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가짜뉴스(Fake news)란 실제 뉴스의 형식을 갖춘, 정교하게 공표된 일종의 사기물 또는 선전물, 허위 정보”를 의미한다.[1] 본래는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한 경우에 한정되었으나 미디어 기술 등이 발달하면서 이러한 것의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회적인 파급력이 커지게 되고 그 여파가 국제적인 문제에 이를 수준까지 확대되면서 이슈가 된 단어이다. 2000년대 초반에는 낚시성 기사라 불리는 수준이나 그냥 풍자를 하는 유머 소재 정도에서 머물렀지만 2010년대 이후 SNS플랫폼과 1인 미디어 등이 발달하면서 그 파급 속도가 훨씬 더 커지게 되었다.

발생 원인[편집 | 원본 편집]

  • 정치적 목적 : 전통적인 가짜뉴스의 생산 목적이다. 정적이나 적국에 대한 프로파간다가 대표적이다. 정권 유지나 체제 공고화 등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되거나 만들어진 가짜뉴스의 사례는 역사에서 얼마든지 볼 수 있다. 나치 괴벨스식 선동술이 대표적인 사례다.
  • 경제적 이익 : 가짜뉴스는 온라인을 타고 순식간에 퍼지고, 내용이 매우 자극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퍼지는 순식간에 조회수가 몰리고 웹 트래픽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가짜뉴스 플랫폼을 하나 만들어 놓고 의도적으로 트래픽을 유발, 이에 따른 광고 수익이나 다른 수익을 올리는 경우가 존재한다.
  •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신뢰 붕괴 : 책을 통해서만 정보가 전달되었던 과거와는 다르게 2010년대 들어 SNS 같은 미디어로 정보가 삽시간에 퍼지게 된 데다, 기존 전문가 집단의 정파의 이익에 따른 취사선택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이들에 대한 신뢰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었다. 기존 전문가들의 딱딱하고 알아듣기 어려운 설명이나 논리보다 좀 더 쉽게 다가오는 웹상의 정보가 전문가 집단이 정보를 통제하고 있다는 음모론을 발생시키는 계기를 제공한다.
  • 비전문적인 정보 범람 : 고의적이거나 혹은 해당 분야에 대한 무지 등의 이유로 발생한 잘못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쉽게 퍼지게 되면서 자신이 옳다고 믿고 있는 분야를 제외한 외부 정보에 대한 불신이 심해지게 되었다.

문제점[편집 | 원본 편집]

  • 사회적 신뢰도의 저하 : 가짜뉴스가 횡행할 경우 통상 사회적 자본으로 말할 수 있는 사회 전체의 신뢰지수를 갉아먹게 된다. 선동이나 거짓된 정보가 많아질수록 사회 전체의 신뢰도가 하락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나 절차 등이 필요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장치나 절차 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비용이 들며 이러한 것은 결국 해당 사회 전체의 보이지 않는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 사회 통합을 저해 : 일부 가짜뉴스의 내용을 보면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나 배제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나 배제를 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특정 조직을 강화시키거나 내부 결속을 꾀하는 방식인데, 이런 것을 이용할 경우 사회 전체의 통합을 상당히 저해시키고 특정 파쇼적 사고를 가진 집단들이 해당 사회 내에서 큰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어느 정도 사회가 통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가짜뉴스는 사회통합을 가로막는 역할을 하고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의 발전속도 저하를 초래한다.

판별법[편집 | 원본 편집]

  • 전에 들어본 적이 있는 뉴스 제공사인지 확인 : 가짜뉴스는 유사언론이나 이름만 그럴듯하게 내세운 경우가 많다. 아예 가짜뉴스나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만든 사이비 언론사인 경우도 있으니 제공자를 최우선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뉴스 소스를 확인 : 외신 보도를 인용하였다고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좋은 방법이다. 실제 해외에 존재하는 언론사인지 아니면 그쪽 동네에서 가짜뉴스나 낚시 등을 목적으로 하는 곳을 소스로 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국내 모 언론사가 해외 타블로이드지의 풍자나 유머성 가짜기사를 특종이라고 보도했던 사례가 있다. 이외에 평소에 이런 가짜뉴스를 자주 퍼뜨리는 곳이라면 애초에 믿고 거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 일어났다고 하는 곳이 지도상에서 정확히 알 수 있는 곳인지 여부 : 통상 가짜뉴스의 경우 가공된 지명인 경우이거나 인물인 경우가 많다. 특히 외국에서 벌어진 사건이라고 하면 해당 지명과 국가의 일치성 정도는 간단한 구글링만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가짜뉴스의 경우 일반적인 사람들이 잘 모르거나 알긴 아는데 이름만 들어본 정도 수준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 다른 곳에서도 보도된 적이 있는 내용인지 확인 : 교차검증의 필요성이다. 정보의 전달속도가 워낙 빨라진지라 어느 특정 언론사만이 완벽하게 단독으로 특종을 잡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아무리 웹에서 기레기라고 욕먹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도 통상 기자들은 늘 기사나 특종에 목말라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순식간에 교차검증이 가능해진다.
  • 추가적인 증거 확인 : 만일 국외 사례라면 해당 국가의 언론사를 직접 확인해 봐도 되고 국내 사례의 경우 조금 더 기다려 보는 것도 방법이다. 만일 이미지나 동영상이 있다면 해당 영상이나 이미지가 사용된 다른 소스가 더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도 방법이다.
  • 유사한 다른 이야기 여부 확인 : 일부 가짜뉴스의 경우 과거에 돌던 루머를 다시 각색해서 돌기도 한다.
  • 용어 사용의 확인 : 가짜뉴스는 단어를 교묘하게 바꾼다거나 번역을 의도적으로 비틀어 놓고, 단어 자체의 개념을 다르게 왜곡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언론사 생산 가짜뉴스[편집 | 원본 편집]

통상의 가짜뉴스는 언론사 자체가 별다른 규모가 없거나 찌라시 수준, 혹은 1인 미디어와 같은 경우가 다반사지만, 종종 메이저급 언론사에서 이러한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언론사 자체가 가지는 파급력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주로 여론조작과 같은 것에 활용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건국대 황용석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