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젠더리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56번째 줄: 56번째 줄:
</div>
</div>


{{번역된 문서|en|Transgender_sexuality}}
{{번역된 문서|en|Postgenderism}}


== 각주 ==
== 각주 ==

2015년 7월 3일 (금) 06:12 판

포스트젠더리즘(Postgenderism)은 발전된 생명공학기술과 보조생식기술을 활용해 인간종에서 성별을 자발적으로 없애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정치적·문화적 운동을 말한다.[1]

포스트젠더리즘의 지지자들은 성 역할, 사회 계층, 인식상의 또는 신체상의 인간의 성차가 있다는 것이 개인과 사회에게 손해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보조생식기술의 엄청난 발전 가능성을 감안할 때, 포스트젠더리즘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번식을 위해 성행위를 더이상 할 필요가 없어지고, 젠더를 뛰어넘은 사람들은 누구나 임신을 할 수도 있고 아버지가 될 수도 있다고 믿는다. 포스트젠더리즘을 믿는 사람들은 그것 때문에 포스트젠더리즘이 실현된 사회에서 명확한 성별을 분류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1]

문화적인 뿌리

포스트젠더리즘은 여성주의, 남성주의, 안드로진(양성성), 메트로섹슈얼/테크노섹슈얼, 트랜스젠더 운동 등에 뿌리를 둔다. 또한 이것은 트랜스휴머니즘 철학에도 근거를 둔다. 포스트젠더리즘 지지자들은 인간 종 구성원들의 실제 형태상의 변화와 젠더를 뛰어넘은 사회에서 어떻게 인간이 생식할 지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포스트젠더리즘은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미래파의 분파이다.[1]

포스트젠더리즘에 대한 초기적인 언급 중의 하나는 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의 성의 변증법(The Dialectic of Sex)이다.

페미니스트 혁명의 최종 목적은, 최초의 페미니즘 운동과는 다르게 남성의 특권을 제거하는 것 뿐 아니라 성(性)의 구분을 없애는 것이어야 한다. 생식기의 차이는 문화적으로 무의미해질 것이다. (제약되지 않은 범성애주의로의 회귀, 프로이드의 '다형도착'은 이성애/동성애/양성애를 대체할 것이다.) 한 성별만이 양 성을 위하여 행하던 번식은 인공 생식으로 대체될것이다 (인공생식은 최소한 한 선택지가 될 것이다). 관점에 따라 아이들은 양 성 모두에게 평등하게 태어난다고 이해하거나, 양 성 모두로부터 독립적으로 태어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와 아이 사이의 상호의존성은 소수의 타인들 사이의 의존성으로 대체될 것이며, 신체적 힘과 같이 아이들이 성인들에 비해 열등한 부분은 문화적으로 보상하면 될 것이다.[2]

다른 중요하고 영향력있는 계기는 사회주의적 여성주의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가 에세이 "사이보그 선언문(A Cyborg Manifesto: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Femi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과 Simians, Cyborgs and Women: The Reinvention of Nature (New York; Routledge, 1991) 149–181 페이지에서 포스트젠더리즘을 언급한 것이다. 이 책에서 해러웨이는 여성이 지는 번식의 도덕적의무가 없어질때 여성이 생물학적 제약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여성이 젠더를 뛰어넘거나, 초생물적 존재가 되어야만 진정한 해방이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1] 하지만 해러웨이는 "post-gender"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했다.[3]

포스트젠더리즘의 유형

포스트젠더리스트 대부분은, 개인이 모두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장점과 단점중 가장 좋은 것만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남성적인 특성과 여성적인 특성을 혼합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모든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이 양성성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특성이 가장 좋은 것인지는 논쟁과 추측의 대상이다.[1]

포스트젠더리즘은 물리적인 성별과 성별에 따라 짐작된 특성과는 전적인 관련은 없다. 포스트젠더리즘은 성정체성을 뛰어넘거나 제거하는데에 초점을 맞춘다. 전통적인 젠더에서 어떤사람은 남자나 여자중의 하나로 젠더가 형성된다.(성기에 관계 없이), 그러나 포스트젠더리즘에서 어떤 사람은 남자나 여자도, 다른 가정된 성 역할도 아니다. 이런 사회의 개인들에게, 개인의 행동은 성 역할로 환원되지 않는다.

하지만 모든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이 성 역할이 어떤 형태로든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단지 성역할이 덜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사회의 사람들은 젠더를 그들이 결정했을 때만 정체화하지만, 젠더를 정체화하는 것은 의무가 아니며, 성 역할은 어떤 사람이 진정으로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취급되는지에 대해서 작은 영향만을 미칠 뿐이다.

미래 기술

잠재적인 보조생식기술의 발전에 따르면 생식은 성교인공수정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넘어서서 계속될 것으로 믿어진다. 인간복제, 처녀생식, 인공자궁 등은 다양한 인간생식을 가능하게 하는데 중요학 역할을 할 것이다.[1]

많은 사람들은 포스트휴먼세상은 실제보다는 가상적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개인은 슈퍼컴퓨터상에 데이터로 업로드된 정신이나, 가상세계에 완전히 몰입된 사용자로 구성될 수 있다. 포스트젠더리즘은 이런 유형의 존재는 성별이 특정되지 않고, 개인이 그들의 아바타나 섹슈얼리티를 의지에 따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1]

섹슈얼리티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은 성별이 없는 사회가 된다는 것이 그 종이 성이나 섹슈얼리티에 관심이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성적인 관계나 개인간의 친밀감은 성별을 뛰어넘은 미래에도 존재할 수 있고 아마도 존재할 것이지만 아마도 다른 형태가 될 것이다.[1] 하지만 포스트젠더리즘은 성이나 섹슈얼리티가 반드시 물리적인 것일 거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2012년 7월 마두라이 아메리카 대학의 학생이자 젠더운동가 Gopi Shankar는 타밀의 포스트젠더리스트와 젠더퀴어의 모임을 조직했다. 고피는 "고대 인도에선 남녀에서 벗어난 25가지 이상의 젠더와 15가지 이상의 섹슈얼리티가 존재했다"고 말했다.[4][5][6]

포스트젠더리즘을 다룬 소설


같이보기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Postgenderism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

각주

  1. 1.0 1.1 1.2 1.3 1.4 1.5 1.6 1.7 틀:Cite journal
  2. The Dialectic of Sex, publ. The Women's Press, 1979. Chapter 1, "[The] end goal of feminist revolution must be, unlike that of the first feminist movement, not just the elimination of male privilege but of the sex distinction itself: genital differences between human beings would no longer matter culturally. (A reversion to an unobstructed pansexuality Freud's 'polymorphous perversity' - would probably supersede hetero/homo/bi-sexuality.) The reproduction of the species by one sex for the benefit of both would be replaced by (at least the option of) artificial reproduction: children would born to both sexes equally, or independently of. either, however one chooses to look at it; the dependence of the child on the mother (and vice versa) would give way to a greatly shortened dependence on a small group of others in general, and any remaining inferiority to adults in physical strength would be compensated for culturally."
  3. 틀:Cite journal
  4. V Mayilvaganan (July 30, 2012). Gender pride march takes Madurai by storm. timesofindia.indiatimes.com
  5. 틀:Cite web
  6. 틀:Cite web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