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가락: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생활용품을(를) 삭제함, 분류:식기을(를) 추가함)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젓가락 (놀이)|식사 도구|놀이}}
{{다른 뜻|젓가락 (놀이)|식사 도구|놀이}}
 
[[파일:Chopsticks on a dish.jpg|300px||오른쪽|썸네일|접시에 올린 젓가락.]]
[[영어]] : Chopsticks (찹스틱) / [[일본어]] : 箸(はし, 하시) / [[중국어]] : 筷子(Kua4izi, 콰이즈)
[[영어]] : Chopsticks (찹스틱) / [[일본어]] : 箸(はし, 하시) / [[중국어]] : 筷子(Kua4izi, 콰이즈)


== 개요 ==
== 개요 ==
막대 두 개로 이루어진 식사 도구를 말한다. 대부분은 금속<ref>금제(?!), 은제, 동제, 플라스틱제도 있지만 대부분 스테인리스철제이다. 무게 때문에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ref>으로 되어있지만 일회용 나무 젓가락이 나오면서 <del>사람들이 쓰레기를 많이 버리기 시작하였다.</del>먹고 바로 버릴수 있게 되었다.
젓가락은 막대 두 개로 이루어진 [[식기]](食器) 및 조리기구이다. 모양새가 꼬챙이(꼬지)와 유사한데, 젓가락은 물체를 찌르는게 목적이 아니므로, 포크와는 달리 끝이 뭉툭하여 입에 닿거나 속으로 넣어도 상처가 잘 나지 않게 만든다.
 
한국에서는 옛부터 금속<ref>금제(?!), 은제, 동제(놋쇠제 포함), 플라스틱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다. 무게 때문에 다른 소재에 부식 방지 도금을 하는 방식도 제법 있는데, 험하게 다뤄지는 특성상 보편적이지는 않다.</ref>으로 된 것이 보편적이지만, 이는 젓가락 문화권에서도 꽤 드문 케이스이다. 젓가락의 탄생과정을 고려한다면 한국에서도 다른 나라들처럼 나무로 만들어 써왔을 가능성이 큰데, 언제부터인가 금속으로 바뀌어 계속 전래되었다.


맞춤법을 '''젖가락'''으로 잘못 아는 사람도 있다. 약칭은 한자어 저(箸)를 사용하며, "수저"의 그 "저"이다. 사실 젓가락이라는 말 자체가 한자어 저에 고유어 가락을 합성한 단어. <ref>다만 숟가락은 시(匙)라고 읽는다. 구전 도중에 발음변화가 일어난 모양. <s>싯가락</s></ref>
숟가락과 함께 맞춤법을 틀리기 쉬운 단어인데, 가장 많은 오류는 '''젖가락'''(...) <s>직접 소리내어 발음해보면, 분명 아니다 싶을거다.</s> 약칭은 한자어 저(箸)를 사용하며, "수저"의 그 "저"이다. 사실 젓가락이라는 말 자체가 한자어 저에 고유어 가락을 합성한 단어. <ref>다만 숟가락은 시(匙)라고 읽는다. 구전 도중에 발음변화가 일어난 모양. <s>싯가락</s></ref>


== 이야기거리 ==
== 이야기거리 ==
*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주로 금속제 젓가락을 사용하였는데 다른 젓가락 문화권에서도 꽤 드문 케이스이다.
* 일본과 중국/대만에서는 주로 나무로 만든 젓가락을 사용한다. 다만 두 젓가락은 모양새가 완전히 다른데 중국/대만 젓가락은 끝이 뭉툭하고 두터우며 길쭉한 편이고, 일본 젓가락은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다소 짧은 편이다. (한국 젓가락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짧다.) 잡는 모양새도 달라서 중국/대만 젓가락은 위쪽 끝부분을, 일본 젓가락은 중간 가까이를 잡아서 사용한다. 이런 차이는 음식문화의 차이때문에 일어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다.
* 일본과 중국/대만에서는 주로 나무로 만든 젓가락을 사용한다. 다만 두 젓가락은 모양새가 완전히 다른데 중국/대만 젓가락은 끝이 뭉툭하고 두터우며 길쭉한 편이고, 일본 젓가락은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다소 짧은 편이다. (한국 젓가락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짧다.) 잡는 모양새도 달라서 중국/대만 젓가락은 위쪽 끝부분을, 일본 젓가락은 중간 가까이를 잡아서 사용한다. 이런 차이는 음식문화의 차이때문에 일어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다.
*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지에서도 젓가락을 사용하여 식사한다. 단, 이쪽은 전적으로 중국의 영향이라 나무젓가락을 쓰고, 메인 식기는 금속제 숟가락이다.
*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지에서도 젓가락을 사용하여 식사한다. 단, 이쪽은 전적으로 중국의 영향이라 나무젓가락을 쓰고, 메인 식기는 금속제 숟가락이다. 단, 중국의 영향이 더 큰 북부 베트남의 경우는 중국식 목제 젓가락을 주로 사용한다.
* 어린이용 젓가락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험하게 물어도 금속제에 비해서 치아손상이 덜하고, 목제에 비해 내구력이 좋으며 무엇보다 날카롭지가 않고 소독 또한 용이하기 때문.
 
* 1회용 젓가락은 나무로 만들기 때문에 흔히 나무젓가락이라 부른다. 일본어로는 와리바시(割箸)라고 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둘로 쪼개는 모양새에서 유래.
* 외국인이 사용하기 어려워한다고 생각하며, '''진짜 맞는 이야기다.''' 미리 젓가락 제대로 잡는 방법을 따로 학습해야 할 정도로, 식기 중에선 다루기가 가장 까다롭다. 특히 한국식 금속제 젓가락은 목제에 비해 잘 미끄러진다는 난점까지 있어서 난이도가 최상급이다.<ref>괜히 서양권에 팔리는 컵라면에 포크를 넣어주는게 아니다.</ref> 하지만 반대로 세척에 있어서는 가장 편리하고 간단한 식기이며, 금속제가 특히나 다루기 쉽다(...)
* 드럼스틱과 모양이 비슷하다 보니 이걸로 장난삼아 드럼을 두드리는 시늉을 하거나 술자리에서 노래를 부르고 책상으로 장단을 맞추며 두드리는 경우가 있다. <s>[https://www.youtube.com/watch?v=8RIPOR-ASVY 예를 들어 원더걸스 선미...]</s>


* 1회용 젓가락은 나무로 만들기 때문에 흔히 나무젓가락이라 부른다. 일본어로는 와리바시(割箸)라고 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둘로 쪼개는 모양새에서 유래. 이것 덕택에 식기를 따로 챙기고 다닐 수고는 덜었으나, 쓸데없는 나무(목재) 소모와 생활쓰레기가 증가하는 부작용이 생겨서 도로 젓가락 지참을 생활화하자는 [[녹색 운동]]이 펼쳐지기도 했다.
* 1회용 나무젓가락의 소재가 거의 목재 수준이기에, 이를 이용한 공예기법 또한 있다. 그 결과물에는 아이들이 공작시간에 만드는 수준부터, 원 재질이 정녕 젓가락이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정교한 것까지 있다.
* 어린이용 젓가락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험하게 물어도 금속제에 비해서 치아손상이 덜하고, 목제에 비해 내구력이 좋으며, 무엇보다 날카롭지가 않고 소독 또한 용이하기 때문.
* 금속제 젓가락은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아무리 뭉툭하더라도 일격 찌르기 정도는 가능해서 흉기로도 쓸 수 있다. 때문에 교도소 등지에서는 사고 방지를 위해 유아용으로 쓰이는 플라스틱제로 지급하거나, 끝이 포크처럼 갈린 숟가락으로 대신 지급한다.
{{각주}}
[[분류:식기]]
[[분류:식기]]
{{각주}}

2018년 3월 23일 (금) 19:00 판

접시에 올린 젓가락.

영어 : Chopsticks (찹스틱) / 일본어 : 箸(はし, 하시) / 중국어 : 筷子(Kua4izi, 콰이즈)

개요

젓가락은 막대 두 개로 이루어진 식기(食器) 및 조리기구이다. 모양새가 꼬챙이(꼬지)와 유사한데, 젓가락은 물체를 찌르는게 목적이 아니므로, 포크와는 달리 끝이 뭉툭하여 입에 닿거나 속으로 넣어도 상처가 잘 나지 않게 만든다.

한국에서는 옛부터 금속[1]으로 된 것이 보편적이지만, 이는 젓가락 문화권에서도 꽤 드문 케이스이다. 젓가락의 탄생과정을 고려한다면 한국에서도 다른 나라들처럼 나무로 만들어 써왔을 가능성이 큰데, 언제부터인가 금속으로 바뀌어 계속 전래되었다.

숟가락과 함께 맞춤법을 틀리기 쉬운 단어인데, 가장 많은 오류는 젖가락(...) 직접 소리내어 발음해보면, 분명 아니다 싶을거다. 약칭은 한자어 저(箸)를 사용하며, "수저"의 그 "저"이다. 사실 젓가락이라는 말 자체가 한자어 저에 고유어 가락을 합성한 단어. [2]

이야기거리

  • 일본과 중국/대만에서는 주로 나무로 만든 젓가락을 사용한다. 다만 두 젓가락은 모양새가 완전히 다른데 중국/대만 젓가락은 끝이 뭉툭하고 두터우며 길쭉한 편이고, 일본 젓가락은 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다소 짧은 편이다. (한국 젓가락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짧다.) 잡는 모양새도 달라서 중국/대만 젓가락은 위쪽 끝부분을, 일본 젓가락은 중간 가까이를 잡아서 사용한다. 이런 차이는 음식문화의 차이때문에 일어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다.
  •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지에서도 젓가락을 사용하여 식사한다. 단, 이쪽은 전적으로 중국의 영향이라 나무젓가락을 쓰고, 메인 식기는 금속제 숟가락이다. 단, 중국의 영향이 더 큰 북부 베트남의 경우는 중국식 목제 젓가락을 주로 사용한다.
  • 외국인이 사용하기 어려워한다고 생각하며, 진짜 맞는 이야기다. 미리 젓가락 제대로 잡는 방법을 따로 학습해야 할 정도로, 식기 중에선 다루기가 가장 까다롭다. 특히 한국식 금속제 젓가락은 목제에 비해 잘 미끄러진다는 난점까지 있어서 난이도가 최상급이다.[3] 하지만 반대로 세척에 있어서는 가장 편리하고 간단한 식기이며, 금속제가 특히나 다루기 쉽다(...)
  • 드럼스틱과 모양이 비슷하다 보니 이걸로 장난삼아 드럼을 두드리는 시늉을 하거나 술자리에서 노래를 부르고 책상으로 장단을 맞추며 두드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원더걸스 선미...
  • 1회용 젓가락은 나무로 만들기 때문에 흔히 나무젓가락이라 부른다. 일본어로는 와리바시(割箸)라고 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둘로 쪼개는 모양새에서 유래. 이것 덕택에 식기를 따로 챙기고 다닐 수고는 덜었으나, 쓸데없는 나무(목재) 소모와 생활쓰레기가 증가하는 부작용이 생겨서 도로 젓가락 지참을 생활화하자는 녹색 운동이 펼쳐지기도 했다.
  • 1회용 나무젓가락의 소재가 거의 목재 수준이기에, 이를 이용한 공예기법 또한 있다. 그 결과물에는 아이들이 공작시간에 만드는 수준부터, 원 재질이 정녕 젓가락이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정교한 것까지 있다.
  • 어린이용 젓가락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험하게 물어도 금속제에 비해서 치아손상이 덜하고, 목제에 비해 내구력이 좋으며, 무엇보다 날카롭지가 않고 소독 또한 용이하기 때문.
  • 금속제 젓가락은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아무리 뭉툭하더라도 일격 찌르기 정도는 가능해서 흉기로도 쓸 수 있다. 때문에 교도소 등지에서는 사고 방지를 위해 유아용으로 쓰이는 플라스틱제로 지급하거나, 끝이 포크처럼 갈린 숟가락으로 대신 지급한다.

각주

  1. 금제(?!), 은제, 동제(놋쇠제 포함), 플라스틱제도 있지만, 대부분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다. 무게 때문에 다른 소재에 부식 방지 도금을 하는 방식도 제법 있는데, 험하게 다뤄지는 특성상 보편적이지는 않다.
  2. 다만 숟가락은 시(匙)라고 읽는다. 구전 도중에 발음변화가 일어난 모양. 싯가락
  3. 괜히 서양권에 팔리는 컵라면에 포크를 넣어주는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