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6번째 줄: 26번째 줄:


{{--|아 연휴 끝났다 ㅆㅂ..}}
{{--|아 연휴 끝났다 ㅆㅂ..}}
2017년 추석은 2000년대 역대 추석 연휴 중 가장 긴 연휴였다. 9월 마지막 주 토요일부터 시작되는 연휴는 10월 첫째주 월요일 공백을 휴가로 붙일 수 있다면, 다다음주 월요일인 한글날까지 쭉 쉴 수 있었다. <s>물론, 이론상에서만 가능하다. 현실에서는...</s>
== 연도별 추석 ==
== 연도별 추석 ==
{{참조|분류:연도별 추석}}
{{참조|분류:연도별 추석}}

2018년 8월 2일 (목) 10:11 판

한가위.png


추석(秋夕) 추suck은 매년 음력 8월 15일 안팎으로 지내는 대한민국명절로, 가을 추수를 끝내고 조상님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는 날이다. 설날과 함께 한국의 2대 명절이며, 세계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수확제의 일종이다. 달리 가위, 한가위, 팔월대보름 등으로도 부른다.

전국 고속도로에 헬게이트가 열리는 날

유래

사실 신라때에도 풍습이 있었다는 것을 볼 때 추석을 지키는 풍습 자체는 삼국시대 이전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이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란 '가운데'를 나타내는데, '가위'란 신라 시대 때 여인들이 실을 짜던 길쌈을 '가배(嘉排)'라 부르다가 이 말이 변해서 된 것이다.

추석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라의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벌인 적마경기(績麻競技)에서 비롯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삼국사기》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가 기술되어 있다.

왕이 6부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部) 안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서 가을 음력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큰 부(大部)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오후 10시경에 그치는데, 음력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적의 많고 적음을 헤아려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차려서 이긴 편에게 사례하였다. 이에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를 모두 행하는데 그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 때 진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해 말하기를 "회소 회소"라 하였는데, 그 소리가 슬프고도 아름다워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를 따라서 노래를 지어 회소곡이라 이름 하였다.

嘉俳의 당시 발음이 ‘가배’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로부터 중세 한국어의 ‘ᄀᆞᄇᆡ’와 지금의 ‘(한)가위’라는 이름이 온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의견은 대략 10월경에 벌어지는 동명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이다. 한편, 일본의 역사서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날을 승전일로 기념하여 즐겁게 보냈다고 한다.[1] 당대의 기록 중에서 흥미로운 기록이 전해지는데 바로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에서 전해지는 내용이다.

절에서 박탁(餺飩)과 병식(餠食) 등을 마련하여 8월 보름 명절을 지냈다. 이 명절은 여러 다른 나라에는 없고 오직 신라국에만 유독 이 명절이 있다. 노승 등이 말하기를 “신라국이 발해국[3]과 서로 싸웠을 때 이날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이 날을 명절로 삼아 음악과 춤을 추며 즐겼다. 이 행사는 오래도록 이어져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온갖 음식을 마련하고 가무와 음악을 연주하며 밤낮으로 이어져 3일 만에 끝이 난다. 지금 이 산원에서도 고국을 그리워하며 오늘 명절을 지냈다. 그 발해는 신라에 토벌되어 겨우 1천명이 북쪽으로 도망갔다가 후에 되돌아와 옛날대로 나라를 세웠다. 지금 발해국이라 부르는 나라가 바로 그것이다.
— 엔닌, 《입당구법순례행기》[2]

이야깃거리

햇과일과 햇곡식을 조상 차례상에 올려 제사를 지내며 송편은 추석의 대표 음식이다.

진정한 의의는 설날과 같이 가족 및 친척들이 만나는 그런 이유를 만들어 1년에 최소 2번이라도 만나라는 의의가 담겨져 있다돈은 덤으로 주시고요

다른 날보다 용돈을 굉장히 많이 받는 날이다.

아 연휴 끝났다 ㅆㅂ..

2017년 추석은 2000년대 역대 추석 연휴 중 가장 긴 연휴였다. 9월 마지막 주 토요일부터 시작되는 연휴는 10월 첫째주 월요일 공백을 휴가로 붙일 수 있다면, 다다음주 월요일인 한글날까지 쭉 쉴 수 있었다. 물론, 이론상에서만 가능하다. 현실에서는...

연도별 추석

각주

  1. 위키백과:추석 문서에서 가져옴
  2.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3. 여기서 말하는 발해국은 사실상 고구려라고 보아야한다. 고구려 멸망은 보장왕 27년(668) 9월인데 신라 측에서 발해를 고구려 계승국으로 보는 근거로 이 내용을 인용하기도 한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추석 문서 14894637판을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