |
27.3 | 논현역(중) | 22-014 | 22-013 | 논현역(중) | 49.2 | |
28.1 | 신사역(중) | 22-016 | 22-015 | 신사역.푸른저축은행(중) | 48.4 | |
한남IC(경유) | (미정차) | (미정차) | 한남IC(경유) | |||
31.0 | 순천향대학병원 | 03-163 | 03-164 | 순천향대학병원 | 45.7 | |
34.6 | 서울백병원.가톨릭평화방송.국가인권위(중) | 02-002 | 02-001 | 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중) | 42.0 | |
34.9 | 을지로2가.기업은행본점.서울노동청 | 02-158 | ||||
02-253 | 명동국민은행앞 | 41.3 | ||||
35.4 | 우리은행종로지점 | 02-139 | ||||
36.0 | 조계사 | 01-267 | ||||
37.2 | 세종문화회관 | 01-272 | ||||
(미정차) | 남대문로3가(경유) | |||||
38.5 | 신한은행본점 | 02-233 | ||||
02-121 | 숭례문 | 40.2 | ||||
(미정차) | 서울역교차로(경유) | |||||
39.5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중) | 02-005 |
연계 교통[편집 | 원본 편집]
- 오리역 (07-058, 07-057): ● 수인·분당선
- 미금역 (07-079, 07-070): ● 수인·분당선 · ● 신분당선
- 서현역 (07-561, 07-168): ● 수인·분당선
- 판교역 (07-489, 07-492): ● 신분당선 · ● 경강선
- 양재시민의숲역 (22-297, 22-296): ● 신분당선
- 양재역 (22-004, 22-003): ● 3호선 · ● 신분당선
- 강남역 (22-010, 22-009, 22-012, 22-011): ● 2호선 · ● 신분당선
- 신논현역 (22-012, 22-011, 22-014, 22-013): ● 9호선
- 논현역 (22-014, 22-013, 22-016, 22-015): ● 7호선
- 신사역 (22-016, 22-015): ● 3호선
- 을지로입구역 (02-139, 02-253): ● 2호선
- 광화문역 (01-272): ● 5호선
- 서울역 (02-005): KTX · 일반열차 · ● 1호선 · ● 4호선 · ● 공항철도 · ● 경의·중앙선
대중 문화[편집 | 원본 편집]
-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에 등장한다.[6]
각주
- ↑ 실제로는 회차 때문에 서울역교차로(경유)를 종점으로 한다.
- ↑ 박장식. “김주혁·이요원이 타던 그 버스, 이제는 안녕”, 2018년 11월 1일 작성.
- ↑ 허영섭 기자. “"카드로 계산" 버스 등장”, 1995년 9월 14일 작성.
- ↑ “문자호출기 내장 버스정차안내시스템 상용화”, 1997년 4월 15일 작성.
- ↑ [경기도]광주시 직행좌석버스 1005-1번 폐선에 대한 공지]
- ↑ 광식이 동생 광태 - 광식 이야기
광역급행 | |
---|---|
직행좌석 | |
일반좌석 | |
시내일반 | |
광주공영 |
|
맞춤형 | |
마을 | |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KD운송그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