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천

간헐천이 분출하는 모습

간헐천(間歇泉, 영어: geyser)은 일정 주기로 물을 분출하는 샘을 뜻한다. 다만 일반적인 간헐천은 온천의 일종으로써 존재하며, 뜨거운 물과 수증기, 가스 등을 일정 간격으로 분출한다. 주로 화산지대 부근에 많이 존재하여 화산 지형의 하나로 보기도 한다.

분출 원리[편집 | 원본 편집]

  • 지하공동설 : 지하수가 지하의 빈 공간에 고여있게 되고 여기에 고여있는 물이 지열에 의해 뜨거워지고 해당 공간에 수증기가 들어차게 되면서 압력이 상승하여 분출하게 되고 분출 이후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서 분출을 멈추는 원리이다. 주로 대규모 분출을 하는 간헐천의 설명에 유리하다.
  • 수직관설 : 거의 수직으로 된 지하수계 내부에서는 물의 끓는점에 다다르는 지점이 있는데 이 지점의 물이 지하에서 끓게 되고 그에 따라서 끓지는 않는 상부의 물을 밀어내면서 분출하게 된다는 설. 분출량이 많지 않은 간헐천의 설명에 유리하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분출형태에 따른 구분
    • 규칙분출형 : 분출 주기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간헐천
    • 불규칙분출형 : 분출 주기가 제멋대로인 간헐천
    • 혼합형 : 보통 상태에서는 규칙적으로 분출하지만 이따금씩 제멋대로 분출하는 간헐천
  • 특수한 형태
    • 분기공 : 지하수량이 적거나 지열의 온도가 너무 높아 물이 아닌 수증기와 가스만 배출하는 구멍을 의미한다.

그 외[편집 | 원본 편집]

영어로 간헐천을 뜻하는 단어인 geyser는 아이슬란드어에서 분출한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인 Geysir가 어원이며 동시에 아이슬란드에 위치한 간헐천의 이름이기도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