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TC: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특징)
잔글 (→‎개요)
6번째 줄: 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TWC]]로 이것저것 송수신하다 보니 "[[철도 신호]]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 시작됐다. 선로 상에는 위치보고용 [[지상자]]를 제외한 어떠한 물리적인 신호장치을 생략할 수 있게 되니 기존 [[폐색]]의 개념에서 자유로워졌고, 이에 따라 [[이동 폐색]]을 도입해 안전이 보장하는 선에서 열차를 우겨넣을 수 있게 되었다. 신호 유지보수가 대폭 감소하는 것은 덤.
[[TWC]]로 이것저것 송수신하다 보니 "[[철도 신호]]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 시작됐다. 선로 상에는 위치보고용 [[지상자]]를 제외한 어떠한 물리적인 신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니 기존 [[폐색]]의 개념에서 자유로워졌고, 이에 따라 [[이동 폐색]]을 도입해 안전이 보장하는 선에서 열차를 우겨넣을 수 있게 되었다. 신호 유지보수가 대폭 감소하는 것은 덤.


== 특징 ==
== 특징 ==

2019년 11월 1일 (금) 14:16 판

ETCS 레벨3의 모식도
  • 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통신기반 열차제어'라는 뜻으로, 관제쪽에서 궤도 회로차축 계수기를 이용해 수동적으로 열차를 관리했던 기존 신호보안체계와 달리 차량의 능동적인 위치보고로 운행을 관리한다.

개요

TWC로 이것저것 송수신하다 보니 "철도 신호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 시작됐다. 선로 상에는 위치보고용 지상자를 제외한 어떠한 물리적인 신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되니 기존 폐색의 개념에서 자유로워졌고, 이에 따라 이동 폐색을 도입해 안전이 보장하는 선에서 열차를 우겨넣을 수 있게 되었다. 신호 유지보수가 대폭 감소하는 것은 덤.

특징

  • 능동제어
    선로 상의 신호기, 지상자가 아니라 관제소와 통신을 통해 운행 지시를 받기 때문에 이를 확장해 차량 제어를 중앙에서 할 수 있고, 기관사 없이도 열차를 움직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존 시스템에서 구현한 ATO의 경우 신호 시스템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되기 때문에 기관사가 항상 상주했고, 무정차 통과 등의 오류도 간간히 있었다. CBTC에서는 ATO를 고도화하여 STO(반자동 운전)나 UTO(무인 운전)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 이동폐색식
    이동 폐색은 CBTC에서 꼭 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CBTC가 없으면 할 수 없다. 이동 폐색을 도입하면 시설 효율이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타 노선과의 연계를 생각할 필요가 없고 조밀한 배차로 폐색의 효율화가 시급한 도시철도 노선을 중심으로 CBTC가 구축되고 있다. 내노라 하는 업체들이 자신들만의 시스템을 가지고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 열차방호의 고도화
    철도 관제에서 실시간으로 열차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은 열차방호의 측면에서 매우 크다. ETCS L2처럼 기존 시설을 그대로 놔둔채로 CBTC를 도입하면, 시설 감시와 열차 감시를 동시에 할 수 있어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격이 된다. CBTC만 덜렁 도입하면 궤도 회로 등으로 할 수 있는 시설 감시가 어려워지기 때문[1].

종류

  • RF-CBTC : 선로변의 지상자나 비콘(Beacon)에서 불러온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 IL-CBTC : 선로상의 리니어 루프에서 불러온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LZB와 비슷한 구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