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전라병영성

강진 전라병영성
전라병영성.jpg
건축물 정보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75 외(성동리)
대지면적 91,690 m2
문화재 정보
종목 사적 제397호
지정일 1997년 4월 18일
  • 강진(康津) 전라병영성(全羅兵營城)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설성, 또는 세류성이라고도 하는 성곽으로 조선 태종 17년(1417년)에 설치되어 갑오개혁인 1895년까지 전라도와 제주도를 포함한 지역을 총괄하는 육군의 총 지휘부인 전라병영(병마절도사영)이 주둔하던 성곽이었다. 이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이어진 왜구긔 침략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기존 광산현(현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 병영을 도강현(현재 강진군 병영면 일대)으로 옮기면서 당시의 전라병사 마천목 장군이 쌓았다고 한다.

1599년에 일시적으로 장흥으로 병영을 이전하였다가 다시 5년만에 성을 재사용하면서 병영성의 위치를 되찾았다. 조선시대 당시 성 내에는 객사와 여러 누각, 아사, 군기고 등이 들어차 있었으며 9개의 우물과 5개의 연못 등이 있는 꽤 발달한 성곽도시였다.

이 병영성은 울산병영성과 함께 남아있는 조선시대 병영성 유적으로 조선시대 당시 평지 읍성을 축조하는 방식을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전체 성곽의 길이는 1,060m이며 성벽 높이는 3.6m, 성 내부 면적은 93.139㎡에 이르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긴 축을 두고 있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성곽이다. 이 성곽은 1998년부터 지속적으로 복원을 시작하여 2020년 현재 4개의 성문과 옹성, 전체 성곽과 8개의 치(雉)가 있는 상태이며 성 외곽의 해자는 남문과 동문 일대에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있으며, 북문의 일대의 해자는 농수로화 되었으며 서문쪽은 소실된 상태이다.

내부 전각은 사적 지적 당시에는 터와 집수지만 남아있는 상태였으나 2020년 현재 복원사업에 들어가서 2022년까지 성 내 시설물의 일부(관아 등)를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하멜 표류기를 쓴 하멜이 이 곳에 억류되어 있기도 하였었다.
  • 1555년 을묘왜변 당시 왜구가 달량진 일대로 침략해 오자 당시 전라병사였던 원적이 이 곳에서 출병하였으나 패배하고 지휘관인 원적이 전사하였었다.
  • 1894년 12월에 동학농민군에 의해 성이 함락되었고 이 당시 성 내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 이런 이유로 한 때 성 내에 초등학교가 자리하는 등 훼손이 심하였으나 사적 지정 이후 본격적으로 복원이 시작되었다.
  • 전라병영성의 인근에는 수인산성이 배후 요새의 역할을 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