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 가능 소수

절단 가능 소수(Truncatable prime)는 특정 기수법에서 왼쪽이나 오른쪽 자리를 잘라도 항상 소수가 되는 소수를 말한다. 자르는 방향이나 진법에 따라 종류가 정해진다.

왼편 절단 가능 소수[편집 | 원본 편집]

어떤 소수가 주어졌을 때, 어느 자리에도 숫자 0을 포함하지 않고, 왼쪽(큰 자리)을 잘라냈을 때 여전히 소수이면 이를 왼편 절단 가능 소수(left-truncatable prime)라 부른다.

이를테면 1223에서 왼쪽 자리를 차례대로 잘라내면 223, 23, 3인데, 이들 수 역시 모두 소수이므로 1223은 왼편 절단 가능 소수이다.

어떤 자연수 [math]\displaystyle{ N }[/math][math]\displaystyle{ n }[/math]자리수라 하고, 이 수의 맨 왼쪽에 한 자리 자연수를 붙인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N'=a \cdot 10^n+N }[/math] 꼴의 [math]\displaystyle{ n+1 }[/math]자리 자연수를 불러올 수 있다. [math]\displaystyle{ N' }[/math]이 왼편 절단 가능 소수이기 위한 필요조건은 [math]\displaystyle{ N }[/math]도 왼편 절단 가능 소수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수를 찾고자 한다면 먼저 한 자리 소수에서 시작해서 왼쪽에다 1~9를 붙여보고 두 자리 소수를 찾고, 다시 왼쪽에다 숫자를 붙이고 소수 찾기를 반복하면 된다.

  • 한 자리 소수는 십진법에서 2, 3, 5, 7이다.
  • 2, 5의 경우 왼쪽에다 숫자를 붙이면 자동으로 합성수가 된다. 그러므로 2, 5는 한 자리에서 끝난다.
  • 3 앞에 숫자 하나를 붙이고 소수를 찾는다: 13, 23, 43, 53, 73, 83
    • 위 두 자리 수에다 숫자 하나를 또 붙이고 소수를 찾는다: 113, 313, 613 / 523, 823 / 443, 643, 743 / 353, 653, 853, 953 / 173, 373, 673, 773 / 283, 383, 683, 883, 983
  • 7 앞에 숫자 하나를 붙이고 소수를 찾는다: 17, 37, 47, 67, 97
    • 위 두 자리 수에다 숫자 하나를 또 붙이고 소수를 찾는다: 317, 617 / 137, 337, 937 / 347, 547, 647, 947 / 167, 367, 467, 967 / 197, 397, 797, 997
  • 위 방식대로 자릿수를 늘려가면서 소수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추적하면, 4260개가 나온다. (OEIS의 수열 A024785)

십진법에서 가장 큰 왼편 절단 가능 소수는 357686312646216567629137이다.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편집 | 원본 편집]

위 문단과는 반대로 소수에서 오른쪽(작은 자리)을 잘라내어도 여전히 소수이면 그 수는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right-truncatable prime)이다. 따라서 십진법에서는 가장 큰 자리가 2, 3, 5, 7이어야 한다.

2939의 경우 오른쪽 자리를 잘라내면 293, 29, 2이다. 이들 수는 모두 소수이므로, 2939는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이다.

두 자리 이상의 소수는 일의 자리가 무조건 1, 3, 7, 9중 하나이다. 그렇기에 소수를 찾을 때, 오른쪽에 붙일 수 있는 숫자도 이들 네 종류 뿐이라 개수도 왼편보다 훨씬 적다.

특히, 십진법의 특성 상 3의 배수가 아니려면 각 자리의 합이 3의 배수가 아니어야 한다. 가령 3이 아닌 소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이 자연수의 각 자리의 합 [math]\displaystyle{ \sigma(N) }[/math]은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 또는 2이다. 이때 각 경우에 따라 붙일 수 있는 숫자가 달라진다.

  • [math]\displaystyle{ \sigma(N) \equiv 1 \pmod 3 }[/math]이면 오른쪽에 1, 3, 7, 9를 붙일 수 있다. 3이나 9를 붙이면 [math]\displaystyle{ \sigma(10N+3) \equiv \sigma(10N+9) \equiv 1 \pmod 3 }[/math]이므로 첫째 경우로 돌아온다. 1이나 7을 붙이면 [math]\displaystyle{ \sigma(10N+1) \equiv \sigma(10N+7) \equiv 2 \pmod 3 }[/math]이므로 둘째 경우로 넘어간다.
  • [math]\displaystyle{ \sigma(N) \equiv 2 \pmod 3 }[/math]이면 오른쪽에는 3과 9밖에 붙일 수 없다. [math]\displaystyle{ \sigma(10N+3) \equiv \sigma(10N+9) \equiv 2 \pmod 3 }[/math]이므로 둘째 경우로 돌아온다.

따라서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는 맨 왼쪽 자리가 2 또는 5이면 그 뒤로는 3과 9로만 이루어진다. 그밖의 경우, 1과 7 합해서 하나 아니면 두 개만 들어갈 수 있고, 나머지는 모조리 3과 9로만 채워진다.

십진법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는 총 83개이고, 가장 큰 수는 73939133이다. (OEIS의 수열 A024770)

왼쪽과 오른쪽으로 절단이 모두 가능한 소수를 양면 소수(two-sided prime)라 하며, 십진법에서는 총 15개 존재한다.

  • 2, 3, 5, 7, 23, 37, 53, 73, 313, 317, 373, 797, 3137, 3797, 739397

다른 진법[편집 | 원본 편집]

[math]\displaystyle{ b }[/math]진법에서는 자릿수 하나가 늘어날 때마다 왼쪽으로는 [math]\displaystyle{ b-1 }[/math]개, 오른쪽으로는 [math]\displaystyle{ \varphi(b) }[/math](오일러 피 함수)개 붙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법의 밑이 클수록 절단 가능 소수도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진법의 경우 한 자리 수는 1 뿐인데 1은 소수가 아니므로, 절단 가능 소수는 전혀 없다. 다만 절단의 한계를 한 자리 대신 두 자리로 바꾸면, 왼편 절단 가능 소수는 이진법으로 10, 11, 111로 3개[1], 오른편 절단 가능 소수는 10, 11, 101, 111, 1011, 10111, 101111[2]로 7개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십진법으로 2, 3, 7
  2. 십진법으로 2, 3, 5, 7, 11, 23,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