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여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
154번째 줄: 154번째 줄:
* [https://namu.wiki/w/%ED%9B%84%20%EB%A0%88%20%EC%99%95%EC%A1%B0#s-2.3.1|후 레 왕조]
* [https://namu.wiki/w/%ED%9B%84%20%EB%A0%88%20%EC%99%95%EC%A1%B0#s-2.3.1|후 레 왕조]
* [https://ko.wikipedia.org/wiki/%ED%9B%84_%EB%A0%88_%EC%99%95%EC%A1%B0|후 레 왕조]
* [https://ko.wikipedia.org/wiki/%ED%9B%84_%EB%A0%88_%EC%99%95%EC%A1%B0|후 레 왕조]
{{각주}}
{{문서 가져옴|초여조|1}}
{{문서 가져옴|초여조|1}}
{{문서 가져옴|중흥여조|4}}
{{문서 가져옴|중흥여조|4}}
[[분류:베트남의 왕조]]

2020년 7월 2일 (목) 11:15 판

개요

베트남(구 대월)의 3번째 장기 집권 왕조다. 중국의 체제를 본따 유교를 장려하였으며 1527년 막당중의 찬탈로 인한 멸망과 1789년 민제의 도주로 인한 멸망 두 사건을 기준으로 초여조, 중흥 여조로 나누어서 본다.

역사

건국 이전

초대 황제인 태조(太祖)가 제국을 선포한 시기는 1428이나 왕조의 역사는 14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1418년은 대우 황제인 호계리-호한창 부자가 명나라의 침략에 패배하여 처형당해 베트남은 일시적으로 명에게 복속당했다. 황제로 즉위하기 전 여리는 자신을 평정왕(平定王)이라 칭왕하고 각 지방의 호걸들을 끌어모아 세력을 불리고 명에게서 항명전쟁을 펼친다.

여리군(軍)은 베트남 지리의 특징(습하고 길이 험한)을 이용해 자신들보다 숫자가 몇배나 많은 명군을 압박하기에 이른다. 결정적으로 1426년 10월 ~ 11월 사이(진줄동 - 축동 전투, 陣崒洞 – 祝洞)에서 베트남에 주둔하고 있는 명군 세력에게 궤멸적인 피해를 입혀 당시 명 황제인 선덕제는 대월 복속을 포기한다. 이후 여리는 명에게 정식으로 안남국왕에 책봉되어 통치권을 얻고 자신이 세웠던 진가의 후예로 추정되는 진고(陳暠)를 시해한 후, 재건 대월의 남제(南帝)로 즉위한다.

초기(1428 ~ 1527)
개요
국가 정보
初 黎家
국호 대월(大越)
영토
존속기간 1428년 ~ 1527년
성립 이전 중국의 4차 지배기
멸망 이후 막 왕조(북조)
중흥여조(남조)

1428 ~ 1527. 막당중에 의해 일시적으로 멸망한다.

역사

초대 남제 태조는 유교를 장려하여 유교화를 꾀했고 중국의 제도를 본따 과거를 시행했다. 또한 율령을 제정했고 균전법, 국군의 구성 방식을 새로 맞추었다.[1]

태조 사후에는 무신 세력의 득세와 권신 여찰의 만행으로 잠시 혼란기가 찾아왔다. 태조의 뒤를 이은 태종의 의문사가 이와 관련이 있는데, 태종은 청화 지방의 호족들의 영향권을 제한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그리고 태종은 은퇴한 개국공신 완채의 사저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도중에 급사하였는데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느나 태종의 정책으로 권한이 약해진 청화 호족들이 앙심을 품고 태종을 암살했을거라 추측하는 경향이 많다.

건강하던 황제가 급사하는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나자 생후 2살도 되지 않은 태자 여방기(黎邦基, 인종)가 황위에 오르고 선자태후가 섭정하는 방식으로 조정이 구성되었다. 선자태후는 과거 제도를 수정하고 법률 14개조를 제정하였으며 참파를 쳐 참파왕 마하 비자야를 생포하는 치적을 보였다. 그러나 공신 여가(黎可)를 숙청하는 등 신하들과 거리감을 두는 정치적 행위를 벌였다.

그런데 이런 국정에서 여의민(黎宜民, 전폐제)[2]의 쿠데타라는 변수가 일어나가 어린 인종과 선자태후는 여의민의 쿠데타군에게 살해당하고 그들을 죽인 여의민이 황제로 등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하지만 등극한 여의민은 1년만에 폐위, 시해당했고 공석이 된 옥좌는 태종의 4남 여사성(黎思誠, 성종)이 신하들에게 추대받아 즉위한다.

소릉(昭陵)의 성세
  • 소릉은 성종의 무덤이다. 치세를 논할 땐, 묘호 대신 능호를 쓰는 경우도 있다.[3]

앞의 혼란기가 일어난 시기 대월은 어지럽혀져 있는 조정을 확고히 할 명군을 요구했다. 성종은 즉위 후 부왕의 행적을 따라 청화 세력을 배제하고 태조때 행해진 유교 정책을 다시 확대해 유교 이념을 확고히 하였다. 내정에선 6부를 만들었으며 전국의 교통을 증진시키기 위해 13도로 나누었고 중앙집권의 중요성을 인지해 토지, 호적 대장을 만들었다. 또한 이민족 문제도 해결해 그들을 여씨 대월 세력권 안에 포함시켰다.

성종 역시 중국의 법률을 본따 만든 흥덕형률(洪德刑律)을 만들어 반포했고 이외에도 성리학 보급에 힘을 기울였고 현대 베트남의 제1역사서인 대월사기전서가 편찬된 시기도 성종 때이다. 그리고 참파와 라오스를 쳐서 메콩강 유역까지 영토를 넓히는 최대 전성기를 이끌었다.

하지만 전성기도 여기까지였다. 성종의 죽음 이후 헌종과 숙종의 요절과 폭군들의 즉위로 인해 다시 대월은 성종의 즉위 이전처럼 혼란기에 빠진다.

무능한 황제들의 즉위와 멸망

뒤를 이어 즉위한 헌종과 숙종이 요절하였고 숙종은 후사가 없었기에 숙종의 형 여준(黎濬)이 즉위하였다. 여준은 천성이 포악하고 무분별한 숙청을 시행하여 결국 여형(양익제)에게 폐위당했다. 그러나 양익제 역시 얼마 못가 폭정을 저질러 신하인 정유산에게 살해당했다. 그리고 찐주이산은 다시 목의왕[4]의 아들인 여광치(黎光治, 중폐제)를 세웠으나 재위 3일만에 정유산의 형 정유대가 여광치를 납치해 시해하는 약 20년의 치세동안 3명의 황제가 폐위되는 혼란기가 벌어진다.

자신이 세운 2명의 황제들이 폐위되자 정유산은 성종의 증손자 여의(黎椅, 소종)을 세운다. 이 시기 대월은 진고(陳暠)의 황제 참칭, 신하들의 권력다툼이 있었기에 이 시기의 대월도 명군을 요구했다. 하지만 소종은 무능하진 않았으나 성질이 급하고 참을성이 없어 황제로썬 적합한 인물은 아니였다. 후술하지만 소종은 자신의 성격으로 인해 나라의 멸망을 재촉했고 자신의 제위와 목숨마저 막당중에게 빼았겼다.

황제를 참칭한 진고의 반란은 진진(陳眞)과 완홍유(阮弘裕) 등이 진압하였다. 그런데 이번엔 반란을 진압한 공신들인 진진과 완홍유가 권력싸움을 벌이고 권력싸움에 승리한 진진이 권신이 되버린다. 소종은 무언가를 직감하고 진진을 암살하여 찬탈의 가능성을 막았다. 그러나 진진의 잔당들이 여방과 여유를 옹립하여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피난하고 막당중과 완홍유에게 반란 진압을 명했고 이 반란 역시 막당중이 진압하였다.

그런데 이번엔 막당중이 권신으로 득세했다. 득세한 막당중은 진진과 비교도 할 수 없는 거만함[5]을 보였고 이는 소종의 시기와 찬탈의 불안감을 안겨주게 했다. 소종은 막당중을 죽이기 위해 정수(鄭綏, 정유산과 정유대의 조카다.)와 연합해 정수의 거처로 이동했지만 그곳에서도 정수와 대립하여 막당중 토벌 계획을 세우지도 못한다. 결국 정수는 막당중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했고 소종 역시 탕롱으로 압송되어 1527년 시해당한다. 최소한 허수아비도 아니였고 황실을 살리기 위해 권신들을 견제하는 등 유능한 모습을 보였지만 남을 잘 믿지 못하는 인간성으로 인해 패배했고 나라의 멸망을 가져온 꼴이였다.

소종의 죽음 이후 그의 동생인 여춘(공제)가 즉위했으나 막당중의 허수아비나 마찬가지였고 마침내 1527년 막당중의 강요와 압박으로 인한 양위로 초여조는 멸망하였다. 동시에 공제는 잠시동안 태상황이 되었으나 얼마 되지 않아 막당중에 의해 자진하였다.

역대 황제

왕명 재위
1. 태조(太祖) 1418 ~ 1428(평정왕)
1428 ~ 1433(황제)
여리
2. 태종(太宗) 1433 ~ 1442 여원룡
3. 인종(仁宗) 1442 ~ 1459 여방기
4. (묘호 없음) 전폐제(前廢帝) 1459 ~ 1460 여의민
5. 성종(聖宗) 1460 ~ 1497 여사성/여호
6. 헌종(憲宗) 1497 ~ 1504 여쟁
7. 숙종(肅宗) 1504 여순
8. (묘호 없음) 위목제 1504 ~ 1509 여준
9. (묘호 없음) 양익제 1509 ~ 1516 여형
10. (묘호 없음) 중폐제 1516 여광치
11. 소종(昭宗) 1516 ~ 1522 여의(黎椅)
12. (묘호 없음) 공황제(恭皇帝) 1522 ~ 1527 여춘
중흥여조(1527 ~ 1789)
개요
국가 정보
中興 黎家
북조(北朝, 1527 ~ 1592)
국호 대월(大越)
영토
존속기간 1527년 ~ 1789년
성립 이전 초 여조
막 왕조
멸망 이후 떠이선 왕조

1527 ~ 1789. 일시적으로 계통이 끊어졌지만 곧 부흥군과 완감, 정검의 힘으로 다시 재건되었다. 1789년 마지막 황제인 민제가 도주하여 멸망하였다.

여의(黎意)의 부흥군 - 남조(南朝)
나라가 두 개로 갈라지다
허수아비가 된 여씨 일족
서산당의 난
완전한 멸망 - 민제의 도주

역대 황제

대수 묘호 재위 기간 비고
- - 여의(黎意) 1530 ~ 1533 부흥군의 수장.
황제로 즉위하지 않음.
소종의 연호를 사용.
13 장종(莊宗) 여녕(黎寧) 1533 ~ 1548 부흥군 수장 여의가 암살당하자 완감이 황제로 옹립함.
...
16 세종(世宗) 여유담(黎維潭) 1572 ~ 1599 막조의 막무흡 처형.
...
18 - 여유기(黎維祺) 1619 ~ 1643 정왕 정장이 협박하여 진종에게 강제 양위.
19 진종(眞宗) 여유우(黎維祐) 1643 ~ 1649 강제 등극
20(복위) 신종(神宗) 여유기(黎維祺) 1649 ~ 1662 진종이 사망 후 다시 집권.
...
23 희종(熙宗) 여유협(黎維祫) 1675 ~ 1705 까오방에서 명맥만 유지하던 막조를 완전히 토벌.
...
28 현종(顯宗) 여유조(黎維祧) 1740 ~ 1786
29 - 여유기(黎維祁) 1786 ~ 1789 민황제(愍皇帝), 소통제(昭統帝), 출제(出帝)

참고 항목

각주

  1. 25만명에서 10만명으로 줄이고 나머지는 귀농시켰다. 전 군을 다섯으로 나누고 한명이 귀농하고 넷이 근무하는 등의 교대방식을 채택했다.
  2. 태종의 장자로 본래 태자였으나 어머니 양씨가 태종의 총애를 잃어 폐태자되었다. 그 일에 앙심을 품고 쿠데타를 일으켰다.
  3. 예시: 한명회광릉(光陵)의 은혜를 입은 자로써... [1]
  4. 목의왕은 성종의 손자로 추존황제인 덕종(德宗)의 아들이다. 이름은 여영.
  5. 황제의 수레와 의상을 입고 다녔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초여조 문서의 1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중흥여조 문서의 4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