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29번째 줄: 29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설립 동기 ===
=== 설립 동기 ===
한글 검색엔진이 없던 시절에는 검색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해 영문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야 했다. 이 때문에 일반 이용자나 사이트 운영자 모두 불편하고 어색한 상황이었다. 이 때는 한글로 정보가 적혀있는 사이트를 검색하려면 한글을 영어로 [[음차]]해서 검색해야 했다. 이런 방식은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에는 표준으로 제정된 한글 로마자 표기법이 없던 시절이었기 때문에<ref> 표준 표기법은 2011년에야 국립국어원에 의해 정해진다. 표준이 정해져서 어느 정도 자리잡은 지금도 혼란이 있는데, 당시에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 같은 단어 하나를 검색하려 해도 가능한 로마자 음차 단어를 여러 개 사용하여 검색을 해야 했다.(예: 침대 -> chim dae, cim dae, chim dai) 이런 애로사항 때문에 미봉책으로 [[전화번호부]]처럼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의 주소를 나열한 목록을 만들어서 배포했으며<ref>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 수는 수백 개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했다.</ref>, 메인페이지는 그냥 영어로 작성하고 본문은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대한민국에서 인터넷 환경이 형성되기 전 반드시 해결돼야하는 문제였다.
한글 검색엔진이 없던 시절에는 검색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해 영문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야 했다. 이 때문에 일반 이용자나 사이트 운영자 모두 불편하고 어색한 상황이었다. 이 때는 한글로 정보가 적혀있는 사이트를 검색하려면 한글을 영어로 [[음차]]해서 검색해야 했다. 이런 방식은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에는 표준으로 정한 한글 로마자 표기법이 사실상 무시되던 시절<ref>이 작업을 주도해온 국어연구원 김세중 박사는 개정 이유로 현행 표기법이 사실상 사문화된 점과...(후략) [http://news.donga.com/3/all/19970429/7250529/1 박원재, 바뀌는 한글로마자 표기 정보화시대 「표기 과학화」, 동아일보, 1997년 4월 29일]</ref>이었기 때문에 같은 단어 하나를 검색하려 해도 가능한 로마자 음차 단어를 여러 개 사용하여 검색을 해야 했다.(예: 침대 -> chim dae, cim dae, chim dai) 이런 애로사항 때문에 미봉책으로 [[전화번호부]]처럼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의 주소를 나열한 목록을 만들어서 배포했으며<ref>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 수는 수백 개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했다.</ref>, 메인페이지는 그냥 영어로 작성하고 본문은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대한민국에서 인터넷 환경이 형성되기 전 반드시 해결돼야하는 문제였다.


=== 설립 후 영향과 그 의의 ===
=== 설립 후 영향과 그 의의 ===

2018년 9월 29일 (토) 22:24 판

코시크
웹사이트 정보
종류 포털 사이트
언어 한국어

1996년 11월 경 홈페이지
코시크(Kor-seek)는 1995년 12월 2일, 당시 충남대학교 화학공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밞던 김영렬 씨가 설립한 대한민국 최초이자 세계 최초한글 검색엔진이다. 폐쇄 전에 쓰던 도메인은 맨 처음에는 kor-seek.chungnam.ac.kr이었다가 1998년 초 부터 www.kor-seek.com으로 바뀌었다.[2] www.koseek.com을 도메인으로 쓰던 (주)코시크와는 관련이 없다.

역사

설립 동기

한글 검색엔진이 없던 시절에는 검색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해 영문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야 했다. 이 때문에 일반 이용자나 사이트 운영자 모두 불편하고 어색한 상황이었다. 이 때는 한글로 정보가 적혀있는 사이트를 검색하려면 한글을 영어로 음차해서 검색해야 했다. 이런 방식은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에는 표준으로 정한 한글 로마자 표기법이 사실상 무시되던 시절[1]이었기 때문에 같은 단어 하나를 검색하려 해도 가능한 로마자 음차 단어를 여러 개 사용하여 검색을 해야 했다.(예: 침대 -> chim dae, cim dae, chim dai) 이런 애로사항 때문에 미봉책으로 전화번호부처럼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의 주소를 나열한 목록을 만들어서 배포했으며[2], 메인페이지는 그냥 영어로 작성하고 본문은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대한민국에서 인터넷 환경이 형성되기 전 반드시 해결돼야하는 문제였다.

설립 후 영향과 그 의의

위의 문제는 코시크가 나오면서 거의 해결되었다. 한글로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이 2010년대에는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겠지만, 당시에는 획기적인 것을 넘어서 거의 모든 대한민국 웹사이트 이용자들의 속을 시원하게 해준, 마른 하늘의 단비같은 존재였다.[3] 한글로 된 사이트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자 한글로 적힌 웹페이지의 수 역시 크게 늘어나 대한민국의 초기 인터넷 환경의 형성이 더 빨라지기도 했다. 코시크의 등장은 다른 한글 검색엔진의 등장도 촉진하여, 1996년 이후 미스다찾니, 까치네, 심마니 등 90년대 말 한글 검색엔진의 춘추전국시대의 서막을 여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후발 검색엔진의 폭발적인 등장은 코시크의 선두주자의 자리를 위협하기도 했다.

폐쇄

코시크는 기세가 약해지기는 했지만 1998년에 폐쇄되기 전까지 한글 검색엔진의 선두주자 중 하나였다.[4] 폐쇄된 이유는 인기가 없어서라기보다는 금전적 요인이 컸다. 코시크의 운영자는 대학원생이었고, 결국 별다른 수입이 없는 상황에서도 검색엔진을 운영해야 했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안정적인 서버를 찾을 수 없어 서비스가 중단 위기에 처한 일도 있었다. 1997년에 농림수산정보센터에 검색엔진을 납품하기는 했지만 결국 코시크는 장기 기간 유지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상업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운영이 중단되게 된다.

특징

처음에는 디렉토리 검색만 제공했지만 얼마 안가 키워드 검색도 제공했다.

디렉토리 검색, 키워드 검색 말고도 HTML 사용법 등 기본적인 웹페이지 만드는 법, 코시크 이외에 라이코스, 야후! 디렉토리 검색, 알타비스타 등 다양한 다국어 검색엔진 모음, '뽀송게시판'이라는, 문의 게시판, 건의 게시판, 채팅 등 기초적인 커뮤니티를 제공했다. 코시크의 개발 이유가 누리꾼들이 인터넷 사용을 돕는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코시크는 기본적으로 검색등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채워나갔으며, 크롤러를 사용하기는 했으나 검색등록된 사이트 주소의 하위 페이지를 긁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3] 이렇게 코시크에 검색 등록이 된 홈페이지의 주소는 등록된 순서로 정리되어 게시되었다.목록을 내리다 보면 야동사이트도 찾을 수.... 있을려나?[4]

여담

  • 코시크는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약 3년간 운영되었다. 하지만, 이런 장기적인 운영은 본래 계획에는 없었던 일이었다. 개발자의 발언에 따르면, 개발 당시 코시크의 목적은 한글 검색엔진에 대한 관심을 키운 후 코시크보다 더 나은 검색엔진에게 자리를 넘겨주는 것으로, 시범적으로 한 달 정도만 운영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한글 검색엔진의 편리함에 열광한 많은 사람들의 요구가 있었고, 쏟아져 들어오는 각종 제안을 반영하다보니 거의 3년 동안 운영하게 되었고, 1년 가까이 대한민국 1위의 검색엔진이 되었다고 한다. 원래 그럴 의도는 없었는데 어쩌다보니까 1등
  • 서비스를 막 시작할 당시 코시크에 사용한 하드웨어가 지나치게 낡아서(...) 서비스를 시작한 지 6개월도 안 돼 장비를 교체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해 1996년 9월까지 코시크의 운영에 지장을 주었다고 한다.[5]
  • 설립자 김영렬 씨는 코시크의 서비스를 종료한 후 1998년에 웹 서비스 및 기업 네트워크 솔루션 제공 업체인 케이시크를 설립한다. 이 회사는 각종 양방향 방송에 기술지원을 하는 등 2015년 현재에도 운영 중이다.

참고한 자료

[6] [7] [8] [9] [10]

각주

  1. 이 작업을 주도해온 국어연구원 김세중 박사는 개정 이유로 현행 표기법이 사실상 사문화된 점과...(후략) 박원재, 바뀌는 한글로마자 표기 정보화시대 「표기 과학화」, 동아일보, 1997년 4월 29일
  2. 지금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당시 대한민국의 웹페이지 수는 수백 개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했다.
  3. 한글 검색엔진이 꽤 생긴 1997년에도 당시 IT를 소개하는 기사의 부제 중 하나가 '인터넷, 한글로도 검색가능'이었을 정도다.[1]
  4. 1등의 자리는 1997년에 심마니에게 내줬지만, 여전히 인기 있는 검색엔진 중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