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방언: 두 판 사이의 차이

(서술 맞추기(되돌림): 그리고 사투리가 지역에 따라 달라도 충쳉도라곤 안 해요...)
(경상도 사람들이 충청도말을 답답하게 여긴단 예긴 없는데요)
111번째 줄: 111번째 줄:
물론 그런 적은 읎어. 언어장애도 아니고 자기 아버지가 죽는데 말을 그렇게 햐? 충청도에 지역 감정을 가진 사람이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여.
물론 그런 적은 읎어. 언어장애도 아니고 자기 아버지가 죽는데 말을 그렇게 햐? 충청도에 지역 감정을 가진 사람이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여.


경상도 사람들 말로는 충청도 사람들이 답답하나벼. 근데 충청도 사람 입장에선 경상도 사람들 말이 너무 짧은 건디 말여. KBS 스펀지에서 실험을 했었는디, 경상도 사람들은 딱 지들 할 말만 하구 끊는디, 충청도 사람들은 인사니 안부니 말이 늘어지니께 느려지드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혀.
KBS 스펀지에서 실험을 했었는디, 경상도 사람들은 딱 지들 할 말만 하구 끊는디, 충청도 사람들은 인사니 안부니 말이 늘어지니께 느려지드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도 혀. 근디 요즘엔 충청도 사람들도 할말만 하구 끊기두 혀.


== 방언 구분 ==
== 방언 구분 ==

2016년 9월 23일 (금) 17:27 판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충청도 방언 문서 13550811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
이 문서는 암묵의 룰로 작성되었슈. 위키러님의 눈이 이상헌 게 아녀유.
당황허지 말고 이 문서의 암묵의 룰을 잘 파악혀 보셔유.

충청 방언(忠淸方言)

이 문서는 충청도 사람이 썼구먼유. 최대한 아는대로 썼으니께 틀린거 있으믄 수정혀 주세유.

소개

충청도 사투리라고 혀. 별건 읎어.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호서 지방(湖西地方)에서 주로 사용허는 사투리여. 기존의 여러 방언 관련 연구에서 충청도 방언은 경기도 방언, 황해도 방언, 강원도 방언과 함께 중부 방언이라는 한 테두리로 묶여 정체성이 약혀. 한편, 충청 방언은 경기 방언과 억양, 음운, 문법 면에서 이질적인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여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고 햐.[1]

개요

충청도 방언은 경기 방언과 대체로 비슷허지만 말투가 온화허구, 억양이 차분한 것이 특징이여.

음운

충청도 사투리의 음운 체계는 경기 방언과 대체로 일치허지만 일부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햐.

중세 국어에서 반치음()을 가졌던 용언 대부분은 충청도 사투리에서 'ㅅ'으로 바뀌어 규칙 활용을 보여주며 체언에서도 'ㅅ'으로 바뀐 어형들이 많어.

  • 여우 → 여수
  • 무 → 무수
  • 선을 '그었다[劃]' → 선을 '그섰다'
  • 병(病)이 '나았다' → 병이 '나섰다'

충청도 사투리에서 체언 말음의 'ㅋ', 'ㅍ'은 유기성이 사라져 각각 'ㄱ', 'ㅂ'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그려.

  • '부엌'에 있다 → '부억'에 있다
  • '무릎'을 치다 → '무릅'을 치다

자음군을 말음으로 가지던 체언도 단순화 ᄃᆦ.[2]

  • '삯'을 받다 → '삭'을 받다
  • '닭'이 운다 → '닥'이 운다
  • '책값'이 얼마냐 → '책갑'이 얼마냐

'ㅌ, ㅈ, ㅊ'을 말음으로 가지는 단어들이 충청도 사투리에서 말음이 'ㅅ'로 재구조화되어 나타나.

  • '꽃'이 아름답다 → '꼿'이 아름답다
  • '밤낮'으로 일한다 → '밤낫'으로 일한다
  • '솥'이 뜨겁다 → '솟'이 뜨겁다

어두 자음의 경음화 경향도 나타나구.

  • '가시'가 많다 → '까시'가 많다
  • 머리를 '감다' → 머리를 '깜다'

움라우트는 개재 자음을 사이에 두고 앞의 후설 모음이 뒤의 'ㅣ'에 의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으루 충청도 전역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현상인 겨.

  • 아기 → 애기
  • 어미 → 에미 니에미
  • 고기 → 괴기

구개음화 현상두 충청도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

  • 밭을[바틀] 갈다 → 밭을[바츨] 갈다

형태 및 통사

충청도 사투리의 문법 형태소는 경기도 지방과 대체로 일치허지만 작은 차이를 보이고 그랴.

충청도 사투리에서 부사격 조사 중 '~(누구)에게'라는 표현으로 '~헌테/한티' 등이 자주 쓰이구, 공동격 조사인 '~(누구)와'와 같은 표현으로 '~허구', '~랑'이 자주 쓰여. 도구격 조사로는 '~로'는 '~루/으루', 비교격 조사인 '~보다'는 '~보덤/보담'으로 사용한다. 종속 연결어미로는 표준어인 '~도', '~더라도' 대신 '~두', '~더라두' 등이 쓰여.

문법

충청도 방언의 경어법 등급은 표준어와 대부분 일치허지만 표준어의 두루높임인 '~요' 말구 '~유'가 자주 쓰여. 예삿말로는 '~겨'가 쓰이는. 이는 표준말의 '~거야'가 '~거여'의 모음조화를 거쳐갖고 '~겨'로 축약된 형태여. 명령형 종결어미인 '~하시오', '~시오'도 '~하슈', '~슈' 등으로 사용햐.

어휘

(표준어) → (충청도 방언) 비교

  • 거의 → 거지반, 거진
  • 모양 → 모냥
  • 무릎 → 무르팍, 무름팍
  • 다니다 → 댕기다
  • 남기다 → 냉기다
  • 예쁘다 → 이쁘다
  • 잠그다 → 잠구다
  • 가깝다 → 가찹다
  • 흉보다 → 숭보다
  • 숨기다 → 숨키다
  • 일어나다 → 인나다
  • 가르치다 → 갈키다, 가리키다
  • 들르다 → 들리다
  • 아버지 → 아부지
  • 계집애 → 기집애
  • 아궁이 → 고쿠락
  • 젓가락 → 저범, 저본
  • 뱀 → 뱜
  • 등 → 등어리
  • 뼈 → 뼉다구
  • 뜰 → 뜨럭
  • 없다 → 읎다
  • 줍다 → 줏다
  • 씻기다 → 씻히다 [씨치다]
  • 놀라다 → 놀래다
  • 놀래다 → 놀래키다
  • 하루살이(뿐만 아니라 모기 같은 작은 벌레) → 깔다귀, 깔다구
  • 먼지 → 탑새기, 탑시기
  • 되게 → 디게
  • ~해 → ~혀, ~햐
  • 돼(되다의 활용형) → 뎌, 댜, "ᄃᆦ"
  • 그래 → 그려
  • 아니야 → 아녀
  • 그렇다 → 기다, 기여, 겨
  • (편가르기 구호) → 우에시다리, 찌단말없기, 돈백만원내놓기, 내놓기내놓기 (대전)
  • 참가시키다 → 사쿠다
  • 언덕 → 날맹이, 날맹, 날망
  • 다슬기 → 도솔비
  • 씨레기 → 씨라구
  • 그리고 → 그라고, 그라구
  • 가장자리 → 가생이
  • -며 → -매 (경기방언과는 다르게 상대방에게 발언을 재확인할 때에만 -매로 쓰이고 그 이외는 -며가 쓰여. "네가 하라며", "네가 하라고 했잖아" → "니가 하라매") (니가 하라매 → 니가 허라메)
  • 파전, 부침개 → 문주, 부치미
  • 개고기를 먹을줄 아니? → 개고기 먹을줄 알어?

일화

충청도는 양반의 고장이라 말이 느리다는 속설이 있다 그려.

어느 날, 한 아버지가 아들과 함께 길을 걸어가. 그런데 갑자기 산 높은 곳에서 큰 바윗덩어리가 아버지를 향해 굴러 떨어지고 있는디, 그것을 본 아들이 "아~부~지~ 돌~ 굴~러~가~유~" 라고 차마 말을 다 끝마치기도 전에 돌은 아버지를 덮치고 말았다는 충청도 사투리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니께.

물론 그런 적은 읎어. 언어장애도 아니고 자기 아버지가 죽는데 말을 그렇게 햐? 충청도에 지역 감정을 가진 사람이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여.

KBS 스펀지에서 실험을 했었는디, 경상도 사람들은 딱 지들 할 말만 하구 끊는디, 충청도 사람들은 인사니 안부니 말이 늘어지니께 느려지드라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도 혀. 근디 요즘엔 충청도 사람들도 할말만 하구 끊기두 혀.

방언 구분

대전,세종,청주,천안,공주,부여,논산,옥천 등 중부지역 또는 서산,당진,예산,홍성,보령,서천 등 서해안 지역과 충주,제천,단양 등 북동부 내륙지역 간에 다소 차이를 보이기도 허지만, 대체로 경기 방언과 유사하고, 지역별로 서남 방언 또는 동남 방언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현대에는 대전광역시에 대도시가 조성되고 수도권 등에서 외지인이 유입되면서 일부 지역에서 표준어와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햐. 아직까지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기군 때부터 살아왔던 원주민들, 충청남도 공주, 부여, 청양, 충청남도 내포지역(서산, 당진, 홍성, 예산, 태안)과 충청북도 청주 이남 남부 3군(보은, 옥천, 영동)은 충청 방언의 억양이 다른 지역보다 많이 남아 있는겨.

참고문헌

  • 김형규, 충청남북도 방언 연구, 학술원논문집, 1972틀:쪽
  • 도수희, 충청도 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 국어연구소, 1987틀:쪽

충청 방언(忠淸方言)

해석

이 문서는 암묵의 룰로 작성되었습니다. 위키러님의 눈이 이상한 게 아닙니다. 당황하지 말고 이 문서의 룰을 파악해 보세요.

틀린거 있으면 수정해 주세요.

소개

충청도 사투리라고 한다.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호서 지방(湖西地方)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다. 기존의 여러 방언 관련 연구에서 충청도 방언은 경기도 방언, 황해도 방언, 강원도 방언과 함께 중부 방언이라는 한 테두리로 묶여 정체성이 약하다. 한편, 충청 방언은 경기 방언과 억양, 음운, 문법 면에서 이질적인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여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3]

개요

충청도 방언은 경기 방언과 대체로 비슷하지만 말투가 온화하며, 억양이 차분한 것이 특징이다.

음운

충청도 사투리의 음운 체계는 경기 방언과 대체로 일치하지만 일부에서 차이를 보인다.

중세 국어에서 반치음()을 가졌던 용언 대부분은 충청도 사투리에서 'ㅅ'으로 바뀌어 규칙 활용을 보여주며 체언에서도 'ㅅ'으로 바뀐 어형들이 많다.

  • 여우 → 여수
  • 무 → 무수
  • 선을 '그었다[劃]' → 선을 '그섰다'
  • 병(病)이 '나았다' → 병이 '나섰다'

충청도 사투리에서 체언 말음의 'ㅋ', 'ㅍ'은 유기성이 사라져 각각 'ㄱ', 'ㅂ'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 '부엌'에 있다 → '부억'에 있다
  • '무릎'을 치다 → '무릅'을 치다

자음군을 말음으로 가지던 체언도 단순화된다.

  • '삯'을 받다 → '삭'을 받다
  • '닭'이 운다 → '닥'이 운다
  • '책값'이 얼마냐 → '책갑'이 얼마냐

'ㅌ, ㅈ, ㅊ'을 말음으로 가지는 단어들은 충청도 사투리에서 말음이 'ㅅ'로 재구조화되어 나타난다.

  • '꽃'이 아름답다 → '꼿'이 아름답다
  • '밤낮'으로 일한다 → '밤낫'으로 일한다
  • '솥'이 뜨겁다 → '솟'이 뜨겁다

어두 자음의 경음화 경향도 나타난다.

  • '가시'가 많다 → '까시'가 많다
  • 머리를 '감다' → 머리를 '깜다'

움라우트는 개재 자음을 사이에 두고 앞의 후설 모음이 뒤의 'ㅣ'에 의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으로서 충청도 전역에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현상이다.

  • 아기 → 애기
  • 어미 → 에미
  • 고기 → 괴기

구개음화 현상도 충청도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 밭을[바틀] 갈다 → 밭을[바츨] 갈다

형태 및 통사

충청도 사투리의 문법 형태소는 경기도 지방과 대체로 일치하지만 작은 차이를 보인다.

충청도 사투리에서 부사격 조사 중 '~(누구)에게'라는 표현으로 '~헌테/한티' 등이 자주 쓰이고, 공동격 조사인 '~(누구)와'와 같은 표현으로 '~허구', '~랑'이 자주 쓰인다. 도구격 조사로는 '~로'는 '~루/으루', 비교격 조사인 '~보다'는 '~보덤/보담'으로 사용한다. 종속 연결어미로는 표준어인 '~도', '~더라도' 대신 '~두', '~더라두' 등이 쓰인다.

문법

충청도 방언의 경어법 등급은 표준어와 대부분 일치하지만 표준어의 두루높임인 '~요' 대신 '~유'가 자주 쓰인다. 예삿말로는 '~겨'가 쓰인다. 이는 표준말의 '~거야'가 '~거여'의 모음조화를 처겨 '~겨'로 축약된 형태이다. 명령형 종결어미인 '~하시오', '~시오'도 '~하슈', '~슈' 등으로 사용한다.

어휘

(표준어) → (충청도 방언) 비교

  • 거의 → 거지반, 거진
  • 모양 → 모냥
  • 무릎 → 무르팍, 무름팍
  • 다니다 → 댕기다
  • 남기다 → 냉기다
  • 예쁘다 → 이쁘다
  • 잠그다 → 잠구다
  • 가깝다 → 가찹다
  • 흉보다 → 숭보다
  • 숨기다 → 숨키다
  • 일어나다 → 인나다
  • 가르치다 → 갈키다, 가리키다
  • 들르다 → 들리다
  • 아버지 → 아부지
  • 계집애 → 기집애
  • 아궁이 → 고쿠락
  • 젓가락 → 저범, 저본
  • 뱀 → 뱜
  • 등 → 등어리
  • 뼈 → 뼉다구
  • 뜰 → 뜨럭
  • 없다 → 읎다
  • 줍다 → 줏다
  • 씻기다 → 씻히다 [씨치다]
  • 놀라다 → 놀래다
  • 놀래다 → 놀래키다
  • 하루살이(뿐만 아니라 모기 같은 작은 벌레) → 깔다귀, 깔다구
  • 먼지 → 탑새기, 탑시기
  • 되게 → 디게
  • ~해 → ~혀
  • 돼(되다의 활용형) → 뎌, 댜, "도ㅑ"
  • 그래 → 그려
  • 아니야 → 아녀
  • 그렇다 → 기다, 기여, 겨
  • (편가르기 구호) → 우에시다리, 찌단말없기, 돈백만원내놓기, 내놓기내놓기 (대전)
  • 참가시키다 → 사쿠다
  • 언덕 → 날맹이, 날맹, 날망
  • 다슬기 → 도솔비
  • 씨레기 → 씨라구
  • 그리고 → 그라고, 그라구
  • 가장자리 → 가생이
  • -며 → -매 (경기방언과는 다르게 상대방에게 발언을 재확인할 때에만 -매로 쓰이고 그 이외는 -며가 쓰인다. "네가 하라며", "네가 하라고 했잖아" → "니가 하라매") (니가 하라매 → 니가 허라메)
  • 파전, 부침개 → 문주, 부치미
  • 개고기를 먹을줄 아니? → 개혀?

일화

충청도는 양반의 고장이라 말이 느리다는 속설이 있다.

어느 날, 한 아버지가 아들과 함께 길을 걸어갔다. 그런데 갑자기 산 높은 곳에서 큰 바윗덩어리가 아버지를 향해 굴러 떨어지고 있었다. 그것을 본 아들이 "아~부~지~ 돌~ 굴~러~가~유~" 라고 차마 말을 다 끝마치기도 전에 돌은 아버지를 덮치고 말았다는 충청도 사투리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물론 그런 적은 없다. 언어장애도 아니고 자기 아버지가 죽는데 말을 그렇게 하겠는가? 충청도에 지역 감정을 가진 사람이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다.

경상도 사람들 말로는 충청도 사람들이 답답하다 하는 편이다. 그런데 충청도 사람 입장에서는 오히려 경상도 사람들 말이 짧게 느껴진다고. KBS 스펀지에서 실험을 했었는데, 경상도 사람들은 본인들 할 말만 하고 끊는데, 충청도 사람들은 인사와 안부 등으로 말이 늘어지기에 느려지더란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방언 구분

대전,세종,청주,천안,공주,부여,논산,옥천 등 중부지역 또는 서산,당진,예산,홍성,보령,서천 등 서해안 지역과 충주,제천,단양 등 북동부 내륙지역 간에 다소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대체로 경기 방언과 유사하고, 지역별로 서남 방언 또는 동남 방언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현대에는 대전광역시에 대도시가 조성되고 수도권 등에서 외지인이 유입되면서 일부 지역에서 표준어와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아직까지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기군 때부터 살아왔던 원주민들, 충청남도 공주, 부여, 청양, 충청남도 내포지역(서산, 당진, 홍성, 예산, 태안)과 충청북도 청주 이남 남부 3군(보은, 옥천, 영동)은 충청 방언의 억양이 다른 지역보다 많이 남아 있다.

참고문헌

  • 김형규, 충청남북도 방언 연구, 학술원논문집, 1972틀:쪽
  • 도수희, 충청도 방언의 특징과 그 연구, 국어연구소, 1987틀:쪽

각주

  1. 네이버 지식사전 > 방언/고전용어
  2. 도+ㅑ. '도야'를 빨리 말혀.
  3. 네이버 지식사전 > 방언/고전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