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종류)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본선]]에 대응되는 단어로서, [[철도역]]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선로 중 열차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 본선 이외의 선로들을 말한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대개 [[철도 신호기]]가 설치되지 않아서 [[열차]]의 착발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닐 경우 쓰지 못하고, 다만 입환신호기나 직원의 유도를 통한 철도 차량의 [[입환]]에 의해서 이동해 들어가는 식으로 사용된다.  
[[본선]]에 대응되는 단어로서, [[철도역]]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선로 중 열차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 본선 이외의 선로들을 말한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대개 [[철도 신호기]]가 설치되지 않아서 [[열차]]의 착발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닐 경우 쓰지 못하고, 다만 입환신호기나 직원의 유도를 통한 철도 차량의 [[입환]]에 의해서 이동해 들어가는 식으로 사용된다.


==종류==
==종류==
10번째 줄: 10번째 줄:


* 적하선 또는 하역선
* 적하선 또는 하역선
*: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설치한 선로이다.  
*: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설치한 선로이다.


* 분별선
* 분별선
*: [[조차장]] 등지에서 [[객차]] 및 [[화차]]를 분류하여 구분하는 선로이다.  
*: [[조차장]] 등지에서 [[객차]] 및 [[화차]]를 분류하여 구분하는 선로이다.


* 반복선·인상선 (← 일본어 引き上げ線)
* 반복선·인상선 (← 일본어 引き上げ線)
*: 입환 또는 회차를 위하여 역의 [[본선]]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선로이다. 특히 [[도시철도]] 등에 흔한 배선으로, 인상선 중에서도 특히 전동차의 반복유치에 사용되는 선로를 반복선이라 부르며 도중역에 설치할 때 [[본선]]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형태를 따서 Y선이라 부른다.  
*: 입환 또는 회차를 위하여 역의 [[본선]]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선로이다. 특히 [[도시철도]] 등에 흔한 배선으로, 인상선 중에서도 특히 전동차의 반복유치에 사용되는 선로를 반복선이라 부르며 도중역에 설치할 때 [[본선]]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형태를 따서 Y선이라 부른다.


*기관차대기선(기대선)
*기관차대기선(기대선)

2021년 6월 16일 (수) 00:36 판

인상선.jpg

側線, siding

개요

본선에 대응되는 단어로서, 철도역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선로 중 열차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 본선 이외의 선로들을 말한다. 반드시는 아니지만, 대개 철도 신호기가 설치되지 않아서 열차의 착발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닐 경우 쓰지 못하고, 다만 입환신호기나 직원의 유도를 통한 철도 차량의 입환에 의해서 이동해 들어가는 식으로 사용된다.

종류

  • 유치선
    철도차량이나 보선 장비 등을 유치하기 위해서 설치한 선로이다. 대개 역 구내에 설치된 선로는 거의 이 종류이다.
  • 적하선 또는 하역선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설치한 선로이다.
  • 반복선·인상선 (← 일본어 引き上げ線)
    입환 또는 회차를 위하여 역의 본선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선로이다. 특히 도시철도 등에 흔한 배선으로, 인상선 중에서도 특히 전동차의 반복유치에 사용되는 선로를 반복선이라 부르며 도중역에 설치할 때 본선 선로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종종 형태를 따서 Y선이라 부른다.
  • 기관차대기선(기대선)
    기관차가 객차 또는 화차를 연결하여 열차를 조성하기 전에 일시 대기시키기 위해 설치한 선로이다.
  • 기회선 또는 기주선
    기관차가 열차의 착발선과 기관차 차고 사이를 운행하거나, 회두 입환(열차에서 기관차의 연결 위치를 바꾸는 입환)을 할 때 구내 입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선로이다.
  • 통로선
    어떤 선로군들 간을 연결해서 차량의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선로이다. 차량을 유치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목적을 구분하여 둔다.
  • 검수선
    기관차나 객차, 화차, 또는 전동차기동차 등의 검사 및 수선을 하는 선로이다. 검수 종류에 따라서 일상검사선, 월상검사선, 임시검사선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세척선
    차량의 세척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선로로, 자동세척기, 급수설비나 오물수거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안전측선
    교행이나 선로의 합류가 이루어지는 본선, 또는 안전거리가 부족한 부본선 등의 앞에 설치되어, 열차가 신호모진을 하더라도 대향 또는 통과 열차의 진로를 지장하지 않도록 하는 선로이다. 자세히는 문서 참조.
  • 피난선
    긴 하구배가 위치한 역의 경우, 열차의 제동장치가 고장나거나 위쪽 역에서 차량이 굴러 내려와 역 구내를 돌파하거나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구배방향 장내신호기 인근에 설치한 선로이다. 굴러내려온 차량은 이 피난선 쪽으로 굴러가게 되면서 역 구내를 보호하게 되는 방식. 실효성 면에서 그리 이득이 없고, 현재는 차량의 발전으로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안전측선 문서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