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와유즈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중인 주와유즈

주와유즈(Joyeuse)는 프랑크 왕국 카롤링거 왕조의 왕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의 이다. 달리 주와이외즈로도 표기한다.

'주와유즈'는 프랑스어환희를 뜻하며, 가장 귀중한 보물을 뜻하는 '주와요(Joyau)'와도 발음이 유사하다. 풀이하면 환희를 가져다 주는 보검이라는 의미가 된다.[1]

전설[편집 | 원본 편집]

11세기에 쓰여진 무훈시 《롤랑의 노래》에서는 주와유즈의 파멀(Pommel)[2]성창의 조각이 들어 있으며, 하루에 서른 번 빛을 달리 한다고 서술하고 있다. 또한 프랑크 군대의 전투 함성인 '몽주와(Montjoie)'[3]의 유래가 주와유즈라는 소개도 있다.[4]

그(카롤루스 대제)의 보검 주와유즈 또한 그대로 허리에 차고 있다. 주와유즈와 같은 보검은 일찍이 없었다. 그 보검은 하루에 색깔이 서른 번이나 변한다.

십자가 위에 계신 우리의 주님에게 상처를 입힌 창이 어찌 되었는지,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즉 샤를 황제(카롤루스 대제)가 주님의 은총으로 그 창날 끝을 얻게 되었고, 그것을 자기의 보검 황금 두구(頭球)에 박아 넣은 것이다.

그러한 영광과 특이한 은총으로 말미암아, 황제의 보검은 주와유즈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 롤랑의 노래[5]

전설에 따르면 주와유즈는 카롤루스 대제의 열두 기사롤랑의 검 뒤랑달오지에 르 다노아의 검 코르탱과 동일한 재료로 벼려졌으며, 판본에 따라서는 천사가 카롤루스 대제에게 내려준 검이라는 서술도 있다.

사라센의 사령관 발리강은 주와유즈의 검명에 뒤쳐지지 않도록 자신의 검을 '고귀한', '귀중한'이라는 뜻의 프레시유즈(Précieuse)라고 명명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주와유즈는 프랑스 역대 국왕의 성물이기도 했다.

카롤루스 대제의 주와유즈라고 '인정받은' 검이 하나 있는데, 이 검은 대대로 프랑스 왕의 대관식에 사용된 (영국에서의 커타나처럼) 왕권을 상징하는 검으로써 자리매김했다.

1270년 용맹왕 필리프 3세의 대관식에 쓰인 사례가 최초이고, 1824년 샤를 10세의 대관식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대관식에 쓰이지 않았다고 하며, 그 외에도 역대 프랑스 국왕들의 초상화에서 주와유즈를 찾아볼 수 있다. 최소 1505년 즈음부터 생 드니 대성당에서 보관되어 왔으나 1793년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오늘날까지 보존된 '이 주와유즈'는 수세기 동안 대관식에 쓰이는 검으로써 쓰여왔는데, 이 검은 오케쇼트가 정의한 도검 유형 중 10세기의 것인 열두 번째[6]에 속하는 형태이다.

가이 레이킹[7]이 이 검의 제작 시기를 13세기 초로 추정한데 반해, 마틴 콘웨이[8]는 이 검이 카롤루스 대제가 쓰던 진품이라는 가능성 하에 9세기 초 경에 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혹자는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대관식에서 이 검을 지참할 때 진품과 모조품이 맞바꿔졌다는 주장까지 제기했을 정도로 제설이 많은 검이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 공식 사이트에서는 "파멀은 10세기에서 11세기, 크로스가드는 12세기, 손잡이는 13세기에 제작되었다."고 명시하고 있다. 카롤루스 대제가 8세기~9세기 사람인 만큼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주와유즈는 모조품일 확률이 높으나, 이 검이 약 천 년 가까이 내려온 유서 깊은 검임은 틀림 없는 사실이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프랑스 남부 론알프 주[9] 아르데슈 현[10]에 주와유즈라는 코뮌[11]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전쟁 중 유실된 주와유즈를 찾아온 기사에게 카롤루스 대제가 감사의 의미로 영지를 하사했는데, 그 영지의 이름을 검명인 주와유즈에서 따온 것이 유래라고 한다.
  • 빈 미술사 박물관 왕실 보물관에서 소장 중인 이스텐 카르자(Isten kardja; 일명 '아틸라의 검')가 한때 주와유즈로 알려진 적이 있다.

대중문화 속의 주와유즈[편집 | 원본 편집]

  • 게임 《Fate/EXTELLA LINK》에 등장하는 서번트 샤를마뉴의 보구로 나온다. 진명은 『왕용을 보여라, 널리 세상을 살피는 열두 휘검(주와유즈 오르드르)』.

각주

  1. 중세 문학에서는 유명한 왕이나 기사의 검에 고유 명칭을 붙이는 일이 흔하다. (예: 뒤랑달, 오토클레르, 엑스칼리버 등)
  2. 도검류에서 칼자루 끝에 달려 있는 부품. 손에서 칼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며, 보조적으로는 장식이나 무게추 역할도 한다.
  3. 대충 비유하면 러시아어의 우라(Ура)! 같은 구호로 생각하면 쉽다.
  4. mund-gawi(조국 수호), 또는 mont de la joie(기쁨의 산)이 '몽주와'의 어원이라는 설도 있지만, 여기서는 신에 대한 복종과 감사, 나아가 신의 도움을 청하는 종교적 정서로 해석하고 있다.
  5. 이형식 옮김, 「롤랑전」, 궁리, 2005년, 146쪽
  6. 칼날이 끝으로 갈 수록 점점 송곳처럼 뾰족해져, 찌르기 공격의 위력을 올린 반면 절삭력 또한 유지시킨 형태.
  7. Sir Guy Francis Laking(1875.10.21.~1919.11.22.). 영국의 미술 사학가.
  8. Sir Martin Conway(1856.4.12.~1937.4.19.). 영국의 정치가, 산악가, 예술 평론가, 지도 제작가.
  9. 레지옹(Region): 프랑스 공화국에서 자치권을 지닌 최상위 행정구역 단위.
  10. 데파르망(Department): 프랑스 공화국의 행정구역 단위
  11. Commune. 프랑스 공화국의 가장 낮은 행정구역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