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지방도 제456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분류:
  • 지방도 제456호선
2017년 8월 22일 (화) 21:43 판 (편집)
Chirho (토론 | 기여)
← 이전 편집
2018년 12월 3일 (월) 15:26 판 (편집) (편집 취소)
Chirho (토론 | 기여)
(→‎기타)
다음 편집 →
16번째 줄: 16번째 줄:
  
 
==기타==
 
==기타==
−
*과거 영동고속도로가 왕복 2차선 도로이던 시절 이 도로의 상당수 구간이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었다. 실제 현 평창 올림피아 리조트 부근부터 강릉시 성산면까지의 구간이 과거 영동고속도에 속해있던 구간으로 사실 당시 영동고속도로는 새말 요금소를 지나서부터는 아예 입체교차로 같은 것은 존재하지도 않았으며 심지어 [[자동차전용도로]]도 아닌데다.{{ㅈ|우마차 통행 가능이라는 표지판까지 있었다}} 성산면 부근에는 신호등까지 세워져 있는 사실상 고속도로라 할 수 없는 구간이었다. 이후 영동고속도로가 확포장되면서 살아남은 구간들은 [[지방도]] 번호조차 부여받지 못한 그냥 일반도로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나 월정삼거리부터 횡계1교 아래 사거리까지의 일반도로 구간과 횡계1교 아래부터 강릉까지의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을 합쳐서 지방도 456번 번호가 지정되면서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 중 지방도 이상의 등급을 부여받은 두 구간 중 하나이다.{{ㅈ|다른 사례는 [[진부터널]] 인근 속사리재 구간이다. [[국도 제6호선]]으로 격하된 구간인데 정작 옛날 국도가 바로 옆에 나란히 붙어 있어서 상당히 골때리는 구간이 되어버렸다}} 참고로 올림피아 리조트부터 횡계1교 사이의 구영동고속도로 구간은 현 영동고속도로 구간과 거의 겹치는 덕분에 일부는 농로의 형태로, 일부는 아예 도로가 고속도로 노반 아래로 들어가 버리는 식으로 사라져 버리게 되면서 과거 고속도로 구간과 지방도 구간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
*과거 영동고속도로가 왕복 2차선 도로이던 시절 이 도로의 상당수 구간이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었다. 실제 현 평창 올림피아 리조트 부근부터 강릉시 성산면까지의 구간이 과거 영동고속도에 속해있던 구간으로 사실 당시 영동고속도로는 새말 요금소를 지나서부터는 아예 입체교차로 같은 것은 존재하지도 않았으며 심지어 [[자동차전용도로]]도 아닌데다.{{ㅈ|우마차 통행 가능이라는 표지판까지 있었다}} 성산면 부근에는 신호등까지 세워져 있는 사실상 고속도로라 할 수 없는 구간이었다. 이후 영동고속도로가 확포장되면서 살아남은 구간들은 [[지방도]] 번호조차 부여받지 못한 그냥 일반도로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나 월정삼거리부터 횡계1교 아래 사거리까지의 일반도로 구간과 횡계1교 아래부터 강릉까지의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을 합쳐서 지방도 456번 번호가 지정되면서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 중 지방도 이상의 등급을 부여받은 두 구간 중 하나이다.{{ㅈ|다른 사례는 [[진부터널]] 인근 속사리재 구간이다. [[국도 제6호선]]으로 격하된 구간인데 정작 옛날 국도가 바로 옆에 나란히 붙어 있어서 상당히 골때리는 구간이 되어버렸다}} 참고로 올림피아 리조트부터 횡계1교 사이의 구영동고속도로 구간은 현 영동고속도로 구간과 거의 겹치는 덕분에 일부는 농로의 형태로, 일부는 아예 도로가 고속도로 노반 아래로 들어가 버리는 식으로 사라져 버리게 되면서 과거 고속도로 구간과 지방도 구간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과거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던 만큼 강릉-횡계 사이의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이 정체될 경우 이 도로 구간이 우회로로 사용된다. 아무래도 대관령 구간의 급경사와 커브의 말도 안되는 구배 덕분에 주로 강릉방향보다는 인천방향으로 향할 때 자주 사용되며 실제 운전 난이도도 이쪽 방향이 더 쉽다.
 
*과거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던 만큼 강릉-횡계 사이의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이 정체될 경우 이 도로 구간이 우회로로 사용된다. 아무래도 대관령 구간의 급경사와 커브의 말도 안되는 구배 덕분에 주로 강릉방향보다는 인천방향으로 향할 때 자주 사용되며 실제 운전 난이도도 이쪽 방향이 더 쉽다.
  

2018년 12월 3일 (월) 15:26 판

진부-강릉선
지방도 제456호선
노선번호  456 
기점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종점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구산리
연장 30.2km
개통일 2001년 11월 16일
관할 강원도

목차

  • 1 개요
  • 2 기타
  • 3 함께 보기
  • 4 각주

1 개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1]에서 강릉시 성산면 구산리[2] 까지를 연결하는 30km길이의 도로로 과거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서쪽 끝인 진부면은 국도 제6호선과 접하며 동쪽 끝의 성산면에서는 국도 제35호선과 접속한다.

도로 전 구간이 도로명주소상 경강로에 속하며 전체 구간 중 구영동고속도로 구간은 영동고속도로 횡계1교 인근 사거리부터 강릉 성산면까지의 구간까지이다.

2 기타

  • 과거 영동고속도로가 왕복 2차선 도로이던 시절 이 도로의 상당수 구간이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었다. 실제 현 평창 올림피아 리조트 부근부터 강릉시 성산면까지의 구간이 과거 영동고속도에 속해있던 구간으로 사실 당시 영동고속도로는 새말 요금소를 지나서부터는 아예 입체교차로 같은 것은 존재하지도 않았으며 심지어 자동차전용도로도 아닌데다.[3] 성산면 부근에는 신호등까지 세워져 있는 사실상 고속도로라 할 수 없는 구간이었다. 이후 영동고속도로가 확포장되면서 살아남은 구간들은 지방도 번호조차 부여받지 못한 그냥 일반도로 구간으로 전환되었으나 월정삼거리부터 횡계1교 아래 사거리까지의 일반도로 구간과 횡계1교 아래부터 강릉까지의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을 합쳐서 지방도 456번 번호가 지정되면서 구 영동고속도로 구간 중 지방도 이상의 등급을 부여받은 두 구간 중 하나이다.[4] 참고로 올림피아 리조트부터 횡계1교 사이의 구영동고속도로 구간은 현 영동고속도로 구간과 거의 겹치는 덕분에 일부는 농로의 형태로, 일부는 아예 도로가 고속도로 노반 아래로 들어가 버리는 식으로 사라져 버리게 되면서 과거 고속도로 구간과 지방도 구간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 과거 영동고속도로 구간이었던 만큼 강릉-횡계 사이의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이 정체될 경우 이 도로 구간이 우회로로 사용된다. 아무래도 대관령 구간의 급경사와 커브의 말도 안되는 구배 덕분에 주로 강릉방향보다는 인천방향으로 향할 때 자주 사용되며 실제 운전 난이도도 이쪽 방향이 더 쉽다.

3 함께 보기

  • 대관령

4 각주

  1. ↑ 월정삼거리 기점
  2. ↑ 성산면사무소 부근 삼거리
  3. ↑ 우마차 통행 가능이라는 표지판까지 있었다
  4. ↑ 다른 사례는 진부터널 인근 속사리재 구간이다. 국도 제6호선으로 격하된 구간인데 정작 옛날 국도가 바로 옆에 나란히 붙어 있어서 상당히 골때리는 구간이 되어버렸다
대한민국 강원도 관내 지방도
  • 402
  • 403
  • 404
  • 406
  • 407
  • 408
  • 409
  • 410
  • 411
  • 412
  • 413
  • 414
  • 415
  • 416
  • 418
  • 420
  • 421
  • 424
  • 426
  • 427
  • 442
  • 444
  • 446
  • 451
  • 453
  • 456
  • 460
  • 461
  • 462
  • 463
  • 464
  • 494


타 도와 연결되는 지방도

  • 910
가로줄 : 폐지 또는 국도/국지도로 전환된 노선.
대한민국의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