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가갸날에서 넘어옴)
Libre hangeul white.png
리브레 위키 한글날 로고

한글날세종대왕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0월 9일[1]을 "한글날"로, 북한에서는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기념한다. 한글날이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지만[2], 북한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김일성선집에 따르면 "조선글은 인민이 과학적인 글자를 만들었다"는 언급만 있을 뿐 세종대왕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이 날에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기태극기를 단다.

유래와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세종실록에는 1446년(세종 28년) 음력 9월세종대왕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으로 쓰여 있다. 이를 근거로 1926년 지금 한글 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신민사가 당시 음력 9월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에 훈민정음 반포 여덟 회갑(48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지고, 이 날을 ‘가갸글’이라는 그때 한글의 이름에 따라 제1회 ‘가갸날’이라고 했다. 국어학자인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은 뒤인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1년 또는 1932년부터 양력인 그레고리력으로 당시 날짜를 따져 10월 29일에 지냈다. 한글연구단체인 조선어학회 회원이었던 국어학자 이희승이극로는 이를 1932년부터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1931년부터 양력으로 지냈다는 신문 기사도 있다. 1934년부터는 전문가들 의견을 따라 1582년 이전에 율리우스력을 썼던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한 10월 28일에 지내었다.

1940년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9월 상순에 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는데, 1446년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그레고리력으로 계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1]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만들었다.

1991년 공휴일이 지나치게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까닭으로 한글날은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빠진다. 그 뒤로 한글 학회 등 한글 단체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다시 제정하자는 운동을 하였고 2013년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2005년 10월 5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005년 11월 30일 법안심사 소위를 열어 한글날을 국경일로 높이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만든다. 이 개정안은 2005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한다. 그러나 국경일 휴무 여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해놓아, 국경일 지정이 곧바로 공휴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3] 그래서 한글날은 국경일이면서 쉬지 않는 날이 되었다. 그런 까닭에 일부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글날의 기념일 주관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2009년에 이어 다시 추진하였으며,[4]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어버이날과 함께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공휴일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고,[5]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한글날 공휴일 추진 범국민연합은 한글날을 앞두고 국민청원서를 제청하기도 하였다. [6] 2012년 11월 7일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관련 규정의 일부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고, 법률 절차를 거쳐 2012년 12월 24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됨에 따라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7] [8]

북한에서는 훈민정음이 쓰인 1443년(세종 25년) 음력 12월을 기준으로 해서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의 날로 제정했다.[2]

기념[편집 | 원본 편집]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한글날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여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선양하기 위한 행사를 한다”라고 되어 있다. 한글은 문자 체계이지만 한국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사람들 사이에도 한국어와 한글을 동일시하는 의식이 있기 때문에 국어 순화와 관련된 행사 같이 ‘한국어를 생각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2013년 10월 현재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은 안전행정부가 담당하고 있다.

언론사도 한글, 한국어 사용 습관과 관련된 기사를 써서 기념한다. 하지만 한국어(또는 우리말)를 한글이라고 잘못 쓴 기사도 많으니 주의하자. (예: 한글 자동차 이름…더 이상 볼 수 없나요? → 우리말 자동차 이름...더 이상 볼 수 없나요?)

1년 중에서 한글로 된 일부 포털 사이트(네이버, 다음, 구글(대한민국 지역 한정) 등) 및 방송사 로고(한국방송, 문화방송, 교육방송)를 볼 수 있는 유일한 날이기도 하다. 하지만 딱 하루만 적용된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1.0 1.1 사실 훈민정음 반포일의 정확한 날짜는 모른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46년 음력 9월 29일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고 되어 있는데,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 말문(末文)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세종 28년 9월’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1446년 9월 상한(上澣)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되므로, 10월 9일훈민정음 반포일로 정했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1446년 당시 서양이 사용했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1446년 음력 9월 10일9월 30일이 된다. (더 자세한 것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사이트 혹은 천문참여관 질문상자 를 참조하라.)
  2. 2.0 2.1 '민음 한국사' 15세기-조선의 때 이른 절정 166쪽~168쪽
  3. 최인호. “[현장에서]15년 만에 이뤄낸 '국경일 한글날'”, 2005년 12월 9일 작성.
  4. 한국정책방송공사 (2012년 5월 15일). 한글날 재지정 추진. 2012년 5월 15일에 확인.
  5. 광주일보 (2012년 5월 31일). 어버이날·한글날 공휴일 될까. 2012년 5월 31일에 확인.
  6. 매일경제신문사 (2012년 9월 18일). 한글날 휴일 재지정 추진…가능성은?. 2012년 9월 18일에 확인.
  7. 연합뉴스 (2012년 11월 7일). 내년부터 한글날 쉰다…22년 만에 공휴일 재지정.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8. 이투데이 (2013년 9월 23일). 한글날, 올해부터 법정공휴일...“달력 빨간날 아니어도 쉽니다”. 2013년 9월 23일에 확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한글날 문서 14191430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