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진정한 의의는 [[설날]]과 같이 가족및 친척들이 만나는 그런 이유를 만들어 1년에 최소 2번이라도 만나라는 의의가 담겨져 있다<del>돈은 덤으로 주시고요</del>
진정한 의의는 [[설날]]과 같이 가족및 친척들이 만나는 그런 이유를 만들어 1년에 최소 2번이라도 만나라는 의의가 담겨져 있다<del>돈은 덤으로 주시고요</del>
다른 날보다 용돈을 굉장히 많이 받는 날이다.


{{--|아 연휴 끝났다 ㅆㅂ..}}
{{--|아 연휴 끝났다 ㅆㅂ..}}

2016년 9월 18일 (일) 19:36 판

틀:넘겨주기

개요

설날과 함께 한국의 2대 명절. 음력 8월 15일이다. 가을 추수를 끝내고 조상님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는 날이다. 전국 고속도로에 헬게이트가 열리는 날

유래

사실 신라때에도 풍습이 있었다는 것을 볼 때 추석을 지키는 풍습 자체는 삼국시대 이전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한'이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란 '가운데'를 나타내는데, '가위'란 신라 시대 때 여인들이 실을 짜던 길쌈을 '가배(嘉排)'라 부르다가 이 말이 변해서 된 것이다.

추석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라의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벌인 적마경기(績麻競技)에서 비롯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삼국사기》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가 기술되어 있다.

왕이 6부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部) 안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어 편을 짜서 가을 음력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큰 부(大部)의 뜰에 모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오후 10시경에 그치는데, 음력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적의 많고 적음을 헤아려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차려서 이긴 편에게 사례하였다. 이에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를 모두 행하는데 그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이 때 진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해 말하기를 "회소 회소"라 하였는데, 그 소리가 슬프고도 아름다워 후대 사람들이 그 소리를 따라서 노래를 지어 회소곡이라 이름 하였다.

嘉俳의 당시 발음이 ‘가배’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로부터 중세 한국어의 ‘ᄀᆞᄇᆡ’와 지금의 ‘(한)가위’라는 이름이 온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의견은 대략 10월경에 벌어지는 동명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이다. 한편, 일본의 역사책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날을 승전일로 기념하여 즐겁게 보냈다고 한다.[1] 당대의 기록 중에서 흥미로운 기록이 전해지는데 바로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에서 전해지는 내용이다.

절에서 박탁(餺飩)과 병식(餠食) 등을 마련하여 8월 보름 명절을 지냈다. 이 명절은 여러 다른 나라에는 없고 오직 신라국에만 유독 이 명절이 있다. 노승 등이 말하기를 “신라국이 발해국[2]과 서로 싸웠을 때 이날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에 이 날을 명절로 삼아 음악과 춤을 추며 즐겼다. 이 행사는 오래도록 이어져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온갖 음식을 마련하고 가무와 음악을 연주하며 밤낮으로 이어져 3일 만에 끝이 난다. 지금 이 산원에서도 고국을 그리워하며 오늘 명절을 지냈다. 그 발해는 신라에 토벌되어 겨우 1천명이 북쪽으로 도망갔다가 후에 되돌아와 옛날대로 나라를 세웠다.

지금 발해국이라 부르는 나라가 바로 그것이다..

[[1]]

이야깃거리

햇과일과 햇곡식을 조상 차례상에 올려 제사를 지내며 송편은 추석의 대표 음식이다.

진정한 의의는 설날과 같이 가족및 친척들이 만나는 그런 이유를 만들어 1년에 최소 2번이라도 만나라는 의의가 담겨져 있다돈은 덤으로 주시고요

다른 날보다 용돈을 굉장히 많이 받는 날이다.

아 연휴 끝났다 ㅆㅂ..

각주

  1. 위키백과:추석 문서에서 가져옴
  2. 여기서 말하는 발해국은 사실상 고구려라고 보아야한다. 고구려 멸망은 보장왕 27년(668) 9월인데 신라 측에서 발해를 고구려 계승국으로 보는 근거로 이 내용을 인용하기도 한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추석 문서 14894637판을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