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위안: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f)(I|i)(L|l)(E|e): +[[\1파일:))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8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중화민국 위안|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의 인민폐|1949년 이전 중국 통화}}
{{안내문|중국 내 특별자치구인 [[홍콩]]의 통화는 [[홍콩 달러]] 항목으로, [[마카오]]의 통화는 [[마카오 파타카]] 항목으로.}}
{{외환}}
{{외환}}
* [[중화민국]]에서 사용하는 통화는 [[타이완 달러]] 항목으로.
{{화폐 정보
* [[홍콩]]의 통화는 [[홍콩 달러]], [[마카오]]의 통화는 [[마카오 파타카]] 항목으로.
|화폐이름 = 중국 위안
* 본 [[위안화]] 항목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등장한 [[인민폐]]만을 서술합니다.
|원어이름 = 人民币 (RenMinBi, 런민비(렌민비))
 
|그림    = ZhongguoRenminYinhang.png
:[[중국어]] : 中国元 (쭝꿔위앤) // [[영어]] : Chinese Yuan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중국}}<br />≪{{나라|홍콩}} {{나라|마카오}}≫<ref>이 기준은 중국 본토 시점으로 했을 기준이고, 홍콩과 마카오 현지 및 그 외 대외적으로는 비공식으로 간주한다. 대만(타이완)은 중국 입장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대만 입장에서는 애당초 외국 통화로 취급하고 있으니 서로가 자연스레 언급하지 않는다.</ref>
|비공식  = {{나라|몽골}} {{나라|미얀마}} {{나라|베트남}} {{나라|북한}} {{나라|짐바브웨}}
|ISO      = CNY <small><s>RMB</s></small><ref>내외국인 가리지 않고 은행 텔러들 마저 종종 CNY와 RMB 표기를 혼동하곤 한다.</ref><br /><small>《비공식》</small><ref>해외령 내에서 유통되는 중국 위안을 위한 코드로,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함.</ref>CNH<sub>홍콩</sub>, CNM<sub>마카오</sub>, CNT<sub>타이완</sub>
|기호    = ¥ (CN¥)<small>(공식 기호)</small><ref>일본 엔(JP¥), 타이완 달러(TW¥)와 구분할 때 영문을 붙인다.</ref>, 圆<small>(공식)</small>, 元<small>(통상)</small>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
|이름 = 쟈오(角) <small>구어체 : '''마오(毛)'''</small>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펀(分)
}}
|지폐    = 1角, 5角, 1元, 5元, 10元, 20元, 50元, 100元
|동전    = 1角, 5角, 1元
<small>(희귀) 1分, 2分, 5分</small>
|중앙은행 =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Zhongguo Renmin Yinhang)<ref>상업은행 성격의 중국은행(中国银行, Bank of China)과 전혀 다른 국책은행이다. 다만 중국은행도 중국 위안화의 [[태환권]]을 발행한 적이 있다. 후술.</ref>
|인쇄처  = [[파일:Zhongguoyinchao.png|16px]] 중국인초조폐총공사<small> ({{중국어=|中国印钞造币总公司}})</small>
|조폐국  = [[파일:Zhongguoyinchao.png|16px]] 중국인초조폐총공사<small> (China Banknote Printing and Minting)</small>
|환율    = 160~200원/元 <small>(평균 168~175원/元)</small>
|고정환율 = 6.0~7.2CNY/USD <small>(2008년 이후, 관리변동제)</small>
|이전화폐 = [[중화민국 위안]]<ref>지금의 타이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국민당이 대륙을 통치하던 시절의 중화민국을 말한다. 당시에 발행한 통화는 체계 자체가 워낙 혼잡해서, 일률적 교환비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ref>
|이후화폐 =
|비고    =
}}
中华人民共和国圆(中国元)<small> 쭝화런민꽁헤궈위엔 (쭝궈옌)<sup>[[중국어|cn (표준)]]</sup></small><br />{{ruby|人民元|じんみんげん}}<small> 진민겐<sup>[[일본어|jp]]</sup></small> / Chinese Yuan <small>차이니즈 유안<sup>[[영어|en]]</sup></small>


== 개요 ==
== 개요 ==
[[File:ZhongguoRenminYinhang.png|200px|right]]
중국 위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 계통 화폐이다. 단위명 그 자체로는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연관된 범위로서는 중국 대륙에 난무하던 각종 지방 화폐들을 통일시키기 위해 출범한 중국인민은행의 개업일인 1948년 12월 1일을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중국 위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통화이다. 발권은행은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Zhongguo Renmin Yinhang)으로 중국은행(Bank of China)와는 사실상 무관하다. [[ISO 4217]]코드는 CNY.  


위안을 표기하는 기호가 좀 복잡한 편인데, 일상적으로는 한자 元(Yuan, 위앤)을 사용하나 공식 한자표기법은 圆이다. (번체자로는 圓으로 [[한국 원]]과 동일하다.) 그리고 공식 기호는 ¥([[일본 엔]]의 기호와 동일하다.)<ref>참고로 대만에서도 간혹 이 기호를 사용한다. 때문에 단서 없이 덜렁 사진만 찍어 보여주면 중국 가격표인지, 대만 가격표인지, 일본 가격표인지 혼동하는 경우도 흔하다. 일반적으로 미묘한 액면단위 차이로 구분한다.</ref>라 쓰고, 회화에서는 '''대개''' 块(Kuai, 콰이)라고 읽는다. 또한 인민을 위한 돈이라 하여 人民币(RenMinBi), 인민폐(런민비)라고 부르는데 이것의 로마자 약칭이 '''RMB'''로, 실제 이 표현도 기호로서 상당히 많이 쓰이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RMB를 통화 코드로 잘못 아는 경우도 적지 않다. <s>아무래도 [[진시황]]을 부활시켜야...</s>
위안화 아래 설정된 두 종류 보조단위(쟈오, )는 공식적으론 2020년 현재에도 유효하나, 중국 내수 물가의 급상승으로 인해 2007년 펀단위 '''지폐'''통용을 폐지, 2010년대에 들어서는 펀 단위 동전조차도 유통을 꺼려하는 쪽으로 바뀌어 사실상 죽은 단위이다. 여차하면 쟈오단위도 무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시장에서 가격이 쟈오 단위로 나오면 시장주인이 그 부분은 그냥 깎아주기도 한다. <s>반대로 인심 안 좋으면 올려받는다.</s>


보조단위로 角(쟈오. 1/10, Jiao. 구어체로는 毛(마오)라고 읽는다.)와 分(펀. 1/100, Fen) 2종류를 두고 있다. 2015년 현재에도 모두 유효한 단위이지만 중국 내수 물가의 상승으로 인해 2007년에는 펀단위 지폐통용을 폐지, 2010년대에 들어서는 동전 사용조차도 꺼려하는 쪽으로 바뀌어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심지어 여차하면 쟈오단위도 무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들면 시장에서 가격이 쟈오단위로 나오면 시장주인이 그부분은 그냥 깎아준다. 인심 좋으면 그냥 10위안 단위로 깎아주기도 한다.
2015년 11월 30일에 [[SDR]]의 다섯 번째 통화로 편입이 결정되었고, 10개월 준비기간을 가진 후인 2016년 10월 1일부터 실제로 적용된다. 규모는 [[미국 달러]], [[유로]]에 이은 세 번째. <s>[[일본 엔|역시 쪽수에는]] [[영국 파운드|못 이기는 건가…….]]</s>


거물급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이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탓에 중앙정부 통제가 강력히 작용하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하고 있고, 내부적으로 [[위폐]]가 너무 많이 돌아다니는 탓에 통화 자체의 신용도는 별로 높지 않은 편이다. 특히 [[미국]]에서 불만이 많다. 2005년 7월 21일부터는 정치적 요소에서 조금 손을 놓아 11개 통화를 바스켓으로 묶어 연동시키는 관리변동고정환율제로 바꿔 시행하고 있는데 역시나 아닐까, 여전히 당국의 정치적 영향력이 큰 편이라 외국인이 체감하는 가치가 내국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대체적으로 살짝 고평가 되어있는 쪽이다.<ref>중국인들이 느끼는 실제 가치는 [[홍콩 달러]]와 비슷한 환율이라 생각하면 된다.</ref>
=== 환전 및 사용 ===
바로 옆나라 통화이기 때문에도 그렇고, 중국인의 한국 방문이 원체 많아서 그 수요 또한 폭발적이라 한국에서 중국 위안을 환전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심지어 미국 달러의 고정환인지라 달러가 안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환율이 급변하지도 않는다. 때문에 난이도가 어렵지만 않을 뿐이지, [[수수료]] 차이는 굉장히 큰 편이라서 절약이 목적이라면 팁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2016년 2월 현재 환율은 6.53元/[[USD]]. (약 188원/元) 2015년 10월에 비해 달러 대비 위안화가치가 절하되었지만 '''[[대한민국 원|원화]]가치 하락폭이 더 크게 나타나버린 탓'''에 결론적으로 위안환율은 크게 올라갔다. <s>일해라 경제부총리</s>
한국에서 중국 위안 취급권종은 '''99%가 100위안권'''이다. 50위안권도 찾아보기 상당히 힘든 편이고, 그 이하 권종은 정말 운이 좋아야 볼 수 있을 수준이다. 만일 시중은행에서 1위안이나 5위안짜리를 봤다면 그건 누군가가 중국에 갔다와서 처분한 걸 건네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는 워낙 단위값이 낮아서 저액권을 수입하는 것이 동전을 수입하는 것과 비슷하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s>근데 50위안만 하더라도 5[[유로]]짜리보다 비쌀텐데 왜...</s>


2015년 11월 30일에 [[SDR]]의 5번째 통화로 편입이 결정되었고, 10개월 준비기간을 가진 후인 2016년 10월 1일부터 실제로 적용된다. 규모는 [[미국 달러]], [[유로]]에 이은 3번째. <s>[[일본 엔|역시 쪽수에는]] [[영국 파운드|못 이기는건가...]]</s>
현재 중국 위안을 가장 적은 수수료로 매입하는 방법은 [[명동]], [[이태원]] 등지에 자리한 사설 환전소이다.<!-- 경남/부산에도 비슷한 곳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정확히는 모르므로 아는 위키러 있다면 [[추가바람]]. --> 이쪽 동네에서도 특히 중국 위안을 주력으로 하는 경우엔 수수료가 기준가 대비 거의 '''1원 미만(한국돈으로!''')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반대로 가장 비싼 곳은 당연하게도 공항 환전소로 대략 단위당 '''15~20원'''가량 나온다. 시중 은행에선 수수료 우대가 없다면 대략 8~12원 정도에 책정된다. 고로 어디서 환전하냐에 따라 100위안 '''1장당 대략 500원~1,000원''' 차이가 벌어지는 꼴이다. 이는 반대로 매도할 때에도 해당되니 만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면 조금 품을 들여서라도 수수료 우대에 매달리지 말고 수수료 낮은 곳을 찾아보는 것이 절대로 이득이다. 특히 시중은행 고객우대등급을 찍어도 위안화는 수수료 우대 폭이 크지 않다는 점을 유념하자. <s>90% 우대라면 모를까.</s>  


=== 환전 및 사용 ===
중국에서 환전할 필요가 생긴 경우엔 기본적으로 고정환인 [[미국 달러]]가 여러모로 편하다. 하지만 [[한국 원]]의 수요도 적지 않아 그나마 다른 나라에 비해서 괜찮은 값을 쳐주는 편이고<ref>단, 지역차가 있으니 주의. 정착중인 한인 비중이 높을수록 유리함은 당연하다.</ref>, 중국어가 유창하다면 사설 환전소에서 상당히 유리하게 환전할 수도 있다. 중국어를 모르는 단기 여행자의 경우엔 예비용으로 [[한국씨티은행]]의 현금카드를 만들어서 인출해 사용하는 것을 대개 추천하는 편인데 이 경우는 수수료가 결코 저렴한 것은 아니어도 평범하게 은행에서 환전하는 값과 거의 유사하고, 그럼에도 가장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되는 것이다. 단, 이건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 한정이다. 중소도시에서 돈이 다 떨어졌다면... <s>OMG!</s> 어딘가에는 있을 시중은행에서 해결할 수밖에 없다.
바로 옆나라 통화이기 때문에도 그렇고, 중국인의 한국 방문이 원체 많아서 그 수요 또한 폭발적이라 한국에서 중국 위안을 환전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심지어 미국 달러의 고정환인지라 달러가 안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환율이 급변하지도 않는다. 때문에 난이도가 어렵지만 않을 뿐이지, [[수수료]] 차이는 굉장히 큰 편이라서 절약이 목적이라면 팁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 중국 위안 취급권종은 '''99%가 100위안권'''이다. 50위안권도 찾아보기 상당히 힘든 편이고, 그 이하 권종은 정말 운이 좋아야 볼 수 있을 수준이다. 만일 시중은행에서 1위안이나 5위안짜리를 봤다면 그건 누군가가 중국에 갔다와서 처분한 걸 건네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는 워낙 단위값이 낮아서 저액권을 수입하는 것이 동전을 수입하는 것과 비슷하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s>근데 50위안만 하더라도 5[[유로]]짜리보다 비쌀텐데 왜...</s>
중국에 정착하려 하거나 장기간 머무를 생각이라면 [[중국은행]]이나 [[중국공상은행]]에서 초기 환전도 해둘 겸, 계좌와 카드를 만들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 다 은련 체크카드를 발급해 주는데, 외국에서는 위안화 계좌와 원화 계좌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인출 수수료가 괜찮은 편이며 계좌에서 위안화 직접송금도 가능하다. 은련 카드가 있으면 중은이나 ICBC가 아니어도 아무 은행에서나 출금할 수 있어서 중소도시에서도 무리가 없다. 장기 체류에는 씨티국제현금카드보다 메리트가 큰 편.


현재 중국 위안을 가장 적은 수수료로 매입하는 방법은 [[명동]], [[이태원]] 등지에 자리한 사설 환전소이다.<ref>경남/부산에도 비슷한 곳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정확히는 모르므로 아는 위키러 있다면 [[추가바람]].</ref> 이쪽 동네에서도 특히 중국 위안을 주력으로 하는 경우엔 수수료가 기준가 대비 거의 '''1원 미만(한국돈으로!''')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반대로 가장 비싼 곳은 당연하게도 공항 환전소로 대략 단위당 '''15~20원'''가량 나온다. 시중 은행에선 수수료 우대가 없다면 대략 8~12원 정도에 책정된다. 고로 어디서 환전하냐에 따라 100위안 '''1장당 대략 500원~1,000원''' 차이가 벌어지는 꼴이다. 이는 반대로 매도할 때에도 해당되니 만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면 조금 품을 들여서라도 수수료 우대에 매달리지 말고 수수료 낮은 곳을 찾아보는 것이 절대로 이득이다. <s>90% 우대라면 모를까.</s> 중국에 정착하려 하거나 장기간 머무를 생각이라면 서울, 안산, 대구에 있는 [[중국은행]]에서 초기 환전도 해둘 겸<ref>자체설정 환율값의 차액을 제하곤 아예 수수료 자체가 없다.</ref>, 계좌를 만들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거래 기본 단위는 1元이며, 최소 단위는 명목상 0.01元=1分, 실질적은 0.1元=1角이다. 구어체로는 앞서 언급하였듯 콰이()라고 하며, 이렇게 읽는다면 角은 마오(毛)로 읽거나 그냥 생략하여 읽는다. (ex : 12元5角(시얼위안우쟈오) = 12块5(시얼콰이우))


중국에서 환전할 필요가 생긴 경우엔 기본적으로 고정환인 [[미국 달러]]가 여러모로 편하다. 하지만 [[한국 원]]의 수요도 적지 않아 그나마 다른 나라에 비해서 괜찮은 값을 쳐주는 편이고<ref>단, 지역차가 있으니 주의. 정착중인 한인 비중이 높을수록 유리함은 당연하다.</ref>, 중국어가 유창하다면 사설 환전소에서 상당히 유리하게 환전할 수도 있다. 중국어를 모르는 단기 여행자의 경우엔 예비용으로 [[씨티은행]]의 현금카드를 만들어서 인출해 사용하는 것을 대개 추천하는 편인데 이 경우는 수수료가 결코 저렴한 것은 아니어도 평범하게 은행에서 환전하는 값과 거의 유사하고, 그럼에도 가장 편리하게 인출할 있기 때문에 추천되는 것이다. 단, 이건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 한정이다. 중소도시에서 돈이 다 떨어졌다면... <s>OMG!</s> 어딘가에는 있을 시중은행에서 해결할 수 밖에 없다.
0.01값인 分단위는 유효한 단위이므로 금융거래시에는 반드시 표기한다. (대개 별도표기가 아닌 소수점 2자리로 표기.) 시장에서는, 일단 필요하다면 표기는 할 있으나, 실제 거래시에는 무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소액권의 중요성 ===
=== 소액권의 중요성 ===
위와 같이 한국에서 준비해서 간다면 대개 100위안권만 수북히 들고 오게 되지만 정작 현지에서는 소액권이 절실해진다. 특히 대중교통을 타야 한다면 더더욱 그러한데, 기껏해야 2위안짜리인 버스의 경우 '''절대 잔돈을 주지 않기 때문.'''<ref>만일 1위안짜리 버스를 타고 5위안을 내버렸다면 뒤따라오는 4명에게서 회수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이는 현지인들도 마찬가지라 잔돈이 없어서 같이 지불하는 걸로 하고 대신 잔액을 달라고 상대방에게 부탁하는 경우도 있다.</ref> 교통카드를 별도로 만들지 않을 거라면 최대한 1위안 지폐를 불려놓자. 가장 만만한 것은 편의점에서 물건 하나 사고 100위안짜리를 내는 것. 편의점은 일반 가게와는 달리 기대할 만한 서비스와 계산 하나는 명확하게 해주기 때문에 부담없이 고액권 깨트리기가 가능하다. 또다른 방법은 장사 잘 되는 가게나 숙소, 식당 등의 계산원에게 부탁하는 것. 5원짜리나 10원짜리를 1원짜리로 바꿔달라 하면 어지간한 경우 아니고서야 서비스 차원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다. <s>단, 옛 국영식당인 곳에서는 단칼에 거절당할 지도 모른다.</s>
위와 같이 한국에서 준비해서 간다면 대개 100위안권만 수북히 들고 오게 되지만 정작 현지에서는 소액권이 절실해진다.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면 더더욱 그러한데, 기껏해야 2위안짜리인 버스의 경우 '''절대 잔돈을 주지 않기 때문.'''<ref>만일 1위안짜리 버스를 타고 5위안을 내버렸다면 뒤따라오는 4명에게서 회수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이는 현지인들도 마찬가지라 잔돈이 없어서 같이 지불하는 걸로 하고 대신 잔액을 달라고 상대방에게 부탁하는 경우도 있다.</ref> 교통카드를 별도로 만들지 않을 거라면 최대한 1위안 지폐를 불려놓자. 가장 만만한 것은 [[편의점]]에서 물건 하나 사고 100위안짜리를 내는 것. 편의점은 일반 가게와는 달리 기대할 만한 서비스와 계산 하나는 명확하게 해주기 때문에 부담없이 고액권 깨트리기가 가능하다. 또다른 방법은 장사 잘 되는 가게나 숙소, 식당 등의 계산원에게 부탁하는 것. 5원짜리나 10원짜리를 1원짜리로 바꿔달라 하면 어지간한 경우 아니고서야 서비스 차원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다. <s>단, 옛 국영식당인 곳에서는 단칼에 거절당할 지도 모른다.</s>
 
또한 소액권이 중요한 이유라고 한다면 일부 가게에서, '''특히 관광화가 진행된 곳일수록 거스름돈 사기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베이징의 [[왕푸징]] 꼬치거리처럼 사람은 바글바글한데 판매단가가 낮은 노점상이 즐비한 곳에서 고액권을 받으면 그걸 인질로 삼아 말바꿔서 바가지를 씌우거나 잔돈 없으니 더 사가라고 강매를 요구하기도 한다. 시장에서 뭘 산다던가 [[택시]]를 타는 경우도 고액권을 주면 거스름돈이 없다고 뻐기거나 (특히 50위안짜리) 위폐를 섞어주는 경우가 있으니 가급적 믿고 쓸 수 있는 곳<ref>절대 사기칠 일이 없는 매표소라던가 편의점이라던가 대형마트라던가. 결론은 직접적으로 돈 받는 사람이 정규급여 노동자인 곳으로 가면 안전하다.</ref> 아니면 100위안짜리를 무차별로 쓰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중국어가 현지인도 속을 만큼 유창하다면 또 별개의 이야기지만.
 
=== 환율 추이 ===
거물급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이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탓에 중앙정부 통제가 강력히 작용하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하고 있고, 내부적으로 [[위폐]]가 너무 많이 돌아다니는 탓에 통화 자체의 신용도도 별로 높지 않은 편이다. 특히 [[미국]]에서 불만이 많다.
 
2005년 7월 21일부터는 정치적 요소에서 조금 손을 놓아 11개 통화를 바스켓으로 묶어 연동시키는 관리변동고정환율제로 바꿔 시행하고 있는데 역시나 아닐까, 여전히 당국의 정치적 영향력이 큰 편이라 외국인이 체감하는 가치가 내국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대체적으로 살짝 고평가 되어있는 쪽이다. 중국인들이 느끼는 실제적 가치는 대략 [[홍콩 달러]]와 비슷한 환율이라 생각하면 좋다.
 
중국 위안화 환율은 미국을 의식하는 경우가 매우매우 많으며, 때로는 미중관계 측정기로도 이용된다. 중국은 2005년부터 [[베이징 올림픽]] 특수를 업고서 스리슬쩍씩 홍콩/마카오와 거의 유사하거나 약간 더 낮았던 8元/$대를 허물어 [[리먼 사태]]가 일어나는 2008년 9월까지 6.8元/$으로 상승시켰고<ref>반면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홍콩/마카오는 거의 변함없이 7.7 ~ 7.9元/$ 정도에서 머무르고 있다.</ref>, 리먼 사태 후폭풍이 가라앉은 2010년 하반기부터 다시 꾸준히 떨어트려 2014년에 6.0元/$ 정점을 찍고, 2016년 이후부터는 6.3~6.9元/$를 왕복하며 7.0元/$을 언제 즈음에 깨볼까, 하며 가늠하고 있는 추세이다. 7元/$대의 벽은 미중무역설전이 크게 고조된 2019년 7월에 처음 깨졌고, 12월 경에 온화무드가 조성되어 소강되는 듯 하다가 [[우한 코로나]]로 인해 2020년 2월 말에 다시 7.0元/$을 가리키게 되었다.
 
== 특징 ==
=== 통일되지 않은 기호 ===
[[파일:9yuan.jpg|right|섬네일|<s>[[치르노|⑨]]엔</s>]]
위안을 표기하는 기호가 좀 복잡한 편인데, 일상적으로는ㅍ 절대 다수가 한자 元(Yuan, 위앤)을 사용하나 공식 한자표기법은 圆이다. (번체자로는 圓(둥글 원)으로 [[한국 원]]과 동일하다.) 그리고 공식 기호는 ¥([[일본 엔]]의 기호와 동일하다.)<ref>누가 먼저 사용했는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시대적 정황상 중국(중화민국 시절)이 먼저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ref><ref>참고로 대만에서도 간혹 이 기호를 사용한다. 때문에 단서 없이 덜렁 사진만 찍어 보여주면 중국 가격표인지, 대만 가격표인지, 일본 가격표인지 혼동하는 경우도 흔하다. 일반적으로 미묘한 액면단위 차이로 구분한다.</ref><ref>중국 지폐에는 대놓고 이 기호를 표기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실 은선(隱線)부분에 새겨져 있다.</ref>라 쓰고, 회화에서는 '''대개''' 块(Kuai, 콰이)라고 읽는다.<s>아무래도 [[진시황]]을 부활시켜야...</s>
 
또한 인민을 위한 돈이라 하여 人民币(RenMinBi)=런민비(인민폐)라고 부르는데, 이것의 로마자 약칭이 '''RMB'''로, 실제 이 표현도 기호처럼 상당히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RMB 55.<small>00</small> (=55元)"이라는 식. 그래서인지 은행원마저도 RMB를 통화 코드(ISO 4217)로 잘못 아는 경우가 적지 않고, 중국 외 국가에서도 아예 중국인민은행 발행판 위안화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다른 '중국' 통화와의 혼동 방지를 위해 'RMB = Renminbi'라고 박아두기도 한다. "Chinese" 라는 어휘부터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을 동시에 가리키고, 신해혁명 이전의 중국(청나라)도 어원에 걸맞게 "Chinese"인데다, 이들의 통화가 전부 '위안(Yuan)'으로 동일하다보니, 그 구분을 명확히 하기에는 더없이 좋기 때문이다.
 
=== 불신에서 시작하는 전자화폐 ===
뭐든 가짜가 나오는 걸로 유명한 중국인데 위조 화폐가 없을까. 중국에선 고액권은 물론이고 1위안짜리 동전부터 <s>[[대륙의 기상|간혹 폭발하는 동전]]도 있다 [[카더라]]</s> 2019년 현 시점에선 폐기된 0.01~0.05위안(※分단위)짜리 지폐까지 모조품이 다량 나돌 정도로 가짜 천국이다.  중국에서 유통 중인 화폐의 30%가 위조라고 말했을 때 중국 사람들은 웃기지 말라는 반응을 보인다. 그렇게 '''적을''' 리가 없다고. ('''오타 아니다''')<ref>하지만 실제 위폐의 비중이 어느정도인지는 알 수 없다. 어디까지나 체감상에서의 이야기일 뿐이다.</ref> 그러나 신용카드 발급이 까다로웠기 때문에 별수 없이 현금을 써야했는데 이 때문에 돈계산할때 위폐를 거르냐고 시간낭비를 할수밖에 없던건 덤이었고 그렇게 거른다해도 위조지폐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손해를 보는 경험담도 많았다.
 
그렇다고 중국 공안이 통화 위조범에 대해 절대로 관대하지 않다. 걸리기만 하면 잘 봐줘도 중형이고, 어지간하면 잡히는 족족 [[극형]]을 내리는데도 불구하고, 위조죄 사범 숫자가 도저히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다보니 고액권의 경우는 즉석에서 위폐 검사를 해보는 것이 일상이 되었는데, 어지간한 가게에는 '''은행에서 쓰는''' 위폐감별 기능이 들어간 계수기나 감별기 하나쯤은 마련해두고 있으며, 그게 없다면 이리저리 만져보고 튕겨보고 별 짓을 다해가며 검사한다. 50 및 100위안 권종이 특히 심해서 하루가 멀다하고 심심찮게 위폐 받았다는 썰이 올라올 정도이다. 그 이하 권종이라고 없는 것은 아니나, 그냥 위폐인 걸 알면서도 유통시키는 사례가 있을 정도로 사태가 심각하다.


또한 소액권이 중요한 이유라고 한다면 일부 가게에서, '''특히 관광화가 진행된 곳일수록 거스름돈 사기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베이징의 [[왕푸징]] 꼬치거리처럼 사람은 바글바글한데 판매단가가 낮은 노점상이 즐비한 곳에서 고액권을 받으면 그걸 인질로 삼아 말바꿔서 바가지를 씌우거나 잔돈 없으니 더 사가라고 강매를 요구하기도 한다. 시장에서 뭘 산다던가 [[택시]]를 타는 경우도 고액권을 주면 거스름돈이 없다고 뻐기거나 (특히 50위안짜리) 위폐를 섞어주는 경우가 있으니 가급적 믿고 쓸 수 있는 곳<ref>절대 사기칠 일이 없는 매표소라던가 편의점이라던가 대형마트라던가. 결론은 직접적으로 돈 받는 사람이 정규급여 노동자인 곳으로 가면 안전하다.</ref> 아니면 100위안짜리를 무차별로 쓰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중국어가 현지인도 속을만큼 유창하다면 또 별개의 이야기지만.
어쨌든 한국처럼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붰기 때문에 불편함에도 별수없이 현금을 일일히 살펴보면서 계산을 해야만 했지만 스마트폰 시대가 열린 이후로 '''일일히 돈을 셀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알리페이]](중국명, 支付宝(쯔푸바오))와 같은 전자화폐가 널리 보급되었다. 아예 거지조차 [[QR코드]]를 들고다니며 구걸할 정도로 중국 생활의 필수품까지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서북부 유럽의 일부 국가 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아주 느리게 정착시키려는 [[현금 없는 사회]]가 뜬금포로 중국에서, 그것도 정부 개입 없이 '''국민들 자발적으로''' 10년도 채 안되어 이룩시켜 놓게 된 것이 놀라울 지경. 이러한 수요에 맞춰, 인접 국가인 (카드 강세인) 한국과 (현금 강세인) 일본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편의를 위해서 중국계좌가 필요하다는 난점을 극복해서라도 알리페이 계좌를 만들고 있다.
 
그러던 2020년, 사실 중국 정부에서도 자신들에게 있어서의 전자화폐의 장점<ref>암호화만 풀면, 전자화폐에 연계된 금융정보를 빠르게 추적할 수 있다. 즉, 국가 차원에서의 자산 감시가 가능하다.</ref>을 캐치하여 물밑에서 이미 암호화폐 기술을 응용한 [[중앙은행전자화폐]]([[CBDC]])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던 사실을 발표하고,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오기 전까지 중국인 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친화적인 세계 최초 형태의 CBDC를 출시할 것이라 한 적이 있다.


== 런민비 시리즈 ==
== 런민비 시리즈 ==
=== 동전 ===
중국인민은행에서 발행한 '''통용주화'''의 액면 종류는 1分, 2分, 5分, 1角, 5角, 1元까지 6개종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1角, 5角, 1元의 3종만 유통되고, 특히 1元권의 경우는 지역에 따라 지폐가 더 활발히 유통되는 곳도 있다. 공식적으로는 分단위 동전도 유통할 수 있으나, 分단위를 거의 쓰지 않게 된 현재는 유명무실하여 보는 것 자체도 어렵고, 있더라도 거의 받아주지 않고 있다.
{| class="wikitable"
|-
! colspan="13" style="text-align: center;" | 중국인민은행 발행 동전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元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角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角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分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分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分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현행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5.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4.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1.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10%;" | [[파일:CNYc302.jpg]]
| colspan="6" style="text-align: center;" | <small>※ 1元권 테두리에는 "RMB" 문자가 새겨져 있고, 5角권 테두리에는 홈이 파여져 있다. 1角권 테두리는 민무늬이다.</small>
|-
| style="text-align: center;" | 구권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c2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c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c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
| style="text-align: center;" | 초판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현행권(2019~)의 1元 동전의 크기(지름)은, 구권(2000~) 1元 동전보다 2.75mm 작다. (22.25mm ← 25mm)
=== 5차 런민비 (1999 ~ 현재) ===
=== 5차 런민비 (1999 ~ 현재) ===
1999년에 도입된 시리즈. 2005년에 1위안짜리만 빼고 위폐방지용 강화판을 내놓았고, 2015년 11월 12일에 위폐비중이 가장 큰 100위안권 한정으로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강화시킨 신판을 다시 내놓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021243 하지만 새 발행 4개월 반만에 위조지폐가 발각되면서] 사건은 다시 원점으로. <s>훌륭하다 훌륭하다 중국인&조선인놈들.</s>  
1999년에 도입된 시리즈. 2005년에 1위안짜리만 빼고 위폐방지용 강화판을 내놓았고, 2015년 11월 12일에 위폐비중이 가장 큰 100위안권 한정으로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강화시킨 신판을 다시 내놓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021243 하지만 새 발행 4개월 반만에 위조지폐가 발각되면서] 사건은 다시 원점으로. <s>훌륭하다 훌륭하다 중국인&조선인놈들.</s>  


앞면 도안은 전부 [[마오쩌둥]]의 초상이라 마오비(毛币)라는 별칭이 있다. 현행권이라 흔히 중국돈이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위에 저것을 떠올릴 것이다.<ref>중국돈이나 환율에 관한 뉴스가 뜨면 항상 저것이 다발로 쌓이거나 계수기에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니까...</ref> 처음으로 "위안" 이외의 단위가 모두 잘려나간 시리즈로, 또한 가치가 낮다고 판단된 2위안이 도태된 대신 20위안짜리 신 액면이 등장하였다. 뒷면에는 새 런민비 시리즈의 일환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풍경을 하나씩 그려넣었는데, 역시나 여기도 문제시 되는 것이 50위안 뒷면의 포탈라 궁이다.  
앞면 도안은 전부 [[마오쩌둥]]의 초상이라 마오비(毛币)라는 별칭이 있다. 현행권이라 흔히 중국돈이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위에 저것을 떠올릴 것이다.<ref>중국돈이나 환율에 관한 뉴스가 뜨면 항상 저것이 다발로 쌓이거나 계수기에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니까...</ref> 처음으로 "위안" 이외의 단위가 모두 잘려나간 시리즈로, 또한 가치가 낮다고 판단된 2위안이 도태된 대신 20위안짜리 신 액면이 등장하였다. 뒷면에는 새 런민비 시리즈의 일환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풍경을 하나씩 그려넣었는데, 역시나 여기도 문제시 되는 것이 50위안 뒷면의 포탈라 궁이다.


여전히 위조지폐, 위조동전이 심각하게 범람하고 있어 중앙정부가 골머리를 앓는 중이며<ref>어느 유학생의 [[썰]]에 의하면 중국인과 대화하다가 '위폐가 한 50%는 돌아다니고 있지 않을까?'라는 말을 듣자 중국인이 '겨우?'라고 하며 의아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ref>, 첫 등장 이후 시기상으로 보아 신권을 만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고, 결국 100위안권은 강화개정판으로 교체가 결정되었을 정도이다. 오죽하면 [http://beijinga4.tistory.com/204 대놓고 전문판매 사이트가 등장]하기도 하고, 한낱 동전 한 푼까지도 위조가 돌아다니니... [[망했어요]].
여전히 위조지폐, 위조동전이 심각하게 범람하고 있어 중앙정부가 골머리를 앓는 중이며<ref>어느 유학생의 [[썰]]에 의하면 중국인과 대화하다가 '위폐가 한 50%는 돌아다니고 있지 않을까?'라는 말을 듣자 중국인이 '겨우?'라고 하며 의아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ref>, 첫 등장 이후 시기상으로 보아 신권을 만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고, 결국 100위안권은 강화개정판으로 교체가 결정되었을 정도이다. 오죽하면 [http://beijinga4.tistory.com/204 대놓고 전문판매 사이트가 등장]하기도 하고, 한낱 동전 한 푼까지도 위조가 돌아다니니... [[망했어요]].


100위안짜리의 가치가 나름 크기는 크면서도 더 큰 규모의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중국이다보니 500위안짜리 신권 이야기가 만년떡밥으로 등장한다. 그렇지만 중국인민은행측에선 지하경제가 성장할까 하는 두려움과 소득격차로 인한 위화감 조성 문제 등을 들어서 신 고액권 추가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100위안짜리의 가치가 나름 크기는 크면서도 더 큰 규모의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중국이다보니 500위안짜리 신권 이야기가 만년떡밥으로 등장한다. 그렇지만 중국인민은행측에선 지하경제가 성장할까 하는 두려움과 소득격차로 인한 위화감 조성 문제 등을 들어서 신 고액권 추가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0.jpg|섬네일]]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Zhongguo Yuan 5th Series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Zhongguo Yuan 5th Series Renminbi 1999~현재
Renminbi 1999~현재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ny599.jpe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ny500.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NY531small.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공통
| style="text-align: center;" | 1판(초판) 앞면 (1999년)
(2005년 (2판) 기준)
| style="text-align: center;" | 2판(구형) 앞면 (2005년)
| style="text-align: center;" | 신 100元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3판(신형) 앞면 (2019년)
(2015년 (3판))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3.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난꽃]])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난꽃]](兰花))<br />시후([[항저우]] 서호)의 산탄인위에(三潭印月)
시후([[항저우]] 서호)의 산탄인위에(三潭印月)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수선화]](水仙))<br />타이샨 ([[산둥성]] [[태산]])<ref>실제 태산 정상에 새겨넣은 글귀로, '앙두천외 오악독존(昻頭天外 五嶽獨尊)'이라 쓰여있다. 이는 '고개를 들어봐도 하늘 뿐이라, 험준한 다섯 산(=오악) 중에서도 (태산을) 따라올 것이 없다.'라는 뜻.</ref>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수선화]])
|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해당화]](月季))<br />장강삼협의 구당협 ([[충칭]]~[[후베이]]))
타이샨 ([[산둥성]] [[태산]])<ref>실제 태산 정상에 새겨넣은 글귀로, '앙두천외 오악독존(昻頭天外 五嶽獨尊)'이라 쓰여있다. 이는 '고개를 들어봐도 하늘 뿐이라, 험준한 다섯 산(=오악) 중에서도 (태산을) 따라올 것이 없다.'라는 뜻.</ref>
|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장미]])
장강삼협의 구당협 ([[충칭]]~[[후베이]]))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5.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506.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506.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20元 ([[연꽃]])
| style="text-align: center;" | 20元 ([[연꽃]](荷花))<br />구이린 황보다이잉 ([[계림]] 항포도영의 리강)
구이린 황보다이잉 ([[계림]] 항포도영의 리강)
| style="text-align: center;" | 50元 ([[국화]](菊花))<br />[[포탈라]] 궁전 ([[티베트]])
| style="text-align: center;" | 50元 ([[국화]])
| style="text-align: center;" | 100元 ([[매화]]? [[동백]]? [[박태기]]?<ref><s>전에도 그러더니만</s> 인민은행 측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 추정만 무성하다.</ref>)<br />인민대회당 ([[베이징]] [[천안문]]광장 옆)
[[포탈라]] 궁전 ([[티베트]])
| style="text-align: center;" | 100元 ([[매화]])
인민대회당 ([[베이징]] [[천안문]]광장 옆)
|}
|}
* 액면 옆 괄호는 앞면 하단의 꽃.
* 액면 옆 괄호는 앞면 하단의 꽃.
* 2005년판은 1999년판에서 위조방지장치를 강화한 것이라 사소한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때 1元만 개정판이 나오지 않았다.
* 2019년 중순에 3판 100元권 스펙에 맞춘 10/20/50元 신권 발행을 예고하였고, 연말 경에 발행 및 배포하였다. 그 당시 1元권 또한 신판본으로 개정되었지만, 5元권은 개정이 예고되지 않은 채 빠져있었다. 그러다 2020년 7월이 되어서야 5元권 개정판 발행을 발표하였다.
* 2015년에 발행된 100위안화는 앞면의 액면표기가 금색이라 "土豪金(졸부Gold(...))"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이게 기존에 사용하던 위폐검별기와 호환이 되질 않아 [[ATM]]에서도 퇴짜당하고, 거래시에도 위폐라고 떠서 실랑이가 일어나는 등의 생각치도 못한 부작용이 발생해 중국인민은행측이 검별기 업데이트를 위해 진땀을 뺐다고 한다.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511180537 관련기사.]
** 2015년에 발행된 3판 100위안화는 앞면의 액면표기가 금색이라 "土豪金(졸부Gold(...))"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이게 기존에 사용하던 위폐검별기와 호환이 되질 않아 [[ATM]]에서도 퇴짜당하고, 거래시에도 위폐라고 떠서 실랑이가 일어나는 등의 생각치도 못한 부작용이 발생해 중국인민은행측이 검별기 업데이트를 위해 진땀을 뺐다고 한다.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511180537 관련기사.]
** 일부 지역에서는 소액권의 동전 교체작업이 나름 의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1元 지폐의 사용을 중단시키려는 계획이 있다. CCTV 경제채널에 따르면 2019년의 어느시점부터 시범적으로 복건성, 강서성, 산둥성에서 통용을 전면 중단할 것(교환은 가능)이라 보도한 바가 있다. 그러나 신판본이 나오면서 실현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
** 2018년 12월, 5元부터 50元까지를 폴리머로 교체할 계획이 있을 것이라는 카더라 통신이 나왔는데, 이는 신 100元권종 발행 실험(?)이 무색하게 늘어만가는 위폐에 대비하기 위한 또다른 실험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결국 카더라로 그쳤다.
* 2005년판(2판)은 1999년판(1판)에서 위조방지장치를 강화한 것이라 사소한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때 1元만 개정판이 나오지 않았다. 두 판본의 가장 쉬운 구분법은 뒷면 하단에 쓰여진 연식을 확인하는 것이고, UV라이트를 비춰볼 시 1판은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지만, 2판은 숨겨진 액면 표기가 나타난다.
 
{{폐기권}}


=== 4차 런민비 (1980 ~ 1998) ===
=== 4차 런민비 (1980 ~ 1998 (~2018)) ===
1980년에 도입된(※명목상은 그렇고, 실제로는 1988년에 풀린 것도 있다.) 시리즈이고. 1990년과 1996년에 개정판이 나온 바 있다. 중국 건국 30주년을 맞이해 중국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초상을 실어서 "소수민족 시리즈"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어로는 Ethnicities (-Series)라고 표현한다.
1980년에 도입되어 1986~88년 경부터 풀리기 시작한 시리즈로. 1990년(1元, 2元, 50元, 100元)과 1996년(1元)개정판이 나온 바 있다.<ref>개정판 또한 인쇄연도와 배포연도가 상이하다.</ref> 중국 건국 30주년을 맞이해 중국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초상을 실어서 "소수민족 시리즈"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어로는 Ethnicities (-Series)라고 표현한다. 1角 및 5角 지폐를 제외한 나머지는 '''2018년 5월 1일부터 사용이 금지된다. (교환은 2019년 4월 30일까지 가능)'''


그런데 이 시리즈부터가 좀 논란이 되는게...정작 소수민족에는 관심 한 톨도 없으면서 억지로 자기네 역사로 강제합병 및 세뇌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카더라]] 떡밥이 있다. 일부는 "본토 중국"에 없는 민족까지 포함시켜놨기 때문.  
그런데 이 시리즈부터가 좀 논란이 되는게...정작 소수민족에는 관심 한 톨도 없으면서 억지로 자기네 역사로 강제합병 및 세뇌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카더라]] 떡밥이 있다. 일부는 "본토 중국"에 없는 민족까지 포함시켜놨기 때문.


생산이 중단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통화로서 인정받으므로 시장에서는 간간하게 통용되고 있어 사용 및 교환은 가능하다. 다만 '''위폐비중이 굉장히 많아서''' 위험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한국에서 환전은 잘 해주지 않는다고. 특히 4차 런민비의 쟈오권은 지금도 '''발행중에 있는''' 엄연한 통화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환전이 안 되는데다가 동전취급도 못 받으므로 유의할 것.
1자오 및 5자오권을 제외한 나머지는 생산이 중단되기는 했으나 한동안은 통용을 인정받아 시장에서 간간하게 통용되고 있었다. 다만 '''위폐비중이 굉장히 많아서''' 위험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한국에서 환전은 잘 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 동전이라는 것이 처음 등장하였다. 1, 2, 5자오권 3종과 1위안짜리(1980~1986)이 그것이다. 1, 2, 5펀 동전은 조금 더 나중에 등장하였으나 별로 쓰이지도 못하고 묻혔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 시기에 중국에서 근현대식 동전이 처음 등장하였다. 1, 2, 5자오권 3종과 1위안짜리(1980~1986). 1, 2, 5펀 동전은 조금 더 나중에 등장하였으나 별로 쓰이지도 못하고 묻혔으며, 5차 런민비 출현 이후로 1자오 동전 또한 바로 회수에 들어갔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4th Series (1980~1998)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4th Series (1980~1998)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background-color:#FAECC5;" | '''1角''' 타이완 원주민족<ref>국부천대 이후로 유입된 대만 이주민족과는 다르지만, 원류로 따지자면 같은 조상이라 해도 무리는 아니라고 한다. 자세하게 아는 분 있으면 수정 바람.</ref>, 만주족<ref>인구수로 보면 중국에서 3번째로 많은 민족. 상식이지만, 청나라 당시에는 지배자로서 군림하던 민족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background-color:#C5FFBC;" | '''2角''' 투지아족(토가족)<ref>본명 黃其萍, 1959년생이다. 2010년대 시점에선 후난성 농업청부장으로 지내고 있다. 처음에 이 지폐가 소개되었을 땐(1980년 5월 10일) 중앙당국의 실수로 부이족(布依-)이라 소개했었고, 이게 정정되기까지 무려 30년이나 걸렸다(...)</ref>, 조선족<ref>본명은 소춘희, 1963년생이다. 당시에는 연변조선족자치구박물관에서 일하던 17세(!) 평범한 소녀로 주위에선 그녀가 돈의 주인공인줄 몰랐다고 한다. 2010년대 시점에선 북경대학에서 외국어 교육센터를 운영중.</ref>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background-color:#FFD9EC;" | '''5角''' 먀오족, 좡족<ref>한족에 이어 중국에서 비중이 가장 큰 소수민족.</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1.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1角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타이완 원주민족<ref>국부천대 이후로 유입된 대만 이주민족과는 다르지만, 원류로 따지자면 같은 조상이라 해도 무리는 아니라고 한다. 자세하게 아는 분 있으면 수정 바람.</ref>, 만주족<ref>인구수로 보면 중국에서 3번째로 많은 민족. 상식이지만, 청나라 당시에는 지배자로서 군림하던 민족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3.jpg]]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없음)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1元''' 둥족<ref>본명, 石奶引</ref>, 야오족
| style="text-align: center;" | 2角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B3D26C;" | '''2元''' 이족, 위구르족
| style="text-align: center;" | 투지아족(토가족)<ref>해당모델은 본명 黃其萍, 1959년생이다. 현재 후난성 농업청부장으로 지내고 있다. 처음에 이 지폐가 소개되었을 땐(1980년 5월 10일) 중앙당국의 실수로 부이족(布依-)이라 소개했었고, 이게 정정되기까지 무려 30년이나 걸렸다(...)</ref>, 조선족<ref>본명은 소춘희, 1963년생이다. 당시에는 연변조선족자치구박물관에서 일하던 17세(!) 평범한 소녀로 주위에선 그녀가 돈의 주인공인줄 몰랐다고 한다. 현재 북경대학에서 외국어 교육센터를 운영중.</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CC5;" | '''5元''' 티베트족<ref>감출 장자를 써서 짱족(藏族, '시짱자치구'의 그 '짱'.)이라고도 한다. 드물게 티베트의 음차법을 쓴 '토번인(吐蕃人)'이라고도 한다.</ref>, 후이족<ref>回族, 별칭은 돌궐족. 이슬람을 믿는 중앙아시아 계열 민족인데, 중국에서도 회족이라 하면 마치 외국인 보듯 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한족 문화에 동화되지 않았으며 (※중공당의 회족탄압 원인이기도 하다.), 독자적인 소셜 커뮤니티도 있다. 대체적인 인상은 뭔가 둥글사각진 모자를 쓰고 다니며, 매일 다섯번 기도하고, 양꼬치를 맥주 없이 구워먹는 정도인 모양. [[위구르족]]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엄연히 다른 민족이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5角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먀오족, 좡족<ref>한족에 이어 중국에서 비중이 가장 큰 소수민족.</ref>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6.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 style="text-align: center;" | 둥족<ref>石奶引씨 라고 한다.</ref>, 야오족
| style="text-align: center;" | [[만리장성]] (팔달령)
| style="text-align: center;" | [[만리장성]] (팔달령)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元
| style="text-align: center;" | 이족, 위구르족
| style="text-align: center;" | 남해남천일주(南海南天一柱, [[하이난]])<ref>관련 전설에 의하면, <s>하라는 일은 안하고</s> 인간계에 자꾸 놀러다니는 비행선녀(?)를 벌하고자 돌기둥으로 만들어 번개로 내리쳐 둘로 쪼개고는 하나는 바다끝에, 하나는 하늘끝에 내리박았다고 한다. 그 중 바다측의 것.</ref>
| style="text-align: center;" | 남해남천일주(南海南天一柱, [[하이난]])<ref>관련 전설에 의하면, <s>하라는 일은 안하고</s> 인간계에 자꾸 놀러다니는 비행선녀(?)를 벌하고자 돌기둥으로 만들어 번개로 내리쳐 둘로 쪼개고는 하나는 바다끝에, 하나는 하늘끝에 내리박았다고 한다. 그 중 바다측의 것.</ref>
| style="text-align: center;" | 장강삼협의 무협 ([[충칭시]] 우샨(巫山)<ref>카오위, 마오차이(마라샹궈)의 본고장. 장강 상류에 있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6.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1F3FF;" | '''10元''' 한족, 몽골족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1D248;" | '''50元''' 지식인, 농민, 노동자
| style="text-align: center;" | 티베트족<ref>감출 장자를 써서 짱족(藏族, '시짱자치구'의 그 ''.)이라고도 한다. 드물게 토번인이라고도 한다.</ref>, 후이족<ref>回族, 별칭은 돌궐족 및 위구르족. 이슬람을 믿는 중앙아시아 계열 민족인데 중국에서도 회족이라 하면 마치 외국인 보듯 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한족 문화에 동화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소셜 커뮤니티가 있을 정도이다. 대체적인 인상은 뭔가 둥글사각진 모자를 쓰고다니며 매일 다섯번 기도하고 양꼬치를 맥주 없이 구워먹는 정도인 모양. 흔히 사용하는 '위구르'는 현지인말로 '연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EB4FF;" | '''100元''' <small>왼쪽부터</small> [[마오쩌둥|毛]], [[저우언라이|周]], [[류샤오치|劉]], [[주더|朱]]
| style="text-align: center;" | 장강삼협의 무협 ([[충칭]]시 우샨(巫山))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한족, 몽골족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409.jpg]]
|-
| style="text-align: center;" | 초모룽마 ([[에베레스트]]산)<ref>티베트어로 '어머니 언덕'이라는 뜻. 중국어 표기는 이 단어를 그대로 음차하여 珠穆郞瑪峰인데 [[구슬]]과 [[마노]]가 사이좋게 빛나는 봉우리라는 뜻이 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초모룽마 ([[에베레스트]]산)<ref>티베트어로 '어머니 언덕'이라는 뜻. 중국어 표기는 이 단어를 그대로 음차하여 珠穆郞瑪峰인데 [[구슬]]과 [[마노]]가 사이좋게 빛나는 봉우리라는 뜻이 된다.</ref>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8.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50元
| style="text-align: center;" | 지식인, 농민, 노동자
| style="text-align: center;" | 황하
| style="text-align: center;" | 황하
|-
| style="text-align: center;" | 징강산<ref>중국군(중공군)의 전신인 [[홍군]]의 탄생지 (1927년)</ref>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409.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100元
| style="text-align: center;" | 왼쪽부터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류샤오치]], [[주더]]
| style="text-align: center;" | 징강산<ref>중국군의 전신인 홍군의 탄생지 (1927년)</ref>
|}
|}
{{폐기권}}
* 角(자오/마오) 권종의 뒷면은 도안소재가 없다.
* 기본적으로 발행 연도는 1980년(초판)이나, 1元/2元/50元/100元 4종류는 1990년 개정판(2판)을 찍어냈고, 1996년에는 1元권 새 개정판(3판)을 찍어냈다.
* 100元권을 제외한 지폐의 인물들은 모두 일반인을 모델로 썼다. 다만 정확히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 3차 런민비 (1960 ~ 1979) ===
=== 3차 런민비 (1960 ~ 1979) ===
1960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디자인만 변경하였다. 이후로도 보안 강화만을 목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졌다. 1979년 발행 중단, 2000년부터 효력이 상실되었다. 그래서 아~주 간혹가다가 악덕상인들이 외국인 엿먹으라고 거스름돈으로 낡아빠진 (새거는 당연히 원가보다 비싸게 팔려서 안 주고) 이걸 주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
1960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디자인만 변경하였다. 이후로도 보안 강화만을 목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졌다. 1979년 발행 중단, 2000년부터 효력이 상실되었다. 그래서 아~주 간혹가다가 악덕상인들이 외국인 엿먹으라고 거스름돈으로 낡아빠진 (새거는 당연히 원가보다 비싸게 팔려서 안 주고) 이걸 주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


3차 런민비는 주로 노동에 관련된 것이 많이 그려져 있어 공동체 노동을 강조하기 위해 도입한게 아니냐 하는 이야기도 있다 [[카더라]].  
3차 런민비는 주로 노동에 관련된 것이 많이 그려져 있어 공동체 노동을 강조하기 위해 도입한게 아니냐 하는 이야기도 있다 [[카더라]].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3rd Series (1960~1979)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3rd Series (1960~1979)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width:33%;" | 1角, 인민공사(협동농장) 가는 마을주민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4F7BA; width:33%;" | 2角, 교각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width:33%;" | 5角, 섬유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302.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3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1角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인민공사(협동농장) 가는 마을주민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3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국화(菊花) (+국장(國章))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303.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매화 (+국장)
| style="text-align: center;" | 2角
| style="text-align: center;" | 교각
| style="text-align: center;" | 모란꽃 (+국장)
| style="text-align: center;" | 모란꽃 (+국장)
| style="text-align: center;" | 국화(菊花) (+국장(國章))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304.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0D4;" | 1元, 량준(梁军)<ref>중국 최초 여성 트랙터 운전자. 1930년 헤이룽장성 출신이며, 1950년에 최초로 운전기사 자격증 타이틀을 국가로부터 받아냈다. 모범근로자의 대표로도 선정되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가 직접 그녀를 만나기도 한 스타덤으로 순식간에 간부에 준하는 자리까지 올랐고, 그대로 일반인(?) 화폐 모델이 되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5角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BC9;" | 2元, 선반공
| style="text-align: center;" | 섬유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CC5;" | 5元, 주물공장 근로자 <small><s>인민의 락을 보여준다</s></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매화 (+국장)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3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중국 최초 여성트랙터 운전자, 량준(梁军)<ref>1930년 헤이룽장성 출신, 1950년에 최초로 운전기사 자격증 타이틀을 국가로부터 받아냈다. 모범근로자의 대표로도 선정되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가 직접 그녀를 만나기도 한 스타덤으로 순식간에 간부에 준하는 자리까지 올랐고, 그대로 일반인(?) 화폐 모델이 되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307.jpg]]
|-
| style="text-align: center;" | 양 목축
| style="text-align: center;" | 양 목축
| style="text-align: center;" | 석유채유현장
| style="text-align: center;" | 광석채광현장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306.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FD8D8;" |  
| style="text-align: center;" | 2元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선반공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9E5FF;" | 10元, 인민대회당에 모인 남녀 대의원들
| style="text-align: center;" | 석유채유현장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ny307.jpg|섬네일]]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주물공장 근로자 <s>왠지 인민의 락을 보여줄 것 같다.</s>
| style="text-align: center;" | 광석채광현장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 style="text-align: center;" | 인민대회당에 모인 남녀 대의원들
| style="text-align: center;" | 천안문
| style="text-align: center;" | 천안문
|}
|}
 
* 여담이지만, 2위안짜리가 10위안짜리보다 구경하기 훨씬 어렵다.
여담이지만, 2위안짜리가 10위안짜리보다 구경하기 훨씬 어렵다.
* 1角 권종은 1962년 첫 발행 당시엔 인민들이 오른쪽으로 걸어가는 모습을 넣었다. 그러나 그 모습이 우경주의([[우익|우파정권]])를 묘사하고 있다는 <s>[[애니미즘]]</s> 비난에 가까운 비판이 나왔고, 1966년 개정판을 내놓을 땐 약간 좌측으로 걸어가는 모습으로 변경하였다.


=== 2차 런민비 (1953 ~ 1960) ===
=== 2차 런민비 (1953 ~ 1960) ===
1953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1956년에 일부 디자인이 바뀐 것이 있다. 혼란스러운 1차 권종을 대체하여 통일된 시스템을 구축한 첫 시리즈로 구권과의 교환비율은 신 1위안 = 구 10,000위안이었다. 중국 특유의 3단합체 보조단위개념이 정착한 것도 이 시기.  
1953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1956년에 일부 디자인이 바뀐 것이 있다. 혼란스러운 1차 권종을 대체하여 통일된 시스템을 구축한 첫 시리즈로 구권과의 교환비율은 신 1위안 = 구 10,000위안이었다. 중국 특유의 3단합체 보조단위개념이 정착한 것도 이 시기.


종류는 지폐만 총 11가지. 각각 5/2/1단위의 위안(원)/자오(각)/펀(분)과 3위안권이 먼저 만들어졌고, 10위안이 나중에 추가되었다.(1957) 외국인이 본다면 상당히 혼란스러운 시스템이었겠지만...당시엔 완벽한 사회주의국가였기에 해당사항이 없다.
종류는 지폐만 총 11가지. 각각 5/2/1단위의 위안(원)/자오(각)/펀(분)과 3위안권이 먼저 만들어졌고, 10위안이 나중에 추가되었다.(1957) 외국인이 본다면 상당히 혼란스러운 시스템이었겠지만...당시엔 완벽한 사회주의국가였기에 해당사항이 없다.
200번째 줄: 288번째 줄:
1964년경에 위안화와 쟈오화 통용이 중지되었고 1999년에 완전히 폐기된다. 단, 3위안, 10위안은 너무 고액권이었던 탓인지 64년 중지조치 1달만에 폐기시켜버렸다. (다만 3차 런민비때 추가되지 않고 기존 도안을 계속 유지시킨 펀권은 2003년에 발행이 중지되고, 2007년에서야 폐지된다.) 때문에 희귀도는 극에 달해서 화폐상에 가면 엄청난 가격을 부르고, 3A~4A급 박물관에서도 귀하게 모셔질 정도이다.
1964년경에 위안화와 쟈오화 통용이 중지되었고 1999년에 완전히 폐기된다. 단, 3위안, 10위안은 너무 고액권이었던 탓인지 64년 중지조치 1달만에 폐기시켜버렸다. (다만 3차 런민비때 추가되지 않고 기존 도안을 계속 유지시킨 펀권은 2003년에 발행이 중지되고, 2007년에서야 폐지된다.) 때문에 희귀도는 극에 달해서 화폐상에 가면 엄청난 가격을 부르고, 3A~4A급 박물관에서도 귀하게 모셔질 정도이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Yuan 2nd Series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Renminbi Yuan 2nd Series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width:33%;" | [[파일:CNY2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width:33%;" | [[파일:CNY2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width:33%;" | [[파일:CNY2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1分
| style="text-align: center;" | 1分 트럭
트럭
| style="text-align: center;" | 2分 비행기
| style="text-align: center;" | 2分
| style="text-align: center;" | 5分
| style="text-align: center;" | 5分
비행기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角
| style="text-align: center;" | 1角 트랙터
트랙터
| style="text-align: center;" | 2角 기차
| style="text-align: center;" | 2角
| style="text-align: center;" | 5角 댐
기차
| style="text-align: center;" | 5角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1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 style="text-align: center;" | 1元 천안문
천안문
| style="text-align: center;" | 2元 바오타 산
| style="text-align: center;" | 2元
바오타 산
| style="text-align: center;" | 3元
| style="text-align: center;" | 3元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NY21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 style="text-align: center;" | 5元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 style="text-align: center;" | 10元 노동자와 농부
노동자와 농부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공통)
|}
|}
여담이지만 이 시리즈의 펀권의 경우도 위폐가 있었다(...) <s>환율가 1.8~9원짜리 가짜돈의 위엄</s> 엄밀히 말하면 지폐 자체는 진품이 맞다. 그런데 구하기 쉬운 3차 런민비 발행 펀권(일렬번호 로마자 3글자)에 숫자 6개를 더 때려박아서 2차 런민비 펀권(일렬번호 로마자 3자 + 아라비아숫자 6자)처럼 보이게 만든 제품들이다. 굳이 이런짓을 하는 이유는 역시나 2차와 3차간의 거래시세 차액때문.
* 동전은 발행한 전적이 있다. 1953년 표기 발행으로 1分, 2分, 5分의 알루미늄화가 주조되어 1955년부터 풀렸다. 그러나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
* 이 시기는 아직 사회주의 경제가 한창이던 때라 '[[배급표|양표]](粮票)'라 하여 '돈'과는 별도로 유통되고 있었기에 큰 액수가 필요하지 않았다.
* 여담이지만 이 시리즈의 펀(分)권의 경우도 위폐가 있었다(...) <s>환율가 1.8~9원짜리 가짜돈의 위엄</s> 엄밀히 말하면 지폐 자체는 진품이 맞다. 그런데 구하기 쉬운 3차 런민비 발행 펀권(일련번호 로마자 3글자)에 숫자 6개를 더 때려박아서 2차 런민비 펀권(일련번호 로마자 3자 + 아라비아숫자 6자)처럼 보이게 만든 제품들이다. 굳이 이런짓을 하는 이유는 역시나 2차와 3차간의 거래시세 차액때문.


=== 1차 런민비 (1949 ~ 1952) ===
=== 1차 런민비 (1949 ~ 1952) ===
첫 런민비로, 1949년 건국 직후에 발행된 것이다. 목적은 당연히 춘추전국급의 화폐를 통일시키는 것.
첫 런민비로, 1949년 건국 직후에 발행된 것이다. 목적은 당연히 춘추전국급의 화폐를 통일시키는 것.


그런데 이 시리즈...아무래도 초판인지라 체계가 무진장 복잡하다. 수준이 어느정도냐 하면, 사실 중국의 화폐도감 중에서도 문제집 두께만한 것으로 인민폐만 다루는 도감이 있는데, 책의 절반이 이 시리즈일 정도.
그런데 이 시리즈...아무래도 초판인지라 체계가 무진장 복잡하다. 수준이 어느 정도냐 하면, 사실 중국의 화폐도감 중에서도 문제집 두께만한 것으로 인민폐만 다루는 도감이 있는데, 책의 절반이 이 시리즈일 정도.


디자인으로 분류하면 62종류이며, 액면으로만 분류해도 무려 12종류이다.(1, 5, 10, 20, 50, 100, 200, 500, 1000, 5000, 10000, 50000) 더군다나 크기나 디자인이 일정하지 않고, 발행순서도 액면을 따라가지 않고 자비롭지 못하게 마구 섞여나와서... 여튼 [[페르마의 정리|이곳에 모두 정리하기엔 화면이 너무 좁다.]]
디자인으로 분류하면 62종류이며, 액면으로만 분류해도 무려 12종류이다.(1, 5, 10, 20, 50, 100, 200, 500, 1000, 5000, 10000, 50000) 더군다나 크기나 디자인이 일정하지 않고, 발행순서도 액면을 따라가지 않고 자비롭지 못하게 마구 섞여나와서... 여튼 [[페르마의 정리|이곳에 모두 정리하기엔 화면이 너무 좁다.]]
254번째 줄: 337번째 줄:


=== 태환권 ===
=== 태환권 ===
사회주의체제로 인해 대외개방을 꺼려하던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하기로 결정, 이듬해인 1979년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게 평가된 인민폐의 환율방어를 위해 내놓은 권종이다. 주로 방문 외국인들이 환전하면 받을 수 있었던 돈인데 어디까지나 외화와 바꾼 돈표라는 의미라서 외국인 뿐 아니라 인민들도 동등한 가치로의 사용은 가능했다. 1994년까지 사용된 후 공식 폐기. 종류는 지폐만 7종류(100, 50, 10, 5, 1, 0.5, 0.1 ▶ 이 중 100위안과 50위안은 2가지 종류씩.)이었고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사회주의체제로 인해 대외개방을 꺼려하던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하기로 결정, 이듬해인 1979년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게 평가된 인민폐의 환율방어를 위해 내놓은 권종이다. 주로 방문 외국인들이 환전하면 받을 수 있었던 돈인데 어디까지나 외화와 바꾼 돈표라는 의미라서 외국인 뿐 아니라 인민들도 동등한 가치로의 사용은 가능했다. 주로 외제품을 구입했을때 썼던 돈이었다. 1994년까지 사용된 후 공식 폐기. 종류는 지폐만 7종류(100, 50, 10, 5, 1, 0.5, 0.1 ▶ 이 중 100위안과 50위안은 종류씩)이었고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참고로 태환권을 발행한 기관은 중국인민은행<small>(中国人民銀行, People's of Bank of China)</small>'''이 아니라 [[중국은행]]<small>(中国銀行, Bank of China)</small>'''이다.


=== 기념권 ===
=== 기념권 ===
현 시점까지 중국인민은행에서 발행한 [[기념권]] 지폐는 총 4종이다. 199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50주년 50위안, 2000년 새천년기념 100위안, 2008년 베이징 올림픽기념 10위안, 그리고 2015년 항공산업 기념 100위안.  
{| class="wikitable"
! colspan="4" | 중화인민공화국 위안의 기념권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NY001.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NY007.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CNY009.jpg]]
|-
| style="text-align: center;" | Ұ50 (1999)<br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50주년
| style="text-align: center;" | Ұ100 (2000 <small>(용 폴리머)</small>)<br />새천년 기념
| style="text-align: center;" | Ұ100 (2015)<br />항공산업 기념 100위안
| style="text-align: center;" | Ұ50 (2018)<br />중국인민은행 70주년 기념
|-
| colspan="4" |기타) 올림픽 개최 기념권 (중국은행 홍콩/마카오 지사와 동시 발행)<ref>단, 도안(모양)은 모두 제각기 다르다.</ref><br />※ Ұ10 (2008년) :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기념권 (1천만장)<ref>카자흐 1만 텡게 기념권과 함께, 색변조 금속잉크(SPARK®ink)가 처음 도입된 권종이다.</ref><br />※ Ұ20 (2022년)<ref>2022년 2월에 개최해서 발행년도는 2022년으로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2021년 12월 중후반에 출시/배포하였다.</ref>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기념권, 면 소재 (2억장)<br />※ Ұ20 (2022년)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기념권, 폴리머 소재 (2억장)
|}
위 표에 게시되지 않은 '기념지폐'라 발행하고 있는 것들은 '''모두 무허가 사설'''로 만들어낸 판타지 노트(=장난감 돈)으로, 상당수가 흔히 말하는 짝퉁이나 모조품의 수준에도 미치지 않는 조악한 인쇄 품질을 자랑한다. 과거 이 분야(사설 발행권)의 갑이던 미국조차 <s>똘기</s> 광기 부문에서는 한 수 접어야 할 정도.


앞서 나온 3종류는 모두 최하시세가 5만원을 호가하는데, 특히 베이징 올림픽 기념권은 부자들의 독과점이 발생하여 엄청난 발행수량에도 불구하고 원가 1,800원짜리가 거의 백여만원 수준까지 올라간 기염을 토하고 있다. <s>과연, [[대륙의 기상]]...</s>
초창기 발행된 기념권은 배포가 및 액면가를 훨씬 뛰어넘는 고가로 거래되는데, 특히 베이징 하계 올림픽 기념권의 경우는 약 1천만장 발행<ref>참고로 한국 첫 기념지폐인 2천원권이 약 230만장 발행이다.</ref>임에도 불구하고 교환매수에 큰 제약을 걸지 않아서, 발행 직후 부자들의 매점매석이 발생하여 원가 1,800원짜리<sup>(발행 당시 환율)</sup>가 거의 백여만 원 수준까지 올라간 기염을 토하고 있다.
 
그 때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인지, 2010년대 이후로 발행된 기념권은 다른 나라의 기념권과는 궤를 달리하는 분량<ref>유통목적이 아닌 기념지폐는 대개 약 5만장 정도, 많아도 100만~1,000만장이 흔하다.</ref>으로 찍어내고 있고, 그 덕택에(?) 쉽사리 가격대가 올라가지 못하고 있다. 2018년 기념권은 발행량이 '''1억 2천만장'''이고, 2021년 동계 올림픽 기념권은 2장 한 세트 구성으로 무려 2억 세트('''[[대륙의 기상|합계 4억장]]''')나 찍어냈다(...)


== 이야기거리 ==
== 이야기거리 ==
268번째 줄: 370번째 줄:


=== 지폐와 동전 ===
=== 지폐와 동전 ===
5차 런민비를 발행하는 현 시점에서 1위안권은 동전과 지폐가 동시에 유통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다소 옅어지는 감이 있긴 하다만 북방 및 내륙으로 갈 수록 지폐가, 남방 및 해안으로 갈수록 동전이 잘 유통된다는 것이다. 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상하이 시]], [[랴오닝 성]], [[장쑤 성]], [[저장 성]], [[선전 시]]<ref>이 중 [[랴오닝 성]]만 북방 지역이고 나머지 네 곳은 남방 해안 지역이다.</ref>가 첫번째 동전 집중유통 시범지역이었다는 점, 동전 제조공장이 남방에 몰려있다는 점, <s>북방에선 동전을 쥐고있으면 차갑기때문에 사람들이 기피한다는 점,</s> 동전을 내륙지역까지 운반하기엔 힘들다는 점 등이 있다. 1위안 지폐는 유독 훼손률이 높아 동전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에서는 1위안 동전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지만 "남방 사람이 북방에서 동전을 냈다가 거절당했다" 혹은 "북방 사람이 남방에서 지폐를 냈다가 외계인 취급을 받았다"같은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것으로 보인다.
5차 런민비를 발행하는 현 시점에서 1위안권은 동전과 지폐가 동시에 유통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다소 옅어지는 감이 있긴 하다만 북방 및 내륙으로 갈 수록 지폐가, 남방 및 해안으로 갈수록 동전이 잘 유통된다는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상하이시]], [[랴오닝성]], [[장쑤성]], [[저장성]], [[선전시]]<ref>이 중 [[랴오닝성]]만 북방 지역이고 나머지 네 곳은 남방 해안 지역이다.</ref>가 첫번째 동전 집중유통 시범지역이었다는 점, 동전 제조공장이 남방에 몰려있다는 점, <s>북방에선 동전을 쥐고있으면 차갑기때문에 사람들이 기피한다는 점,</s> 동전을 내륙지역까지 운반하기엔 힘들다는 점 등이 있다. 1위안 지폐는 유독 훼손률이 높아 동전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에서는 1위안 동전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지만 "남방 사람이 북방에서 동전을 냈다가 거절당했다" 혹은 "북방 사람이 남방에서 지폐를 냈다가 외계인 취급을 받았다"같은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것으로 보인다.


=== 위폐 문제 ===
=== 더... 더럽... ===
가짜 상품으로 유명한 중국이다보니 당연히 돈 또한 위폐의 위험성을 벗어날 수 없었다. 몰론 걸리면 최소 중형에서 극형이지만 그럼에도 1위안짜리 동전까지 위폐를 만드는 위엄을 보이는 곳이 중국이다(...) <s>개중엔 간혹 폭발하는 동전도 있다 카더라.</s>
어쩌다 이 지경이 되는 건지 궁금할 정도로 너덜너덜한 지폐가 간간히 눈에 띈다. 그냥 단순히 구겨진 것도 아니고 마치 쓰레기통에서 뒤져 건져낸 듯한 똥폐도 간간히 보이고, 어떤건 잘못 건드렸다간 부욱 찢어질 지도 모를 위태위태한 돈도 멀쩡히 돌아다닌다. 1위안 같은 푼돈이라면 새돈일 확률과 똥폐일 확률이 거의 반반, 20위안이나 50위안 같은 고액권이라도 예외가 아니라서 서너장에 한장꼴로 무시무시한 녀석이 나온다. 이런 폐급돈의 경우는 위폐방지요소들도 무사하지 않아서 아무리 만져보든 빛에 비춰보든 위폐와 거의 구별이 되지 않아 애를 먹게된다. 왜 이렇게 험한 돈들이 돌아다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소액전일수록 험한 곳에 쓰이는 일이 많기 때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예를 들면 많은 유럽/미국인들이 분수에 동전을 던지듯 중국인들도 고인 물바닥에 돈을 던져 재물복을 빌기도 하는데 그때 희생(...)되는 것들이 주로 소액전과 1위안짜리이다.


그 수량 또한 굉장히 많기 때문에 고액권의 경우는 즉석에서 위폐검사하는 것이 습관화 되어있다. 어지간한 가게에는 '''은행에서 쓰는''' 위폐감별 기능이 들어간 계수기 하나쯤은 마련해두고 있으며, 그게 없다면 이리저리 만져보고 튕겨보고 별 짓을 다해가며 검사한다. 50위안짜리나 100위안자리가 특히 심한데 하루가 멀다하고 심심찮게 위폐 받았다는 썰이 올라올 정도이다.
=== 위폐 문제의 부작용 ===
특징 부분에서도 언급하였듯, 중국 위안화 현찰은 위폐 비중이 굉장히 높다. 특히나 나날이 정교해지는 위폐 기술력과 귀천(?)을 가리지 않는 물량공세<ref>간단히 비유해서 '천원짜리(!)'조차 가짜가 많아서 새로 들여올 때마다 진품명품 BGM깔고 감정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ref> 때문에 수집계에게도 상당한 골치를 때리고 있는데, 일부 전매행위<ref>중국 화폐의 시세변화는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ref>와 더불어서 중국 화폐 수집에 쉽게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지어 중국에서 유통중인 화폐의 30%가 위폐라고 중국인들에게 말하면 놀란 반응이 나타난다. "그거밖에 안될리가 없다"라는 반응으로(...)
사실상 통용이 중단된 구권의 경우는 아예 눈치 보지 않고 가품 시장이 활개를 친다. 그냥 존재 자체가 가격대 높은편인 2차(元단위 전체) 및 3차(2元, 5元) 권종들은 아예 다발째 만들어서 눈 낮은 전세계 호갱들을 모집하고 있고, 그나마 눈 높은 호갱에겐 어떻게든 가격을 높여 받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떨어지는 종류의 "진품"에 약품 및 칼질 가공을 하여 시세가 높은 종류의 "가품(?)"으로 재생산하여 파는 것까지도 나왔다. 때문에 중국화폐 수집계는 나름 시장성이 큰데도 불구하고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라, 소위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중에 있다.


=== 더... 더럽... ===
=== 문자 ===
어쩌다 지경이 되는건지 궁금할 정도로 너덜너덜한 지폐가 간간히 눈에 띈다. 그냥 단순히 구겨진 것도 아니고 마치 쓰레기통에서 뒤져 건져낸 듯한 똥폐도 간간히 보이고, 어떤건 잘못 건드렸다간 부욱 찢어질 지도 모를 위태위태한 돈도 멀쩡히 돌아다닌다. 1위안 같은 푼돈이라면 새돈일 확률과 똥폐일 확률이 거의 반반, 20위안이나 50위안 같은 고액권이라도 예외가 아니라서 서너장에 한장꼴로 무시무시한 녀석이 나온다. 이런 폐급돈의 경우는 위폐방지요소들도 무사하지 않아서 아무리 만져보든 빛에 비춰보든 위폐와 거의 구별이 되지 않아 애를 먹게된다. 왜 이렇게 험한 돈들이 돌아다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소액전일수록 험한 곳에 쓰이는 일이 많기 때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예를 들면 많은 유럽/미국인들이 분수에 동전을 던지듯 중국인들도 고인 물바닥에 돈을 던져 재물복을 빌기도 하는데 그때 희생(...)되는 것들이 주로 소액전과 1위안짜리이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 위안화는 1960년 발행권부터 "중국인민은행" 부분을 한문-라틴 문자 말고도 [[몽골 문자]]([[몽골어]]), [[티베트 문자]]([[티베트어]]), [[아랍 문자]]([[위구르어]]), 그리고 노장 문자(老莊文, [[좡어]]) 표기를 병기하고 있다. 중 좡어는 1999년(5차 시리즈)부터 신장 문자(新莊文)<ref>좡어를 표기하는 기존 문자 체계(노장문)는 라틴 문자 말고도 다른 문자에서 차용한 글자를 섞어서 썼지만, 디지털화에 불리하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라틴 문자만 쓰는 쪽으로 바뀌었고, 이를 '신장문'으로 구분짓고 있다. 예를 들면 노장문은 「Bouч bouч ma dəŋƨ laзƃɯn couƅ miƨ cɯyouƨ」 처럼 쓰지만, 신장문은 「Boux boux ma daengz lajmbwn couh miz cwyouz」 처럼 쓴다.</ref>로 바뀌었다.


=== 기타 트리비아 ===
=== 기타 트리비아 ===
*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3079777 대륙의 스님]께서 1角 동전 22만개(=22,000위안, 한화 약 400만원 미만)로 온수기 16대를 구매한 기사가 실렸다. 사찰에 들른 사람들이 시주한 동전이며, 구매 전에 미리 전화를 걸어서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진행한 것이라 가게측도 볼멘소리는 내지 않았다. 다음엔 에어컨을 사러 오겠다고 말하기 전까진...
* 2015년 5월,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079777 대륙의 스님께서 1角 동전 22만 개(22000위안, 한화로 400만 원 미만)로 온수기 16대를 구매한 일화]가 있다. 사찰을 방문한 사람들이 시주한 동전으로, 구매 전에 미리 전화를 걸어서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진행한 것이라 가게측도 볼멘소리는 내지 않았다. '''다음엔 에어컨을 사야겠다'''고 말하기 전까지는 말이지…….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89814&ref=N 2015년 11월, 동전으로 집을 사는] 소식이 [[쓰촨성]]과 [[산둥성]]에서 각각 보도가 되었다. 그 양은 1위안짜리 동전 및 5자오(0.5위안)짜리를 조합하여 각각 43,500위안과 '''40만(!!)위안'''. 후자의 경우, 하루 온종일을 돈만 세었는데도 1/10밖에 세지 못했다고 한다(...)
* 2015년 11월, 이번에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89814 동전으로 집을 샀다는 소식]이 쓰촨 성과 산둥 성에서 각각 보도되었다. 쓰촨 성에서는 1위안짜리 동전 무더기(총 43500위안)를 세는 데 3시간이 걸렸고, 산둥 성에서는 1위안짜리 동전 및 5자오(0.5위안)짜리 지폐 무더기를 가져왔는데 하루 온종일을 돈만 세었는데도 1/10 정도인 4만 위안 정도밖에 세지 못했다고 한다(…).
 
* 현행권은 아니지만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985283 저장 성의 어느 낡은 집에서는 위안스카이 시절 동전이 무더기로 발굴]되어 작은 마을이 한때 난리가 났었다. 중화민국 극초기의 동전으로 굉장한 희귀품이라 그 집의 원 주인과 새 주인은 물론 촌 위원회까지 달려들어 소유권을 놓고 법적 분쟁이 벌어졌는데, 소유권 입증에 실패하여 판례에 따라 결국 국고 회수되고 말았다(…).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985283&plink=ORI&cooper=NAVER 어느 낡은 집에서 위안스카이 동전이 무더기로 발굴]되어 저장성의 작은 마을이 한때 난리가 났었다. 현 중국 위안은 아니고 옛 청나라~중화민국 극초반의 동전, 그러니까 굉장한 희귀품이라 그 가치는 상당했기에 낡은 집의 원주인과 새주인간의 소유권 문제로 분쟁을 일으킨 것도 모자라 뜬금없이 촌장까지 소유권 분쟁에 가세하는 바람에 법적 분쟁이 벌여졌으나 판결은 전례에 따라 소유권 입증에 실패하여 결국 국고회수가 되고 말았다.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5&aid=0004291364 2020년 2월],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의 전 중국 확산 요인 중 하나로 손때가 많이 타는 지폐가 지목되어, [[후베이성]] 내 위험지역 (특히 발원지인 [[우한]])에서 나오는 지폐들은 모조리 파쇄해버리는 결정을 내렸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당분간 현금 유통을 자제하고 [[알리페이|전자결제]]를 해달라고 당부하였다.
 
{{각주}}
{{각주}}
{{화폐}}
{{아시아의 화폐}}
 
[[분류:중국의 경제]]
[[분류:중국]]

2023년 9월 8일 (금) 03:49 기준 최신판

중국 위안
人民币 (RenMinBi, 런민비(렌민비))
ZhongguoRenminYinhang.png
화폐 정보
사용국 중국
홍콩 마카오[1]
비공식 사용국:
ISO CNY RMB[2]
《비공식》[3]CNH홍콩, CNM마카오, CNT타이완
기호 ¥ (CN¥)(공식 기호)[4], 圆(공식), 元(통상)
보조단위
1/10 쟈오(角) 구어체 : 마오(毛)
1/100 펀(分)
지폐 1角, 5角, 1元, 5元, 10元, 20元, 50元, 100元
동전

1角, 5角, 1元

(희귀) 1分, 2分, 5分
중앙은행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 Zhongguo Renmin Yinhang)[5]
인쇄처 Zhongguoyinchao.png 중국인초조폐총공사 (中国印钞造币总公司)
조폐국 Zhongguoyinchao.png 중국인초조폐총공사 (China Banknote Printing and Minting)
환율 160~200원/元 (평균 168~175원/元)
고정환율 6.0~7.2CNY/USD (2008년 이후, 관리변동제)
이전 화폐

中华人民共和国圆(中国元) 쭝화런민꽁헤궈위엔 (쭝궈옌)cn (표준)
人民元(じんみんげん) 진민겐jp / Chinese Yuan 차이니즈 유안en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중국 위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원(圓) 계통 화폐이다. 단위명 그 자체로는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연관된 범위로서는 중국 대륙에 난무하던 각종 지방 화폐들을 통일시키기 위해 출범한 중국인민은행의 개업일인 1948년 12월 1일을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위안화 아래 설정된 두 종류 보조단위(쟈오, 펀)는 공식적으론 2020년 현재에도 유효하나, 중국 내수 물가의 급상승으로 인해 2007년 펀단위 지폐통용을 폐지, 2010년대에 들어서는 펀 단위 동전조차도 유통을 꺼려하는 쪽으로 바뀌어 사실상 죽은 단위이다. 여차하면 쟈오단위도 무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시장에서 가격이 쟈오 단위로 나오면 시장주인이 그 부분은 그냥 깎아주기도 한다. 반대로 인심 안 좋으면 올려받는다.

2015년 11월 30일에 SDR의 다섯 번째 통화로 편입이 결정되었고, 10개월 준비기간을 가진 후인 2016년 10월 1일부터 실제로 적용된다. 규모는 미국 달러, 유로에 이은 세 번째. 역시 쪽수에는 못 이기는 건가…….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바로 옆나라 통화이기 때문에도 그렇고, 중국인의 한국 방문이 원체 많아서 그 수요 또한 폭발적이라 한국에서 중국 위안을 환전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심지어 미국 달러의 고정환인지라 달러가 안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환율이 급변하지도 않는다. 때문에 난이도가 어렵지만 않을 뿐이지, 수수료 차이는 굉장히 큰 편이라서 절약이 목적이라면 팁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 중국 위안 취급권종은 99%가 100위안권이다. 50위안권도 찾아보기 상당히 힘든 편이고, 그 이하 권종은 정말 운이 좋아야 볼 수 있을 수준이다. 만일 시중은행에서 1위안이나 5위안짜리를 봤다면 그건 누군가가 중국에 갔다와서 처분한 걸 건네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는 워낙 단위값이 낮아서 저액권을 수입하는 것이 동전을 수입하는 것과 비슷하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근데 50위안만 하더라도 5유로짜리보다 비쌀텐데 왜...

현재 중국 위안을 가장 적은 수수료로 매입하는 방법은 명동, 이태원 등지에 자리한 사설 환전소이다. 이쪽 동네에서도 특히 중국 위안을 주력으로 하는 경우엔 수수료가 기준가 대비 거의 1원 미만(한국돈으로!)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반대로 가장 비싼 곳은 당연하게도 공항 환전소로 대략 단위당 15~20원가량 나온다. 시중 은행에선 수수료 우대가 없다면 대략 8~12원 정도에 책정된다. 고로 어디서 환전하냐에 따라 100위안 1장당 대략 500원~1,000원 차이가 벌어지는 꼴이다. 이는 반대로 매도할 때에도 해당되니 만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면 조금 품을 들여서라도 수수료 우대에 매달리지 말고 수수료 낮은 곳을 찾아보는 것이 절대로 이득이다. 특히 시중은행 고객우대등급을 찍어도 위안화는 수수료 우대 폭이 크지 않다는 점을 유념하자. 90% 우대라면 모를까.

중국에서 환전할 필요가 생긴 경우엔 기본적으로 고정환인 미국 달러가 여러모로 편하다. 하지만 한국 원의 수요도 적지 않아 그나마 다른 나라에 비해서 괜찮은 값을 쳐주는 편이고[7], 중국어가 유창하다면 사설 환전소에서 상당히 유리하게 환전할 수도 있다. 중국어를 모르는 단기 여행자의 경우엔 예비용으로 한국씨티은행의 현금카드를 만들어서 인출해 사용하는 것을 대개 추천하는 편인데 이 경우는 수수료가 결코 저렴한 것은 아니어도 평범하게 은행에서 환전하는 값과 거의 유사하고, 그럼에도 가장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추천되는 것이다. 단, 이건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 한정이다. 중소도시에서 돈이 다 떨어졌다면... OMG! 어딘가에는 있을 시중은행에서 해결할 수밖에 없다.

중국에 정착하려 하거나 장기간 머무를 생각이라면 중국은행이나 중국공상은행에서 초기 환전도 해둘 겸, 계좌와 카드를 만들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둘 다 은련 체크카드를 발급해 주는데, 외국에서는 위안화 계좌와 원화 계좌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인출 수수료가 괜찮은 편이며 계좌에서 위안화 직접송금도 가능하다. 은련 카드가 있으면 중은이나 ICBC가 아니어도 아무 은행에서나 출금할 수 있어서 중소도시에서도 무리가 없다. 장기 체류에는 씨티국제현금카드보다 메리트가 큰 편.

거래 기본 단위는 1元이며, 최소 단위는 명목상 0.01元=1分, 실질적은 0.1元=1角이다. 구어체로는 앞서 언급하였듯 콰이(块)라고 하며, 이렇게 읽는다면 角은 마오(毛)로 읽거나 그냥 생략하여 읽는다. (ex : 12元5角(시얼위안우쟈오) = 12块5(시얼콰이우))

0.01값인 分단위는 유효한 단위이므로 금융거래시에는 반드시 표기한다. (대개 별도표기가 아닌 소수점 2자리로 표기.) 시장에서는, 일단 필요하다면 표기는 할 수 있으나, 실제 거래시에는 무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액권의 중요성[편집 | 원본 편집]

위와 같이 한국에서 준비해서 간다면 대개 100위안권만 수북히 들고 오게 되지만 정작 현지에서는 소액권이 절실해진다. 특히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면 더더욱 그러한데, 기껏해야 2위안짜리인 버스의 경우 절대 잔돈을 주지 않기 때문.[8] 교통카드를 별도로 만들지 않을 거라면 최대한 1위안 지폐를 불려놓자. 가장 만만한 것은 편의점에서 물건 하나 사고 100위안짜리를 내는 것. 편의점은 일반 가게와는 달리 기대할 만한 서비스와 계산 하나는 명확하게 해주기 때문에 부담없이 고액권 깨트리기가 가능하다. 또다른 방법은 장사 잘 되는 가게나 숙소, 식당 등의 계산원에게 부탁하는 것. 5원짜리나 10원짜리를 1원짜리로 바꿔달라 하면 어지간한 경우 아니고서야 서비스 차원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다. 단, 옛 국영식당인 곳에서는 단칼에 거절당할 지도 모른다.

또한 소액권이 중요한 이유라고 한다면 일부 가게에서, 특히 관광화가 진행된 곳일수록 거스름돈 사기가 만연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베이징의 왕푸징 꼬치거리처럼 사람은 바글바글한데 판매단가가 낮은 노점상이 즐비한 곳에서 고액권을 받으면 그걸 인질로 삼아 말바꿔서 바가지를 씌우거나 잔돈 없으니 더 사가라고 강매를 요구하기도 한다. 시장에서 뭘 산다던가 택시를 타는 경우도 고액권을 주면 거스름돈이 없다고 뻐기거나 (특히 50위안짜리) 위폐를 섞어주는 경우가 있으니 가급적 믿고 쓸 수 있는 곳[9] 아니면 100위안짜리를 무차별로 쓰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중국어가 현지인도 속을 만큼 유창하다면 또 별개의 이야기지만.

환율 추이[편집 | 원본 편집]

거물급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중국이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탓에 중앙정부 통제가 강력히 작용하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하고 있고, 내부적으로 위폐가 너무 많이 돌아다니는 탓에 통화 자체의 신용도도 별로 높지 않은 편이다. 특히 미국에서 불만이 많다.

2005년 7월 21일부터는 정치적 요소에서 조금 손을 놓아 11개 통화를 바스켓으로 묶어 연동시키는 관리변동고정환율제로 바꿔 시행하고 있는데 역시나 아닐까, 여전히 당국의 정치적 영향력이 큰 편이라 외국인이 체감하는 가치가 내국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대체적으로 살짝 고평가 되어있는 쪽이다. 중국인들이 느끼는 실제적 가치는 대략 홍콩 달러와 비슷한 환율이라 생각하면 좋다.

중국 위안화 환율은 미국을 의식하는 경우가 매우매우 많으며, 때로는 미중관계 측정기로도 이용된다. 중국은 2005년부터 베이징 올림픽 특수를 업고서 스리슬쩍씩 홍콩/마카오와 거의 유사하거나 약간 더 낮았던 8元/$대를 허물어 리먼 사태가 일어나는 2008년 9월까지 6.8元/$으로 상승시켰고[10], 리먼 사태 후폭풍이 가라앉은 2010년 하반기부터 다시 꾸준히 떨어트려 2014년에 6.0元/$ 정점을 찍고, 2016년 이후부터는 6.3~6.9元/$를 왕복하며 7.0元/$을 언제 즈음에 깨볼까, 하며 가늠하고 있는 추세이다. 7元/$대의 벽은 미중무역설전이 크게 고조된 2019년 7월에 처음 깨졌고, 12월 경에 온화무드가 조성되어 소강되는 듯 하다가 우한 코로나로 인해 2020년 2월 말에 다시 7.0元/$을 가리키게 되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통일되지 않은 기호[편집 | 원본 편집]

위안을 표기하는 기호가 좀 복잡한 편인데, 일상적으로는ㅍ 절대 다수가 한자 元(Yuan, 위앤)을 사용하나 공식 한자표기법은 圆이다. (번체자로는 圓(둥글 원)으로 한국 원과 동일하다.) 그리고 공식 기호는 ¥(일본 엔의 기호와 동일하다.)[11][12][13]라 쓰고, 회화에서는 대개 块(Kuai, 콰이)라고 읽는다.아무래도 진시황을 부활시켜야...

또한 인민을 위한 돈이라 하여 人民币(RenMinBi)=런민비(인민폐)라고 부르는데, 이것의 로마자 약칭이 RMB로, 실제 이 표현도 기호처럼 상당히 많이 쓰인다. 예를 들면 "RMB 55.00 (=55元)"이라는 식. 그래서인지 은행원마저도 RMB를 통화 코드(ISO 4217)로 잘못 아는 경우가 적지 않고, 중국 외 국가에서도 아예 중국인민은행 발행판 위안화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다른 '중국' 통화와의 혼동 방지를 위해 'RMB = Renminbi'라고 박아두기도 한다. "Chinese" 라는 어휘부터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을 동시에 가리키고, 신해혁명 이전의 중국(청나라)도 어원에 걸맞게 "Chinese"인데다, 이들의 통화가 전부 '위안(Yuan)'으로 동일하다보니, 그 구분을 명확히 하기에는 더없이 좋기 때문이다.

불신에서 시작하는 전자화폐[편집 | 원본 편집]

뭐든 가짜가 나오는 걸로 유명한 중국인데 위조 화폐가 없을까. 중국에선 고액권은 물론이고 1위안짜리 동전부터 간혹 폭발하는 동전도 있다 카더라 2019년 현 시점에선 폐기된 0.01~0.05위안(※分단위)짜리 지폐까지 모조품이 다량 나돌 정도로 가짜 천국이다. 중국에서 유통 중인 화폐의 30%가 위조라고 말했을 때 중국 사람들은 웃기지 말라는 반응을 보인다. 그렇게 적을 리가 없다고. (오타 아니다)[14] 그러나 신용카드 발급이 까다로웠기 때문에 별수 없이 현금을 써야했는데 이 때문에 돈계산할때 위폐를 거르냐고 시간낭비를 할수밖에 없던건 덤이었고 그렇게 거른다해도 위조지폐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손해를 보는 경험담도 많았다.

그렇다고 중국 공안이 통화 위조범에 대해 절대로 관대하지 않다. 걸리기만 하면 잘 봐줘도 중형이고, 어지간하면 잡히는 족족 극형을 내리는데도 불구하고, 위조죄 사범 숫자가 도저히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다보니 고액권의 경우는 즉석에서 위폐 검사를 해보는 것이 일상이 되었는데, 어지간한 가게에는 은행에서 쓰는 위폐감별 기능이 들어간 계수기나 감별기 하나쯤은 마련해두고 있으며, 그게 없다면 이리저리 만져보고 튕겨보고 별 짓을 다해가며 검사한다. 50 및 100위안 권종이 특히 심해서 하루가 멀다하고 심심찮게 위폐 받았다는 썰이 올라올 정도이다. 그 이하 권종이라고 없는 것은 아니나, 그냥 위폐인 걸 알면서도 유통시키는 사례가 있을 정도로 사태가 심각하다.

어쨌든 한국처럼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붰기 때문에 불편함에도 별수없이 현금을 일일히 살펴보면서 계산을 해야만 했지만 스마트폰 시대가 열린 이후로 일일히 돈을 셀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알리페이(중국명, 支付宝(쯔푸바오))와 같은 전자화폐가 널리 보급되었다. 아예 거지조차 QR코드를 들고다니며 구걸할 정도로 중국 생활의 필수품까지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서북부 유럽의 일부 국가 정부의 부단한 노력으로 아주 느리게 정착시키려는 현금 없는 사회가 뜬금포로 중국에서, 그것도 정부 개입 없이 국민들 자발적으로 10년도 채 안되어 이룩시켜 놓게 된 것이 놀라울 지경. 이러한 수요에 맞춰, 인접 국가인 (카드 강세인) 한국과 (현금 강세인) 일본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편의를 위해서 중국계좌가 필요하다는 난점을 극복해서라도 알리페이 계좌를 만들고 있다.

그러던 2020년, 사실 중국 정부에서도 자신들에게 있어서의 전자화폐의 장점[15]을 캐치하여 물밑에서 이미 암호화폐 기술을 응용한 중앙은행전자화폐(CBDC)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던 사실을 발표하고,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오기 전까지 중국인 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친화적인 세계 최초 형태의 CBDC를 출시할 것이라 한 적이 있다.

런민비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중국인민은행에서 발행한 통용주화의 액면 종류는 1分, 2分, 5分, 1角, 5角, 1元까지 6개종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1角, 5角, 1元의 3종만 유통되고, 특히 1元권의 경우는 지역에 따라 지폐가 더 활발히 유통되는 곳도 있다. 공식적으로는 分단위 동전도 유통할 수 있으나, 分단위를 거의 쓰지 않게 된 현재는 유명무실하여 보는 것 자체도 어렵고, 있더라도 거의 받아주지 않고 있다.

중국인민은행 발행 동전
1元 5角 1角 5分 2分 1分
현행 CNYc305.jpg CNYc306.jpg CNYc303.jpg CNYc304.jpg CNYc301.jpg CNYc302.jpg ※ 1元권 테두리에는 "RMB" 문자가 새겨져 있고, 5角권 테두리에는 홈이 파여져 있다. 1角권 테두리는 민무늬이다.
구권 CNYc211.jpg CNYc209.jpg CNYc207.jpg
초판
  • 현행권(2019~)의 1元 동전의 크기(지름)은, 구권(2000~) 1元 동전보다 2.75mm 작다. (22.25mm ← 25mm)

5차 런민비 (1999 ~ 현재)[편집 | 원본 편집]

1999년에 도입된 시리즈. 2005년에 1위안짜리만 빼고 위폐방지용 강화판을 내놓았고, 2015년 11월 12일에 위폐비중이 가장 큰 100위안권 한정으로 위조방지장치를 대폭 강화시킨 신판을 다시 내놓았다. 하지만 새 발행 4개월 반만에 위조지폐가 발각되면서 사건은 다시 원점으로. 훌륭하다 훌륭하다 중국인&조선인놈들.

앞면 도안은 전부 마오쩌둥의 초상이라 마오비(毛币)라는 별칭이 있다. 현행권이라 흔히 중국돈이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위에 저것을 떠올릴 것이다.[16] 처음으로 "위안" 이외의 단위가 모두 잘려나간 시리즈로, 또한 가치가 낮다고 판단된 2위안이 도태된 대신 20위안짜리 신 액면이 등장하였다. 뒷면에는 새 런민비 시리즈의 일환으로 중국을 대표하는 풍경을 하나씩 그려넣었는데, 역시나 여기도 문제시 되는 것이 50위안 뒷면의 포탈라 궁이다.

여전히 위조지폐, 위조동전이 심각하게 범람하고 있어 중앙정부가 골머리를 앓는 중이며[17], 첫 등장 이후 시기상으로 보아 신권을 만들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고, 결국 100위안권은 강화개정판으로 교체가 결정되었을 정도이다. 오죽하면 대놓고 전문판매 사이트가 등장하기도 하고, 한낱 동전 한 푼까지도 위조가 돌아다니니... 망했어요.

100위안짜리의 가치가 나름 크기는 크면서도 더 큰 규모의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중국이다보니 500위안짜리 신권 이야기가 만년떡밥으로 등장한다. 그렇지만 중국인민은행측에선 지하경제가 성장할까 하는 두려움과 소득격차로 인한 위화감 조성 문제 등을 들어서 신 고액권 추가를 전면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Zhongguo Yuan 5th Series Renminbi 1999~현재
Cny599.jpeg Cny500.jpg CNY531small.jpg
1판(초판) 앞면 (1999년) 2판(구형) 앞면 (2005년) 3판(신형) 앞면 (2019년)
Cny501.jpg Cny502.jpg Cny503.jpg
1元 (난꽃(兰花))
시후(항저우 서호)의 산탄인위에(三潭印月)
5元 (수선화(水仙))
타이샨 (산둥성 태산)[18]
10元 (해당화(月季))
장강삼협의 구당협 (충칭~후베이))
Cny504.jpg Cny505.jpg Cny506.jpg
20元 (연꽃(荷花))
구이린 황보다이잉 (계림 항포도영의 리강)
50元 (국화(菊花))
포탈라 궁전 (티베트)
100元 (매화? 동백? 박태기?[19])
인민대회당 (베이징 천안문광장 옆)
  • 액면 옆 괄호는 앞면 하단의 꽃.
  • 2019년 중순에 3판 100元권 스펙에 맞춘 10/20/50元 신권 발행을 예고하였고, 연말 경에 발행 및 배포하였다. 그 당시 1元권 또한 신판본으로 개정되었지만, 5元권은 개정이 예고되지 않은 채 빠져있었다. 그러다 2020년 7월이 되어서야 5元권 개정판 발행을 발표하였다.
    • 2015년에 발행된 3판 100위안화는 앞면의 액면표기가 금색이라 "土豪金(졸부Gold(...))"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이게 기존에 사용하던 위폐검별기와 호환이 되질 않아 ATM에서도 퇴짜당하고, 거래시에도 위폐라고 떠서 실랑이가 일어나는 등의 생각치도 못한 부작용이 발생해 중국인민은행측이 검별기 업데이트를 위해 진땀을 뺐다고 한다. 관련기사.
    • 일부 지역에서는 소액권의 동전 교체작업이 나름 의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1元 지폐의 사용을 중단시키려는 계획이 있다. CCTV 경제채널에 따르면 2019년의 어느시점부터 시범적으로 복건성, 강서성, 산둥성에서 통용을 전면 중단할 것(교환은 가능)이라 보도한 바가 있다. 그러나 신판본이 나오면서 실현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
    • 2018년 12월, 5元부터 50元까지를 폴리머로 교체할 계획이 있을 것이라는 카더라 통신이 나왔는데, 이는 신 100元권종 발행 실험(?)이 무색하게 늘어만가는 위폐에 대비하기 위한 또다른 실험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결국 카더라로 그쳤다.
  • 2005년판(2판)은 1999년판(1판)에서 위조방지장치를 강화한 것이라 사소한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때 1元만 개정판이 나오지 않았다. 두 판본의 가장 쉬운 구분법은 뒷면 하단에 쓰여진 연식을 확인하는 것이고, UV라이트를 비춰볼 시 1판은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지만, 2판은 숨겨진 액면 표기가 나타난다.
 발권은행 정책에 따라 폐기되거나 시중에서 사용이 중단되어, 국내외 환전도 할 수 없는 통화입니다.
 해당 국가 방문시 현금거래 중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차 런민비 (1980 ~ 1998 (~2018))[편집 | 원본 편집]

1980년에 도입되어 1986~88년 경부터 풀리기 시작한 시리즈로. 1990년(1元, 2元, 50元, 100元)과 1996년(1元)에 개정판이 나온 바 있다.[20] 중국 건국 30주년을 맞이해 중국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초상을 실어서 "소수민족 시리즈"라고 불리기도 한다. 영어로는 Ethnicities (-Series)라고 표현한다. 1角 및 5角 지폐를 제외한 나머지는 2018년 5월 1일부터 사용이 금지된다. (교환은 2019년 4월 30일까지 가능)

그런데 이 시리즈부터가 좀 논란이 되는게...정작 소수민족에는 관심 한 톨도 없으면서 억지로 자기네 역사로 강제합병 및 세뇌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카더라 떡밥이 있다. 일부는 "본토 중국"에 없는 민족까지 포함시켜놨기 때문.

1자오 및 5자오권을 제외한 나머지는 생산이 중단되기는 했으나 한동안은 통용을 인정받아 시장에서 간간하게 통용되고 있었다. 다만 위폐비중이 굉장히 많아서 위험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한국에서 환전은 잘 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이 시기에 중국에서 근현대식 동전이 처음 등장하였다. 1, 2, 5자오권 3종과 1위안짜리(1980~1986). 1, 2, 5펀 동전은 조금 더 나중에 등장하였으나 별로 쓰이지도 못하고 묻혔으며, 5차 런민비 출현 이후로 1자오 동전 또한 바로 회수에 들어갔다.

Renminbi 4th Series (1980~1998)
1角 타이완 원주민족[21], 만주족[22] 2角 투지아족(토가족)[23], 조선족[24] 5角 먀오족, 좡족[25]
Cny401.jpg Cny402.jpg Cny403.jpg
1元 둥족[26], 야오족 2元 이족, 위구르족 5元 티베트족[27], 후이족[28]
Cny404.jpg Cny406.jpg
만리장성 (팔달령) 남해남천일주(南海南天一柱, 하이난)[29] 장강삼협의 무협 (충칭시 우샨(巫山)[30])
10元 한족, 몽골족 50元 지식인, 농민, 노동자 100元 왼쪽부터 , , ,
Cny408.jpg Cny409.jpg
초모룽마 (에베레스트산)[31] 황하 징강산[32]
  • 角(자오/마오) 권종의 뒷면은 도안소재가 없다.
  • 기본적으로 발행 연도는 1980년(초판)이나, 1元/2元/50元/100元 4종류는 1990년 개정판(2판)을 찍어냈고, 1996년에는 1元권 새 개정판(3판)을 찍어냈다.
  • 100元권을 제외한 지폐의 인물들은 모두 일반인을 모델로 썼다. 다만 정확히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3차 런민비 (1960 ~ 1979)[편집 | 원본 편집]

1960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디자인만 변경하였다. 이후로도 보안 강화만을 목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졌다. 1979년 발행 중단, 2000년부터 효력이 상실되었다. 그래서 아~주 간혹가다가 악덕상인들이 외국인 엿먹으라고 거스름돈으로 낡아빠진 (새거는 당연히 원가보다 비싸게 팔려서 안 주고) 이걸 주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

3차 런민비는 주로 노동에 관련된 것이 많이 그려져 있어 공동체 노동을 강조하기 위해 도입한게 아니냐 하는 이야기도 있다 카더라.

Renminbi 3rd Series (1960~1979)
1角, 인민공사(협동농장) 가는 마을주민 2角, 교각 5角, 섬유공장에서 일하는 여성들
Cny302.jpg Cny303.jpg Cny304.jpg
매화 (+국장) 모란꽃 (+국장) 국화(菊花) (+국장(國章))
1元, 량준(梁军)[33] 2元, 선반공 5元, 주물공장 근로자 인민의 락을 보여준다
Cny306.jpg Cny307.jpg
양 목축 석유채유현장 광석채광현장
10元, 인민대회당에 모인 남녀 대의원들
천안문
  • 여담이지만, 2위안짜리가 10위안짜리보다 구경하기 훨씬 어렵다.
  • 1角 권종은 1962년 첫 발행 당시엔 인민들이 오른쪽으로 걸어가는 모습을 넣었다. 그러나 그 모습이 우경주의(우파정권)를 묘사하고 있다는 애니미즘 비난에 가까운 비판이 나왔고, 1966년 개정판을 내놓을 땐 약간 좌측으로 걸어가는 모습으로 변경하였다.

2차 런민비 (1953 ~ 1960)[편집 | 원본 편집]

1953년에 도입된 시리즈로, 1956년에 일부 디자인이 바뀐 것이 있다. 혼란스러운 1차 권종을 대체하여 통일된 시스템을 구축한 첫 시리즈로 구권과의 교환비율은 신 1위안 = 구 10,000위안이었다. 중국 특유의 3단합체 보조단위개념이 정착한 것도 이 시기.

종류는 지폐만 총 11가지. 각각 5/2/1단위의 위안(원)/자오(각)/펀(분)과 3위안권이 먼저 만들어졌고, 10위안이 나중에 추가되었다.(1957) 외국인이 본다면 상당히 혼란스러운 시스템이었겠지만...당시엔 완벽한 사회주의국가였기에 해당사항이 없다.

전반적으로 지폐 치고는 크기가 너무 제각각이다. 가장 작은 1펀의 경우는 가로 9cm, 세로 4.25cm인데 반해 가장 큰 10위안은 무려 가로 21cm, 세로 8.5cm(!).

1964년경에 위안화와 쟈오화 통용이 중지되었고 1999년에 완전히 폐기된다. 단, 3위안, 10위안은 너무 고액권이었던 탓인지 64년 중지조치 1달만에 폐기시켜버렸다. (다만 3차 런민비때 추가되지 않고 기존 도안을 계속 유지시킨 펀권은 2003년에 발행이 중지되고, 2007년에서야 폐지된다.) 때문에 희귀도는 극에 달해서 화폐상에 가면 엄청난 가격을 부르고, 3A~4A급 박물관에서도 귀하게 모셔질 정도이다.

Renminbi Yuan 2nd Series
CNY201.jpg CNY203.jpg CNY205.jpg
1分 트럭 2分 비행기 5分 배
CNY207.jpg CNY209.jpg
1角 트랙터 2角 기차 5角 댐
CNY211.jpg CNY213.jpg CNY215.jpg
1元 천안문 2元 바오타 산 3元
CNY217.jpg
5元 10元 노동자와 농부 (뒷면 공통)
  • 동전은 발행한 전적이 있다. 1953년 표기 발행으로 1分, 2分, 5分의 알루미늄화가 주조되어 1955년부터 풀렸다. 그러나 거의 유통되지 않았다.
  • 이 시기는 아직 사회주의 경제가 한창이던 때라 '양표(粮票)'라 하여 '돈'과는 별도로 유통되고 있었기에 큰 액수가 필요하지 않았다.
  • 여담이지만 이 시리즈의 펀(分)권의 경우도 위폐가 있었다(...) 환율가 1.8~9원짜리 가짜돈의 위엄 엄밀히 말하면 지폐 자체는 진품이 맞다. 그런데 구하기 쉬운 3차 런민비 발행 펀권(일련번호 로마자 3글자)에 숫자 6개를 더 때려박아서 2차 런민비 펀권(일련번호 로마자 3자 + 아라비아숫자 6자)처럼 보이게 만든 제품들이다. 굳이 이런짓을 하는 이유는 역시나 2차와 3차간의 거래시세 차액때문.

1차 런민비 (1949 ~ 1952)[편집 | 원본 편집]

첫 런민비로, 1949년 건국 직후에 발행된 것이다. 목적은 당연히 춘추전국급의 화폐를 통일시키는 것.

그런데 이 시리즈...아무래도 초판인지라 체계가 무진장 복잡하다. 수준이 어느 정도냐 하면, 사실 중국의 화폐도감 중에서도 문제집 두께만한 것으로 인민폐만 다루는 도감이 있는데, 책의 절반이 이 시리즈일 정도.

디자인으로 분류하면 62종류이며, 액면으로만 분류해도 무려 12종류이다.(1, 5, 10, 20, 50, 100, 200, 500, 1000, 5000, 10000, 50000) 더군다나 크기나 디자인이 일정하지 않고, 발행순서도 액면을 따라가지 않고 자비롭지 못하게 마구 섞여나와서... 여튼 이곳에 모두 정리하기엔 화면이 너무 좁다.

참고로 1차 런민비에는 동전이 없다.

태환권[편집 | 원본 편집]

사회주의체제로 인해 대외개방을 꺼려하던 중국이 1978년 개혁개방하기로 결정, 이듬해인 1979년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게 평가된 인민폐의 환율방어를 위해 내놓은 권종이다. 주로 방문 외국인들이 환전하면 받을 수 있었던 돈인데 어디까지나 외화와 바꾼 돈표라는 의미라서 외국인 뿐 아니라 인민들도 동등한 가치로의 사용은 가능했다. 주로 외제품을 구입했을때 썼던 돈이었다. 1994년까지 사용된 후 공식 폐기. 종류는 지폐만 7종류(100, 50, 10, 5, 1, 0.5, 0.1 ▶ 이 중 100위안과 50위안은 두 종류씩)이었고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참고로 태환권을 발행한 기관은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銀行, People's of Bank of China)이 아니라 중국은행(中国銀行, Bank of China)이다.

기념권[편집 | 원본 편집]

중화인민공화국 위안의 기념권
CNY001.jpg CNY007.jpg CNY009.jpg
Ұ50 (1999)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50주년
Ұ100 (2000 (용 폴리머))
새천년 기념
Ұ100 (2015)
항공산업 기념 100위안
Ұ50 (2018)
중국인민은행 70주년 기념
기타) 올림픽 개최 기념권 (중국은행 홍콩/마카오 지사와 동시 발행)[34]
※ Ұ10 (2008년) :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기념권 (1천만장)[35]
※ Ұ20 (2022년)[36]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기념권, 면 소재 (2억장)
※ Ұ20 (2022년)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기념권, 폴리머 소재 (2억장)

위 표에 게시되지 않은 '기념지폐'라 발행하고 있는 것들은 모두 무허가 사설로 만들어낸 판타지 노트(=장난감 돈)으로, 상당수가 흔히 말하는 짝퉁이나 모조품의 수준에도 미치지 않는 조악한 인쇄 품질을 자랑한다. 과거 이 분야(사설 발행권)의 갑이던 미국조차 똘기 광기 부문에서는 한 수 접어야 할 정도.

초창기 발행된 기념권은 배포가 및 액면가를 훨씬 뛰어넘는 고가로 거래되는데, 특히 베이징 하계 올림픽 기념권의 경우는 약 1천만장 발행[37]임에도 불구하고 교환매수에 큰 제약을 걸지 않아서, 발행 직후 부자들의 매점매석이 발생하여 원가 1,800원짜리(발행 당시 환율)가 거의 백여만 원 수준까지 올라간 기염을 토하고 있다.

그 때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인지, 2010년대 이후로 발행된 기념권은 다른 나라의 기념권과는 궤를 달리하는 분량[38]으로 찍어내고 있고, 그 덕택에(?) 쉽사리 가격대가 올라가지 못하고 있다. 2018년 기념권은 발행량이 1억 2천만장이고, 2021년 동계 올림픽 기념권은 2장 한 세트 구성으로 무려 2억 세트(합계 4억장)나 찍어냈다(...)

이야기거리[편집 | 원본 편집]

원? 위안?[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가 모어인 경우 중국 위안을 흔히 "원"이라 부르는 경향이 있다. 본래 중국어 발음 자체가 "위안"보다는 "위엔"에 가까운 쪽이고, 한자로 표기했을때 한국어로 '원'이라 읽히면서도 한국과 북한 모두 자국통화가 원이기에 그 익숙함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다만 한국 원 혹은 조선 원과 혼동하는 일이 많아서 "중국돈 XX원"과 같은 표현방식으로 사용한다. 몰론 정착민 및 중국 조선족은 그냥 "원"이라 칭하다가 한국 원을 한국돈 XX원이라 부른다.

반대로 중국어로 한국 원을 지칭할 경우엔 한위엔(韩元, hányuán)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예로 한국돈 1천원은 一千韩元(이치엔한위엔). 다만 이는 일본 엔화를 르위엔(日元), 미국 달러화를 메이위엔(美元)이라 칭하는 것처럼 그냥 외화단위를 모조리 위엔(元)으로 통일시키는 습관 때문이다.

지폐와 동전[편집 | 원본 편집]

5차 런민비를 발행하는 현 시점에서 1위안권은 동전과 지폐가 동시에 유통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다소 옅어지는 감이 있긴 하다만 북방 및 내륙으로 갈 수록 지폐가, 남방 및 해안으로 갈수록 동전이 잘 유통된다는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상하이시, 랴오닝성, 장쑤성, 저장성, 선전시[39]가 첫번째 동전 집중유통 시범지역이었다는 점, 동전 제조공장이 남방에 몰려있다는 점, 북방에선 동전을 쥐고있으면 차갑기때문에 사람들이 기피한다는 점, 동전을 내륙지역까지 운반하기엔 힘들다는 점 등이 있다. 1위안 지폐는 유독 훼손률이 높아 동전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에서는 1위안 동전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지만 "남방 사람이 북방에서 동전을 냈다가 거절당했다" 혹은 "북방 사람이 남방에서 지폐를 냈다가 외계인 취급을 받았다"같은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것으로 보인다.

더... 더럽...[편집 | 원본 편집]

어쩌다 이 지경이 되는 건지 궁금할 정도로 너덜너덜한 지폐가 간간히 눈에 띈다. 그냥 단순히 구겨진 것도 아니고 마치 쓰레기통에서 뒤져 건져낸 듯한 똥폐도 간간히 보이고, 어떤건 잘못 건드렸다간 부욱 찢어질 지도 모를 위태위태한 돈도 멀쩡히 돌아다닌다. 1위안 같은 푼돈이라면 새돈일 확률과 똥폐일 확률이 거의 반반, 20위안이나 50위안 같은 고액권이라도 예외가 아니라서 서너장에 한장꼴로 무시무시한 녀석이 나온다. 이런 폐급돈의 경우는 위폐방지요소들도 무사하지 않아서 아무리 만져보든 빛에 비춰보든 위폐와 거의 구별이 되지 않아 애를 먹게된다. 왜 이렇게 험한 돈들이 돌아다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소액전일수록 험한 곳에 쓰이는 일이 많기 때문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예를 들면 많은 유럽/미국인들이 분수에 동전을 던지듯 중국인들도 고인 물바닥에 돈을 던져 재물복을 빌기도 하는데 그때 희생(...)되는 것들이 주로 소액전과 1위안짜리이다.

위폐 문제의 부작용[편집 | 원본 편집]

특징 부분에서도 언급하였듯, 중국 위안화 현찰은 위폐 비중이 굉장히 높다. 특히나 나날이 정교해지는 위폐 기술력과 귀천(?)을 가리지 않는 물량공세[40] 때문에 수집계에게도 상당한 골치를 때리고 있는데, 일부 전매행위[41]와 더불어서 중국 화폐 수집에 쉽게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사실상 통용이 중단된 구권의 경우는 아예 눈치 보지 않고 가품 시장이 활개를 친다. 그냥 존재 자체가 가격대 높은편인 2차(元단위 전체) 및 3차(2元, 5元) 권종들은 아예 다발째 만들어서 눈 낮은 전세계 호갱들을 모집하고 있고, 그나마 눈 높은 호갱에겐 어떻게든 가격을 높여 받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떨어지는 종류의 "진품"에 약품 및 칼질 가공을 하여 시세가 높은 종류의 "가품(?)"으로 재생산하여 파는 것까지도 나왔다. 때문에 중국화폐 수집계는 나름 시장성이 큰데도 불구하고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라, 소위 '그들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중에 있다.

문자[편집 | 원본 편집]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 위안화는 1960년 발행권부터 "중국인민은행" 부분을 한문-라틴 문자 말고도 몽골 문자(몽골어), 티베트 문자(티베트어), 아랍 문자(위구르어), 그리고 노장 문자(老莊文, 좡어) 표기를 병기하고 있다. 이 중 좡어는 1999년(5차 시리즈)부터 신장 문자(新莊文)[42]로 바뀌었다.

기타 트리비아[편집 | 원본 편집]

  • 2015년 5월, 대륙의 스님께서 1角 동전 22만 개(22000위안, 한화로 400만 원 미만)로 온수기 16대를 구매한 일화가 있다. 사찰을 방문한 사람들이 시주한 동전으로, 구매 전에 미리 전화를 걸어서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진행한 것이라 가게측도 볼멘소리는 내지 않았다. 다음엔 에어컨을 사야겠다고 말하기 전까지는 말이지…….
  • 2015년 11월, 이번에도 동전으로 집을 샀다는 소식이 쓰촨 성과 산둥 성에서 각각 보도되었다. 쓰촨 성에서는 1위안짜리 동전 무더기(총 43500위안)를 세는 데 3시간이 걸렸고, 산둥 성에서는 1위안짜리 동전 및 5자오(0.5위안)짜리 지폐 무더기를 가져왔는데 하루 온종일을 돈만 세었는데도 1/10 정도인 4만 위안 정도밖에 세지 못했다고 한다(…).
  • 현행권은 아니지만 저장 성의 어느 낡은 집에서는 위안스카이 시절 동전이 무더기로 발굴되어 작은 마을이 한때 난리가 났었다. 중화민국 극초기의 동전으로 굉장한 희귀품이라 그 집의 원 주인과 새 주인은 물론 촌 위원회까지 달려들어 소유권을 놓고 법적 분쟁이 벌어졌는데, 소유권 입증에 실패하여 판례에 따라 결국 국고 회수되고 말았다(…).
  • 2020년 2월,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의 전 중국 확산 요인 중 하나로 손때가 많이 타는 지폐가 지목되어, 후베이성 내 위험지역 (특히 발원지인 우한)에서 나오는 지폐들은 모조리 파쇄해버리는 결정을 내렸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당분간 현금 유통을 자제하고 전자결제를 해달라고 당부하였다.

각주

  1. 이 기준은 중국 본토 시점으로 했을 기준이고, 홍콩과 마카오 현지 및 그 외 대외적으로는 비공식으로 간주한다. 대만(타이완)은 중국 입장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대만 입장에서는 애당초 외국 통화로 취급하고 있으니 서로가 자연스레 언급하지 않는다.
  2. 내외국인 가리지 않고 은행 텔러들 마저 종종 CNY와 RMB 표기를 혼동하곤 한다.
  3. 해외령 내에서 유통되는 중국 위안을 위한 코드로,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함.
  4. 일본 엔(JP¥), 타이완 달러(TW¥)와 구분할 때 영문을 붙인다.
  5. 상업은행 성격의 중국은행(中国银行, Bank of China)과 전혀 다른 국책은행이다. 다만 중국은행도 중국 위안화의 태환권을 발행한 적이 있다. 후술.
  6. 지금의 타이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국민당이 대륙을 통치하던 시절의 중화민국을 말한다. 당시에 발행한 통화는 체계 자체가 워낙 혼잡해서, 일률적 교환비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7. 단, 지역차가 있으니 주의. 정착중인 한인 비중이 높을수록 유리함은 당연하다.
  8. 만일 1위안짜리 버스를 타고 5위안을 내버렸다면 뒤따라오는 4명에게서 회수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이는 현지인들도 마찬가지라 잔돈이 없어서 같이 지불하는 걸로 하고 대신 잔액을 달라고 상대방에게 부탁하는 경우도 있다.
  9. 절대 사기칠 일이 없는 매표소라던가 편의점이라던가 대형마트라던가. 결론은 직접적으로 돈 받는 사람이 정규급여 노동자인 곳으로 가면 안전하다.
  10. 반면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홍콩/마카오는 거의 변함없이 7.7 ~ 7.9元/$ 정도에서 머무르고 있다.
  11. 누가 먼저 사용했는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시대적 정황상 중국(중화민국 시절)이 먼저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12. 참고로 대만에서도 간혹 이 기호를 사용한다. 때문에 단서 없이 덜렁 사진만 찍어 보여주면 중국 가격표인지, 대만 가격표인지, 일본 가격표인지 혼동하는 경우도 흔하다. 일반적으로 미묘한 액면단위 차이로 구분한다.
  13. 중국 지폐에는 대놓고 이 기호를 표기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실 은선(隱線)부분에 새겨져 있다.
  14. 하지만 실제 위폐의 비중이 어느정도인지는 알 수 없다. 어디까지나 체감상에서의 이야기일 뿐이다.
  15. 암호화만 풀면, 전자화폐에 연계된 금융정보를 빠르게 추적할 수 있다. 즉, 국가 차원에서의 자산 감시가 가능하다.
  16. 중국돈이나 환율에 관한 뉴스가 뜨면 항상 저것이 다발로 쌓이거나 계수기에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니까...
  17. 어느 유학생의 에 의하면 중국인과 대화하다가 '위폐가 한 50%는 돌아다니고 있지 않을까?'라는 말을 듣자 중국인이 '겨우?'라고 하며 의아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18. 실제 태산 정상에 새겨넣은 글귀로, '앙두천외 오악독존(昻頭天外 五嶽獨尊)'이라 쓰여있다. 이는 '고개를 들어봐도 하늘 뿐이라, 험준한 다섯 산(=오악) 중에서도 (태산을) 따라올 것이 없다.'라는 뜻.
  19. 전에도 그러더니만 인민은행 측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 추정만 무성하다.
  20. 개정판 또한 인쇄연도와 배포연도가 상이하다.
  21. 국부천대 이후로 유입된 대만 이주민족과는 다르지만, 원류로 따지자면 같은 조상이라 해도 무리는 아니라고 한다. 자세하게 아는 분 있으면 수정 바람.
  22. 인구수로 보면 중국에서 3번째로 많은 민족. 상식이지만, 청나라 당시에는 지배자로서 군림하던 민족이다.
  23. 본명 黃其萍, 1959년생이다. 2010년대 시점에선 후난성 농업청부장으로 지내고 있다. 처음에 이 지폐가 소개되었을 땐(1980년 5월 10일) 중앙당국의 실수로 부이족(布依-)이라 소개했었고, 이게 정정되기까지 무려 30년이나 걸렸다(...)
  24. 본명은 소춘희, 1963년생이다. 당시에는 연변조선족자치구박물관에서 일하던 17세(!) 평범한 소녀로 주위에선 그녀가 돈의 주인공인줄 몰랐다고 한다. 2010년대 시점에선 북경대학에서 외국어 교육센터를 운영중.
  25. 한족에 이어 중국에서 비중이 가장 큰 소수민족.
  26. 본명, 石奶引
  27. 감출 장자를 써서 짱족(藏族, '시짱자치구'의 그 '짱'.)이라고도 한다. 드물게 티베트의 음차법을 쓴 '토번인(吐蕃人)'이라고도 한다.
  28. 回族, 별칭은 돌궐족. 이슬람을 믿는 중앙아시아 계열 민족인데, 중국에서도 회족이라 하면 마치 외국인 보듯 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한족 문화에 동화되지 않았으며 (※중공당의 회족탄압 원인이기도 하다.), 독자적인 소셜 커뮤니티도 있다. 대체적인 인상은 뭔가 둥글사각진 모자를 쓰고 다니며, 매일 다섯번 기도하고, 양꼬치를 맥주 없이 구워먹는 정도인 모양. 위구르족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엄연히 다른 민족이다.
  29. 관련 전설에 의하면, 하라는 일은 안하고 인간계에 자꾸 놀러다니는 비행선녀(?)를 벌하고자 돌기둥으로 만들어 번개로 내리쳐 둘로 쪼개고는 하나는 바다끝에, 하나는 하늘끝에 내리박았다고 한다. 그 중 바다측의 것.
  30. 카오위, 마오차이(마라샹궈)의 본고장. 장강 상류에 있다.
  31. 티베트어로 '어머니 언덕'이라는 뜻. 중국어 표기는 이 단어를 그대로 음차하여 珠穆郞瑪峰인데 구슬마노가 사이좋게 빛나는 봉우리라는 뜻이 된다.
  32. 중국군(중공군)의 전신인 홍군의 탄생지 (1927년)
  33. 중국 최초 여성 트랙터 운전자. 1930년 헤이룽장성 출신이며, 1950년에 최초로 운전기사 자격증 타이틀을 국가로부터 받아냈다. 모범근로자의 대표로도 선정되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가 직접 그녀를 만나기도 한 스타덤으로 순식간에 간부에 준하는 자리까지 올랐고, 그대로 일반인(?) 화폐 모델이 되었다.
  34. 단, 도안(모양)은 모두 제각기 다르다.
  35. 카자흐 1만 텡게 기념권과 함께, 색변조 금속잉크(SPARK®ink)가 처음 도입된 권종이다.
  36. 2022년 2월에 개최해서 발행년도는 2022년으로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2021년 12월 중후반에 출시/배포하였다.
  37. 참고로 한국 첫 기념지폐인 2천원권이 약 230만장 발행이다.
  38. 유통목적이 아닌 기념지폐는 대개 약 5만장 정도, 많아도 100만~1,000만장이 흔하다.
  39. 이 중 랴오닝성만 북방 지역이고 나머지 네 곳은 남방 해안 지역이다.
  40. 간단히 비유해서 '천원짜리(!)'조차 가짜가 많아서 새로 들여올 때마다 진품명품 BGM깔고 감정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41. 중국 화폐의 시세변화는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
  42. 좡어를 표기하는 기존 문자 체계(노장문)는 라틴 문자 말고도 다른 문자에서 차용한 글자를 섞어서 썼지만, 디지털화에 불리하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라틴 문자만 쓰는 쪽으로 바뀌었고, 이를 '신장문'으로 구분짓고 있다. 예를 들면 노장문은 「Bouч bouч ma dəŋƨ laзƃɯn couƅ miƨ cɯyouƨ」 처럼 쓰지만, 신장문은 「Boux boux ma daengz lajmbwn couh miz cwyouz」 처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