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두가지」(을)를 「두 가지」(으)로)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퍼온문서|대한민국 표준어|14053611}}
'''표준어'''(標準語)는 [[대한민국]]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국어]].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ref>[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02.jsp 표준어 규정]</ref><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4968&yy=2009 이상규 경북대 교수 "표준어 정의, 빨리 바꿔야"] 매일신문</ref>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경기 방언]]과 표준어는 100% 일치하지 않는다. 표준어 정책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국어원]]이 관리하고 있다. 표준어는 입말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규정이고 한국어를 글로 적을 때 따르는 [[한글 맞춤법]]<ref>[http://korean.go.kr/09_new/dic/rule/rule01.jsp 한글 맞춤법]</ref> 규정을 따른다. 이 두 가지는 [[1933년]] 처음으로 제정될 때 부터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 규정은 [[1988년]] [[1월 9일]] 문교부고시 제88-2호로 고시되었다.
 
'''標準語'''
 
== 개요 ==
[[대한민국]]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국어]]이다.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ref>[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02.jsp 표준어 규정]</ref><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4968&yy=2009 이상규 경북대 교수 "표준어 정의, 빨리 바꿔야"] 매일신문</ref>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경기 방언]]과 표준어는 100% 일치하지 않는다. 표준어 정책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국어원]]이 관리하고 있다. 표준어는 입말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규정이고 한국어를 글로 적을 때 따르는 [[한글 맞춤법]]<ref>[http://korean.go.kr/09_new/dic/rule/rule01.jsp 한글 맞춤법]</ref> 규정을 따른다. 이 두가지는 [[1933년]] 처음으로 제정될 때 부터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 규정은 [[1988년]] [[1월 9일]] 문교부고시 제88-2호로 고시되었다.


== 표준어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 ==
== 표준어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 ==
23번째 줄: 18번째 줄:


{{각주}}
{{각주}}
{{한반도의 언어}}
{{한반도의 언어}}
[[분류:한국어]]
[[분류:한국어]]
[[분류:표준어| ]]
[[분류:표준]]
{{퍼온문서|대한민국 표준어|14053611}}

2019년 10월 13일 (일) 04:51 판

표준어(標準語)는 대한민국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국어다.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1][2]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경기 방언과 표준어는 100% 일치하지 않는다. 표준어 정책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국어원이 관리하고 있다. 표준어는 입말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규정이고 한국어를 글로 적을 때 따르는 한글 맞춤법[3] 규정을 따른다. 이 두 가지는 1933년 처음으로 제정될 때 부터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 규정은 1988년 1월 9일 문교부고시 제88-2호로 고시되었다.

표준어에 대한 위헌 확인 소송

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는 2009년 5월 28일 표준어 규정 제1조 제1항 등에 대한 위헌확인 사건 중 표준어 규정[4] 제1부 제1장 제1항 등 부분은 심판청구를 각하하고(전원일치), 공공기관공문서를 표준어 규정에 맞추어 작성하도록 한 구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항 부분, 교과용 도서를 편찬하거나 검정 또는 인정하는 경우 표준어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는 구 국어기본법 제18조 부분은 심판청구를 기각한다[5]는 결정을 선고하였다.[6]

표준어 규정에 대한 부분은 청구인들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원일치로 부적법 각하되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이 사건 법률조항에 의하여 강제되는 표준어 규정의 범위는 공문서의 작성과 교과서의 제작이라고 하는 공적 언어생활의 최소한의 범위를 규율하는 것이므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서 일상생활의 사적인 언어생활은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 점.
  • 공적 언어의 기준으로 표준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국가가 공권력을 통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는 가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한문일본어로 공교육과 행정언어가 이루어졌으며, 불과 60여년의 짧은 기간 동안 표준어를 형성해 온 현실 속에서 표준어를 확립하는 것은 우리의 국어 및 문화의 정체성을 지켜내는 의미를 갖게 되었던 점.
  • 공문서의 작성에 관하여는 공문서에 사용되는 국어가 표준어로 통일되지 않는 경우 의사소통상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라는 점.
  • 교과용 도서의 경우 각기 다른 지방의 교과서를 각기 다른 지역의 방언으로 제작할 경우 각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표준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를 상실하게 되고, 이는 국가 공동체 구성원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공익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한 규율이라는 점 등 때문에 기각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대한민국 표준어 문서 14053611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