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Korail logo.svg
법인 정보
창립 2005년
본사 대전광역시
웹사이트 http://korail.com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에 출범한 대한민국국유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공기업이다. 전신은 철도청이며, 철도청의 영업부분을 핵심으로 이어받았다. 철도의 건설, 시설 관리, 연구 부분은 국가철도공단으로 이관되어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철도구조개혁을 통해 철도청상하분리 방식으로 개편하면서 열차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국가 출자 100%의 공기업으로 설립되었다. 당초 주식불하를 통한 민영화까지 진행하는 걸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해당 건은 무산되었다.

조직[편집 | 원본 편집]

지역본부는 2015년 4월 기준 12개 본부.

6실 5본부 5단 지역본부 책임운영기관
  • 홍보문화실
  • 감사실
  • 안전경영본부
  • 여객본부
  • 운전기술단
  • 관광사업단
  • 물류본부
  • 광역철도본부
  • 사업개발본부
  • 경영혁신실
  • 기획조정실
  • 인사노무실
  • 재무관리실
  • 차량기술단
  • 시설기술단
  • 전기기술단
  • 프랑스 주재
  • 중국 주재
  • 러시아 주재
  • 강원본부
  • 경북본부
  • 광주본부
  • 대구본부
  • 대전충남본부
  • 부산경남본부
  • 서울본부
  • 수도권 동부본부
  • 수도권 서부본부
  • 전남본부
  • 전북본부
  • 충북본부
  • 정비단(차량기술단 산하)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연구원(기술본부 직할)
  • 인재개발원(인재경영실 산하)
  • IT운영센터(미래전략실 산하)
  • 철도교통관제센터(안전경영본부 산하)
  • 회계통합센터(재무경영실 산하)

계열사[편집 | 원본 편집]

  • 코레일관광개발
    열차 승무원의 용역파견(카페열차 등의 차내 판매 포함)과 여행업을 담당하는 회사. 여행업의 경우 여행상품 개발 및 폐철도를 이용한 관광지 운영(레일바이크, 바다열차 등)을 하고 있다.
  • 코레일네트웍스
    계열사 IT시스템 관리, 역무원의 용역파견(주차장 관리, KTX특송, 철도고객센터 운영 포함),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광명 버스 8507 운행, 레일플러스 및 레일포인트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
  • 코레일로지스
    물류업을 총괄하는 회사로 철도 화물 접수, 야드 운영, 포워더 등을 담당하는 회사. KTX특송은 철도 소화물에서 파생된 거라 역무를 담당하는 코레일네트웍스에서 받는다.
  • 코레일유통
    홍익회의 수익사업을 이관 받은 자회사로 홍익회가 설립한 후 코레일이 매입하는 형태로 이관됐다. 역내 상업시설, 광고시설을 담당한다. "스토리웨이"의 운영사가 이곳.
  • 코레일테크
    차량정비, 환경정화(청소), 엔지니어링, 경비업을 담당하는 회사. 전기·궤도·차량 3개 시설관리 자회사를 통합하여 설립했으며, 이후 환경정화 및 경비업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된다.
  • 주식회사 SR
    수도권고속철도 운영사. 당초 국철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회사로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민영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코레일이 제1주주로 들어가는 형태로 무마되었다.

사업분야[편집 | 원본 편집]

  • 철도 운행
  • 역사 관리 : 주요 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코레일테크에 이관하고 있다.
  • 선로 보수 : 국가철도공단의 업무이지만, 기존선의 유지보수는 철도청을 승계한 코레일 쪽에서 하고 있으며 선로사용료를 유지보수비용과 상계하고 있다. 토목직으로 들어가면 이걸 하는 데 4년제 나와서 기사따고 곡괭이질하고 있으면 현타오기 십상이다.(...)
  • 철도 관제 : 국토교통부의 위임을 받아서 고속선을 포함한 국철 구간의 관제를 하고 있다. 수도권고속철도의 출범으로 제3의 기관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운행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여객열차
광역전철
관광열차

운영 노선[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 문서에서 일반철도 노선[1]의 역사 및 선로를 관리한다.

보유 차량[편집 | 원본 편집]

편의상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한 2005년에 전량 퇴역한 2100호대 디젤기관차와 운행을 종료한 901호 증기기관차는 제외했다.

고속열차[편집 | 원본 편집]

이름 호대 도입량 도입연도 비고
KTX 100,000 46편성 1997~2004
KTX-산천 110,000 24편성 2008~2011
SRT 120,000 22편성 2013~2014 SR에 임대
KTX-산천 140,000 15편성 2016~2017 KTX_산천으로도 표기됨
KTX-이음 150,000 19편성 2019~2021

간선열차[편집 | 원본 편집]

이름 호대 도입량 도입연도 비고
DHC - 62편성 1987~1994 모두 퇴역
NDC 9,000 22편성 1984~1989 모두 퇴역
CDC 9,000 15편성 1996~1999 모두 퇴역
RDC 9,000 50편성 2008~2010 모두 퇴역
누리로 200,000 8편성 2009
ITX-새마을 210,000 23편성 2013~2014
ITX-마음 220,000 27편성 2022~2024

통근형 전동차[편집 | 원본 편집]

호대 도입량 도입연도 비고
1,000 94편성 1974~1997 모두 퇴역
3,000 27편성 1995~2024 서울교통공사 차량과 번호를 공유
311,000 253편성 1996~2024 319000호대 포함
일부 퇴역
321,000 21편성 2006~2009
331,000 27편성 2009~2014
341,000 55편성 1993~2024
351,000 79편성 1993~2024
361,000 14편성 2010
368,000 8편성 2011 ITX-청춘
371,000 12편성 2016
381,000 17편성 2016~2018
391,000 17편성 2017~2022

디젤기관차[편집 | 원본 편집]

호대 도입량 도입연도 비고
4,400 59량 2001~2004
7,000 15량 1986~1987 모두 퇴역
7,100 90량 1975~1985 모두 퇴역
7,200 40량 1971~1980 모두 퇴역
7,300 83량 1989~1996 일부 퇴역
7,400 84량 1997~2000 일부 퇴역
7,500 76량 1971~1996 일부 퇴역

전기기관차[편집 | 원본 편집]

호대 도입량 도입연도 비고
8,000 94량 1972~1990 일부 퇴역
8,100 2량 1998
8,200 83량 2003~2008
8,500 87량 2012~2014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수서평택고속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선과 그 지선, 진접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은 제외
Korail logo.svg 한국철도공사
자회사 현행 코레일관광개발 · 코레일네트웍스 · 코레일로지스 · 코레일유통 · 코레일테크 · SR
소멸
매각
코레일개발 · 코레일공항철도 · 코레일애드컴 · 코레일엔지니어링 · 코레일전기 · 대구복합화물터미널 · 브이캐시 · 인터네셔널패스앤커머스 · 철도산업개발 · 파발마 · 한국철도종합지원센터 · K종합서비스
연관항목 내일로 · 레일플러스 · 코레일멤버십라운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종합회사 혹은 열차운행사
공기업
및 자회사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대구교통공사
대전교통공사 광주교통공사 SR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사기업 공항철도 부산-김해경전철 서울시메트로9호선 네오트랜스 용인경량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우진메트로 로템SRS
시설관리사 혹은 민자사업자
공공기관 인천국제공항공사 국가철도공단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테크 남양주도시공사
사기업 신분당선 전라선철도 가야철도 우이신설경전철 이레일
경기철도 남서울경전철 새서울철도 스마트레일 서부광역철도
넥스트레인 SG레일 동북선도시철도 의정부경량전철
해산한 기업은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목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