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5월 23일 (목) 15:40 판 (→‎역사)

주민등록(住民登錄)은 국민의 거소신고를 의무화한 대한민국의 사회 제도로 행정편의·치안유지에 큰 기여를 하나, 지문 등의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으로 경찰국가화라는 양날의 검을 가지고 있다.

역사

1942년 조선총독부의 "조선기류령"에 의해 거소신고제도가 시작되었다. 아직 농업 시대에 머물러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이 출생지(본적)에 머물러 있었지만, 차츰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이촌향도가 발생해 본적지에서 떠난 사람들(기류자)은 호적 제도로 추적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기류부"를 작성했다.

지금의 주민등록법은 1962년 처음 제정되었다. 세대별 주민등록표를 작성하여 관내 주민을 모두 목록화했다. 통일된 신분증이 아니라 시도별 신분증(시·도민증)을 발급했으며 주민등록번호는 아직 없었다.

1968년부터 시도민증이 폐지되고 통합 주민등록증이 발행되었으며 주민등록번호(12자리)가 부여되었다. 30일 이상 거주하는 경우 주민등록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했으며 병역사항 및 특수기술소지 등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주민등록증의 신분증 공인은 1970년부터였으며 그때부터 발급도 의무화(만18세)되었다.

1975년에 현대 주민등록법의 모습을 갖추는 데, 주민등록번호가 13자리로 조정되었으며 주민등록증 발급 나이가 만17세로 내려왔다.

1989년부터 시작한 행정전산화를 통해 주민등록표가 전산화되면서 1991년에 전출신고를 폐지하고 전입신고만으로 모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했다. 1997년에는 전자주민등록증(주민카드) 규격을 제정해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도입하고자 했으나 여론의 반대를 이기지 못하고 1999년에 전자카드를 폐지하고 지금의 주민등록증을 발급하기 시작했다.

상세

  • 주민등록번호
    각 국민마다 1개씩 할당하는 일련번호로, 생년월일, 성별, 출생지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 주민등록표(등·초본)
    세대별·개인별 주민등록사항을 기록해둔 표로 성명, 사진, 주민등록번호, 병역, 특수기술·면허, 전입출 이력 등이 기록된다. 이것을 동사무소에서 열람할 때 세대별 주민등록표를 통째로 열람하는 것이 "등본", 개인별 등록사항을 발췌하여 열람하는 것이 "초본"이다.

문제점

  • 지문날인
    주민등록증 최초발급시 날인하는 10개 지문은 주민등록표에 첨부하는 게 아니라 모두 경찰청으로 보내진다. 해외사법기관에서 관리하는 지문날인 데이터베이스는 대개 범죄자를 중심으로 편성된다는 걸 감안했을 때 전국민을 잠재적인 범죄자로 간주하고 있다는 이야기와 별반 다르지 않은 셈이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