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S-11K: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줄임말 +준말))
144번째 줄: 144번째 줄:


=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
=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의 후속 장비 계획이 공개되었다. 워리어 플랫폼 관련한 장비 도입을 위해서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의 군사요구도가 공개되었는데 성능은 다음과 같다.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의 후속 장비 계획이 공개되었다. [[워리어 플랫폼]] 장비로 도입될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의 군사요구도가 공개됏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68번째 줄: 168번째 줄: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ref>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f>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PVS-05K]] 기관총 조준경<br />
[[PVS-05K]] 기관총 조준경<br />

2021년 5월 25일 (화) 20:28 판


PVS-11K.jpg
PVS-11K 주야간조준경

개요

PVS-11K는 대한민국 국군의 첫 보급 주야간조준경이자 동인광학에서 제작한 도트사이트이다.[1] 사업명은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이며 K1A 기관단총, K2 소총에 장착하는 도트사이트 방식의 조준경을 확보하는 사업이기도 하다. [2] 도트사이트는 특수부대와 같은 일부 부대에서만 소량으로 그리고 제한적으로 운용되어왔지만 PVS-11K는 육군 전방 사단, 해병 서북도서 부대 등 최전방 부대를 시작으로 2017년 말까지 3만 3000여개를 대량 보급할 예정이며 2013년 6월에 보급이 시작되었다.[3]

PVS-11K의 단가는 60만원으로 가격은 미군이 사용하는 M68 CCO(Close Combat Optic)보다 20만원 더 저렴하며 이스라엘군이 사용하는 MARS 도트사이트가 140만원 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가격 경쟁력은 매우 우수한 편이라고 한다. [4] 하지만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 공개한 자료에선 PVS-11K의 가격이 포함되어있는데 90만 2천원의 가격으로 방사청에서 공개한 가격보다 약 1.5배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기타 사항으로는 도트사이트 밑에 구멍이 뚤어져 있는데 그 구멍은 도트사이트가 고장날 시 아래에 있는 구멍을 통해 가늠자, 가늠쇠를 이용한 조준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6] 하지만 이런 기능은 레일을 부착한 K1A나 K2만 가능하며 K2C1의 경우 불가능하다.

제원

특성 성능
배율 1배율
시계 12도 이상
무게 (부수장비 제외) 350g
크기 (길이 x 폭 x 높이) 118mm x 70mm x 87mm
전원 3V
전류 소모량 (조준점 조명) 60mA
전원 상용 AA 건전지
운용 온도 -32 ~ +43도
밝기 조절 단계 13 단계 (주간 8단계 / 야간 5단계)
영점 조절 28mm / 100m
제조사 동인광학

[7]

역사

PVS-11K&K2C1.jpg
PVS-11K 주야간조준경이 장착된 K2C1 소총.

  • '08. 10월 : 소요결정
  • '10. 8∼'12.6월 : 국내 연구개발(업체 주관)
  • ’13~14년 : 1,2차 양산 및 전력화
  • `14.12월 : 3차 양산 계약
  • `15. 8월 : ‘15년 물량 전력화
  • `16. 10월 : ‘16년 물량 전력화

개인화기주야조준경(II형) 사업현황, 방위사업청, 2016.12.12.

도입의 필요성

[8]

개량형 야간표적지시기의 제한사항 해소

한국군은 그동안 야간 사격을 위해 비가시 레이저인, 쉽게 말해서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 레이저 표적 지시기를 1992년도 부터 사용해왔다. [9] 야간투시경을 사용시 일반적인 개념의 견착이 어렵기 때문이다. [10] 이러한 방식은 빠르게 조준해야 하는 상황에는 유리하나 정확한 조준 사격에는 불리하다. 또한 적외선 표적지시기의 레이저는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고 상증폭식 야간투시경과 같은 장비를 이용해야만 보인다곤 하지만 적이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사용할 경우 적도 그 레이저를 볼 수 있게 되며 이는 아군의 위치 노출로 이어지게 된다.[11]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미군에서는 90년도부터 퇴출이 시작되었으며 [12] 한국군에선 PVS-04K 야간투시경과 PVS-11K 주야간조준경을 결합하여 운용한다.[13]

이 문제는 꽤나 중요한데 한국군의 주적인 북한군은 이미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보유하고 있고 특수부대 등의 부대에서 사용중이다.[14] 따라서 적외선을 사용하는 적외선 표적지시기의 경우 위치 노출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도트사이트는 밖으로 세어나가는 빛이 없기 때문에 위치 노출 문제에서 자유로운편이다.[15] (다만 확인되지 않은 정보에 따르면 먼 거리에선 알아챌 정도는 아니라고 하지만 도트사이트라고 하더라도 대물렌즈로 본다면 빛이 살짝 보인다곤 한다.)따라서 도트사이트를 보급하는 것이며 장기적으론 열상조준경을 보급하는 것이 계획이다.[16]

야간표적지시기 대체용

PVS-11K의 사업명은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이며 한국군이 사용하고 있던 PAQ-91K와 PAQ-04K 야간표적지시기를 대체할 사업이기도 하며 이는 표적지시기인 PAQ-91K, PAQ-04K를 도트사이트인 PVS-11K로 대체한다는 뜻이다. [17]

바로 위의 문단에 적혀져 있는대로 야간표적지시기의 적외선은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에 보인다는 특성이 있으며 적이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사용할 경우 이는 위치 노출로 이어지게 된다. 북한군은 1960년대부터 구 소련에서 PPN-2 야간조준경이나 NOD-2 야간조준경 등의 야간투시장비를 들어왔으며 대략 2000년대 중반경에는 야간투시장비를 북한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할 정도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8] 따라서 위치 노출을 막기 위해 야간표적지시기 대신 도트사이트와 PVS-04K 야간투시경을 총기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야간전을 수행한다. [19]

다만 이러한 방식은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군의 야간표적지시기 재도입 결정

한국군의 개인장비 개선 사입인 워리어 플랫폼에선 야간표적지시기를 재도입 하겠다고 한다. [20] 헬멧 장착형 상증폭식 야간투시경과 야간표적지시기를 총기에 장착한 상증폭식 야간투시경과 도트사이트로 대체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뜻이다.

미래 작전환경 대비, 조준속도 및 명중률 향상을 위한 장비 필요

한국은 현재 저출산 현상을 겪고 있는 관계로 노년층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청년층 인구는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의무복무기한 단축도 이에 영향을 끼쳤다. 병 의무복무기간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제 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여러 후보들이 18개월 혹은 12개월로의 군 복무기간 단축을 언급하기도 하였으며 2017년 7월의 국정과제 보고서 발표시 18개월로의 단축을 언급하고 있는 등 의무복무 기간 또한 계속 감축될 추세이다. [21]

따라서 향후 징집 가능 인원의 감소를 피하는 것은 불가피해보이며 이는 분대 인원의 감소와 개인 전투원의 담당 책임지역이 3배 이상 늘어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22]

명중률 향상도 중요한 도입 이유이다. 무작위로 병사들을 차출하여 사격한 결과 주간사격의 경우 각각 100m, 200m, 250m 거리의 표적에서 78%의 명중률을 기록하였다. 야간사격은 100m에서 92%, 200m에서 83.8%의 명중률을 보였으며 야간에도 주간과 동등한 사격능력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사격시간도(신속성) 최대 37% 단축되었다. [23] [24]

빠른 조준사격은 도트사이트가 가진 최고의 장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먼저 전체적인 명중률은 10% 향상되었으며 어느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1 공수특전여단 대원의 경험에 따르면 도트사이트를 사용시 3배나 더 빠른 사격이 가능하다고 한다.[25] 시가전은 그 특성상 근거리에서 적과 조우하게될 일이 많은데 도트사이트의 장점인 빠른 조준 능력이 큰 효과를 가져온다. 한국군이 전투하게될 작전환경의 비율을 살펴보면 시가전의 비율이 예전보다 높아졌는데 이는 전투복 재 디자인의 이유중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시가전 비율이 30%에서 40%로 증가하였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26]

PVS-11K의 운용과 명칭

PVS-11,04K.jpg
K2 소총에 장착된 상부레일에 PVS-11K(왼쪽)와 PVS-04K(오른쪽)를 부착한 모습.

PVS-11K 조준경의 정식 명칭은 주야간조준경이다.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된 이유가 주간에는 PVS-11K만 부착해서 운용하고 야간에는 장착한 PVS-11K 뒤에 PVS-04K 야간투시경을 부착해서 운용하기 때문에 주야간조준경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27]

또한 해당 도트사이트 이름이 PVS-11K인 이유는 간단하다. PVS는 준말인데 각각의 의미를 알아보면 P는 Portable, V는 Visual, S는 감지(Detecting) 혹은 Range Bearing 정도 된다. 말 그대로 개인 휴대할 수 있는 광학장비라면 무엇이든지 다 PVS를 쓸 수 있는 것이다. [28]

문제점 및 관련 논란

짧은 배터리 수명

워리어 플랫폼 세미나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PVS-11K의 배터리 수명이 단 48시간밖에 되지 않는다. [29] 물론 PVS-11K는 군용 배터리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사용하는 배터리의 사용 및 호환을 위해 일반적인 사이즈의 AA 배터리를 사용하고 또 배터리에 따라 수명이 달라지긴 하나 [30] 48시간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은 큰 문제이며 동인광학에서 제작한 다른 도트사이트인 T3S는 카탈로그 스펙 기준으로 약 650시간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점과 비교하면 더더욱 그렇다. [31]

하지만 위의 48시간의 배터리 수명은 어떠한 상황에서 배터리가 48시간 정도밖에 유지되지 않는지도 봐야한다. 어떠한 건전지를 사용했고, 광량은 어느 정도로 조절했는지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PVS-11K는 중간 광량으로 960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하는 등 정보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확실한 사항도 아니다. [32]

육군의 언급에 따르면 기준 광량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1.5V AA 건전지 2개로 48시간이 운용된다는 것으로 보아 짧은 배터리 수명이라는 말은 확실해보인다. [33]

물론 PVS-11K는 10년 전에 소요결정이 난 조준경이라는 사실과 1.5V AA 건전지 2개로만 작동한다는 사실 때문에 약간의 변론점은 있다.

체계상의 문제

PVS-11K 주야간조준경은 PVS-04K 야간투시경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야간전을 수행하며 기존에 사용했던 야간표적지시기 PAQ-04와 PAQ-91의 대체까지 한번에 이루어진다. [34] [35] 이렇게 된 이유는 조금 복잡한데 한국군은 기존에 사용하던 표적지시가 PAQ-91K 하고 그 이후에 도입된 PAQ-04K가 있었지만 관련 비리로 인해서 해당 사업이 엎어졌다. 하지만 비리로 사업이 엎어졌다고 해서 그전에 사용하던 PAQ-91K를 계속 사용할 수도 없어서 고심 끝에 낸 결론이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도트사이트 뒤에 부착해서 야간전투를 수행한다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어쨋건간에 PAQ-91K와 PAQ-04K의 대체는 PVS-11K와 PVS-04K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방식이 적에게 자신의 존재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사격 정확도 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으나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먼저 총기에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붙이면 총기 반동에 의해 장비가 고장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야간에 주변을 살펴야할 경우 헬멧에 부착한 야간투시장비는 고개만 돌리면 끝나지만 PVS-11K와 PVS-04K를 동시에 사용하는 야간조준경 방식은 조준한 자세로 몸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 매복과 같은 상황에서라면 어느 정도 쓸만한 방식이지만 수색정찰과 같은 상황에서는 불편한 방식이다. 헬멧에 장착한 야간투시경의 경우 시야가 총기에 장착한 야간투시경보다 더 넓고 이동중 사용이 간편하지만 총기에 야간투시경에 장착한 경우 야간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총을 조준해야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또 다른 이유는 초점 문제인데 위 동영상처럼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은 초점을 맞춰야지 표적을 제대로 식별할 수 있다. 근데 조준하기 위해서 초점을 가까이 잡다가는 멀리 있는 적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으며, 적을 식별하기 위해서 초점을 멀리 잡다가는 가까이 있는 조준기를 제대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야간표적지시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미군에선 표적지시기를 90년도부터 퇴출하고 있다지만 AN/PEQ-15을 비롯한 표적지시기를 아직까지 운용하고 있다. 또한 북한군에서 일부 부대는 상증폭식 야간투시경을 사용한다곤 하지만 그 수량은 극소수이며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을지도 확실하지 않은데다가 야간표적지시기 때문에 위치가 노출된다고 하더라도 표적지시를 해야 하는 상황과 같이 필요할때 잠깐만 켜두는 방식으로 운용하면 이러한 위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물론 이 단점은 PVS-11K 자체의 단점이 아니라는 것은 명심해둬야한다.

명중률 관련 논란

軍, 조준 안 되는 조준경 수백억 원에 구입

해당 기사에서 적혀진 주장을 요약해보면 대략 이렇다.

  • PVS-11K는 무배율 조준경이며 근거리 사격용이 아닌 저격용으로는 부적합하다.
  • 100~200m 거리의 야간사격시 일반 명중률은 71%지만 조준경 사용시 13% 낮은 58%대를 기록하고있으며 주간에도 맨눈 사격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해당 주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2011년도 국정감사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있다. [36]
  • 북한군이 사용하는 4배율 조준경과는 달리 PVS-11K는 무배율 조준경이라서 수백미터 떨어진 적 초소를 분간하기가 어렵다.
  • 특정업체에 대한 특혜 의혹이 있다. 요구서에는 중량(350g)만 명시되어 있으며 명중률, 배율 여부와 같은 요소들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송영선 의원)

[37]

방사청의 공식 해명

  • MBC 뉴스데스크(10. 4)에서 보도한 “군, 조준 안 되는 조준경 수백억원에 구입” 보도에 대한 방위사업청의 입장을 밝혀드립니다.
  • 저격수용 조준경은 저격소총과 조준경, 관측경을 패키지로 구성하여2명을 1개조로 하여 주로 적 지휘관 및 통신병 등을 최대 800~1,000m까지 원거리에서 저격하기 위한 장비로 향후 구매 예정입니다.
  • 이에 비하여 개인화기주야조준경은 ’10. 7월에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현재 운용시험평가가 진행중이며, 이는 저격수용 조준경이 아니라 일반 소총병이 휴대하는 K1, K2소총에 장착하는 장비로서 주로300m이내에서 사격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 육군에서 야전병사를 무작위로 차출하여 개인화기주야조준경을 부착한 소총으로 사격한 결과 주간사격은 100m, 200m, 250m표적에서 78%의 명중률, 야간사격은 100m, 200m 표적에서 58%의 명중률을 보였으며 사격시간도 최대 37% 단축되는 등 사거리, 명중률, 사격속도에서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현재 적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정상추진중이라는 점을 밝혀드립니다.

[38]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개인화기주야조준경(Ⅱ)의 후속 장비 계획이 공개되었다. 워리어 플랫폼 장비로 도입될 개인화기주야간조준경(Ⅲ) 의 군사요구도가 공개됏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 요구 성능 비고
배율 (배) 1 -
크기 (mm, 길이 × 너비 × 높이) 145 × 75 × 75 이하 -
무게 (g) 400 이하 배터리 및 마운트 포함
재질 AL6061-T6 또는 동등 이상의 합금 KS D 6701
광량 조절 (단계) 11 이상 원터치 방식
조준점 크기 (MOA) 2 이하 조준점과 조준원 복합방식
표면 처리 하드 아노다이징 (검정무광) -
충격시험 조건 (G) 100 이상 MIL-STD-810G 516.6

[39]

관련 문서

PVS-05K 기관총 조준경

PAS-01K 열영상 조준경

  1. 높은 휴대성·믿음직한 화력의 콜라보 우리 힘으로 만든 '넘버원' 기관단총, 국방일보, 2017.07.06.
  2. 개인화기주야조준경(II형) 사업현황, 방위사업청, 2016.12.12.
  3. [1]
  4. 개인화기 주·야 조준경 전력화 개시
  5. [국방뉴스] 18.03.28 주간 용어 돋보기 - 워리어 플랫폼2 (1분 29초)
  6. [2]
  7. 한국군 무기연감 (2016-2017)
  8. [3]
  9. 정진섭 위원, "(전략)... 그런데 우리나라는 92년부터 이것을 도입하는 것은 물론 최근에 들어서는 분대당 2개씩 확충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것은 잘못된 것 아닙니까? .", 국회회의록 17대 267회 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10. [4]
  11. 이선희 방위사업청장, "아까 대답 드린 대로 분명히 지금 적외선을 쓰기 때문에 그냥 눈으로는 안 보입니다. 그러나 야시경을 썼을 때 보이는 것이고 사격할 때만, 그 순간에만 보입니다. 그래서 우리도 적을 볼 수 있는 노력을 하듯이 적도 우리를 볼 수 있는 노력을 하기 때문에 기술 대 기술의 경쟁이 되는 것입니다.", 국회회의록 17대 267회 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12. 정진섭 위원, "이게 광선을 이용한 것인데, 광선을 이용하는 것은 오히려 아군의 위치를 노출시키는 문제가 있어서 미국에서는 90년도부터 퇴출되고 있습니다.", 국회회의록 17대 267회 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13. [5]
  14. 北김정은, '청와대 타격방법 확인' 목적 전투훈련 참관, 조선일보, 2016.12.11.
  15. [6]
  16. 정진섭 의원 “그러니까 열상장비로 바꿔 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라면 (중략) 새로운 장비로 교체할 생각을 해야지 왜 계속해서 이 것을 사들이느냐, 그것을 여쭤 보는 거에요.”
    방위사업청장 이선희 “(전략)... 국과연에서 복합소총을 개발할 때 적용하는 기술로 지금 나가고 있습니다.”
    국회회의록 17대 267회 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17. [7]
    [8]
  18. 국방과 기술 (2001.05) - 개인화기 조준경 개발방향 (1)
  19. [9]
  20. [10]
  21.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4호(통권 제118호) "인구절벽 시대의 병역정책에 관한 연구"(2017) - 조홍용 경남대학교 교수, 산업공학 박사 지음.
    국방백서 2014 (p. 212)
  22. 방위사업청장 이선희 “(전략)... "앞으로 분대 인원은 더 줄이는 대신 책임 지역은 3배 이상으로 엄청 늘어납니다. 그래서 야간 원거리관측,그리고 사격능력향상,이게 더 절실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 현재로는 표적지시기의 전력화는 필요한 것입니다. ", 국회회의록 17대 267회 1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자료
  23. 개인화기 주·야 조준경 전력화 개시
  24. MBC '군, 조준 안 되는 조준경 수백억원에 구입' 보도 관련 청 입장자료
  25. 개인화기 주·야 조준경 전력화 개시
    한국 공수특전단, 美 소총부대에도 밀리며…
  26. 야간투시경·조준경도 기본 지급...한국형 '밀리터리 아이언맨' 시동
  27. [11]
  28. A Performance History of AN/PVS-5 and ANVIS Image Intensification Systems in U.S. Army Aviation; William E. McLean, Clarence E. Rash, Joseph McEntire , Malcolm G. Braithwaite, John C. Mora 지음 (1998년 5월)
  29. [12]
  30. [13]
  31. [14]
  32. [15]
  33. 조준경 선정규격 올바르나, 워리어플랫폼 숨고르기 필요
  34. [16]
  35. [17]
  36. [18]
  37. [19]
  38. [20]
  39. 개인전투체계(워리어플랫폼) 장비획득 공개 사업설명회 계획;기동화력장비과 (2018년 7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