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韓国語よりもこの項目が早く生成されたことで、このウィキの特性が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韓国語よりもこの項目が早く生成されたことで、このウィキの特性が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추가바람|追加求む]]


[[일본]]에서 사용하는 [[언어]].
[[일본]]에서 사용하는 [[언어]].

2015년 5월 11일 (월) 14:51 판

日本語 / Japanese

この項目は リブレウィキの暗黙のルール

日本で使う言語

オタク界のラテン語

韓国語と基本的に似ており、漢字語彙を共有する場合が多いため、韓国人には比較的に学びやすい外国語である。だが、欧米人にはアラビア語、韓国語などとともに一番難しい言語らしい。実際、基本的に漢字ひらがなカタカナの三つの文字を使い、そこにローマ字も多く使う。文字体系からしてめちゃくちゃである。とはいえ、学んでおけばサブカルチャー側の情報の取得は非常に有利になる。

韓国語よりもこの項目が早く生成されたことで、このウィキの特性が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일본에서 사용하는 언어.

덕후계의 라틴어

한국어와 기본적인 문법이 매우 유사하고, 한자 어휘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한국인에게 비교적 배우기 쉬운 외국어에 속한다. 하지만 서양인들 기준으로는 아랍어, 한국어 등과 함께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 최상위권에 위치한다는 듯. 실제로도 기본적으로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총 세 가지의 문자를 사용하고, 거기에 로마자도 심심찮게 쓰이는 등, 당장 문자 체계부터가 백괴스러운(...) 언어다. 그래도 배워둔다면 특히 서브컬처 쪽 관련한 정보 취득에 매우 유리해진다.

한국어보다 문서가 더 빨리 생성되었다는 점에서 이 위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겠다. 뜨끔

계통

일본어는 과거 20세기 초까지 한국어, 몽골어 등과 함께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알타이어족설은 언어간에 기초 어휘의 공통점이 거의 없는 등 어족을 성립한다고 여길 확실한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사장되었다. 문법적으로 한국어와 비슷한 부분이 많지만 숫자, 신체 부위 등을 가리키는 기초 어휘는 공통점이 거의 없어 두 언어가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언어 계통 분류 상으로는 일본어는 류큐어와 함께 일본어족으로 분류한다. 참고로 한국어고립어로 분류하는 편이다.

문자

일본어는 기본적으로 히라가나(平仮名), 가타카나(片仮名), 한자를 사용한다.히라가나는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문자이며 가타카나는 주로 의성어와 의태어, 외래어나 학술용어등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자격 시험

JLPTJPT가 양대 산맥으로 군림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JLPT 쪽이 더 유용하다. JLPT는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시행하는 시험으로 전 세계에서 시행되는 반면, JPT는 사설 학원에서 만들고 시행하는 시험이기 때문이다.

문법

일본어/문법

학습상 장점

어순

일단 어순이 한국어의 SOV(주어-목적어-동사) 형태와 같아 학습 초기에 적응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많은 한국인들은 타 언어보다 일본어를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한국어는 '나는 집에 간다'와 같이 주어(나) 목적어(집) 동사(간다) 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찬가지로 일본어도 私は家に帰る 나는(私は), 집에(家に) 간다(帰る)이다(주어는 생략이 가능하지만 예시를 들기 위해 생략하지 않았다).

이렇기 때문에 영어의 SVO(주어-동사-목적어) 어순보다는 익히기 쉽고 친숙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수많은 자료들

당장 서점에 가서 어학 코너로 가보자. 일본어 학습 서적이 없는(특히 기초) 서점은 거의 없을 것이다. 당장 서점이 아니더라도 인터넷 검색만 좀 해도 웬만한 일본어 문법적 지식, 단어 등은 쉽게 습득할 수 있다. 설령 혼자서 이해가 안 되더라도 주변에 일본어 강의, 학원은 많으며 중·고등학교에서도 일본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많다.

이런 환경에서 일본어 학습은 여타 제2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등등)보다는 쉬운 편이며 본인의 검색 능력에 따라 많은 자료를 찾기 편하다.

또한 애니메이션, 만화, 드라마 등을 통해 일본어 매체를 접하기도 쉽기에 대한민국에서 일본어를 접할 기회는 상당히 많다.

적은 불규칙 동사

독일어, 프랑스어와 같은 언어는 불규칙 동사가 말 그대로 최종 보스격이지만 일본어는 불규칙 동사가 딱 2개밖에 없다. する(하다), 来る(오다). 이 두 동사는 활용할 때 그 발음이 달라지지만 수많은 불규칙 동사들이 있는 다른 언어에 비하면 이쪽은 진짜 양반.

물론 い 형용사에서 いい(좋다)라는 불규칙 형용사가 있긴 하지만, 일본어 문법에서 불규칙으로 변하는 부분은 그렇게 많지 않다.

학습상 어려움

하지만 많은 이들에게 일본어는 웃으면서 시작하다 울면서 나가는 언어이다. 아래선 그 이유를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한자

일본어 학습자의 주적 1순위

일본어는 한자가 없으면 안 되는 언어이다. 동음어가 상당히 많은 일본어의 특성상, 단순히 히라가나만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가독성도 낮으며 그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あつい라는 발음은 덥다(暑い), 뜨겁다(熱い), 두껍다(厚い)라는 3가지 뜻이 있는데 단순히 あつい라는 글자를 화자가 놓인 상황 등 정보도 없이 적어두면 그 뜻을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단 말로 의사소통하는 경우에는 억양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어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분간이 가능하다.

그렇기에 일본어와 한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이다. 하지만 많은 학습자들이 한자라는 벽을 넘질 못하고 GG를 치는 경우가 상당하다. 설령 한자를 잘 알고 있더라도 문제는 한자의 독음이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많다는 것이 문제이다. 일본어에는 대부분의 한자에 음독과 훈독이 모두 존재하는데, 이게 간단할 수도 있지만 굉장히 많은 음을 가진 한자도 존재하기에 많은 학습자의 발목을 잡는다.

가나

한자가 중급자 이상의 주적이라면 이쪽은 초심자의 적

물론 문자 자체는 인내심과 시간을 들이면 쉽게 외울 수 있지만, 처음 일본어를 접하는 사람들에겐 50음도는 굉장히 막막한 산과 같을 것이다. 심지어 비슷비슷한 문자[1]는 초심자들이 학습하기에 막막한 요소이다. 특히 그런 게 한 세트면 모르겠는데, 히라가나가타카나 두 세트다(...). 히라가나를 외우면 가타카나를 모르고, 가타카나를 외우면 히라가나가 헷갈리고.

참고로 혹시 일본에 여행 갈 일이 있어 급히 문자만 익혀두고 싶다면, 히라가나 말고 가타카나를 외워라. 히라가나는 대개 고유어나 문법적 요소에 쓰이지만, 가타카나는 외래어에 주로 쓰이는 편이므로 일어를 못하는 외국인 입장에선 가타카나 쪽이 훨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 메뉴판에는 이렇게 써 있다. とろろ(히라가나. 토로로라고 읽음. 마로 만든 일본 음식)와 カレーライス(가타카나. 카레라이스라고 읽음. 설명이 더 필요한지?). 대충 이런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일본어를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고 싶은 거라면 그런 거 없다.

조사

일본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조사가 발달한 언어이다. 그래서 많은 학습자들이 한국어 조사를 일본어에 그대로 대입해 학습하곤 한다. 하지만 이는 필연적으로 잘못된 문장을 만들어 버린다.

예를 들어, 동사 会う(만나다)는 "相生祐子[2]会う"라고 쓰지 않고 "相生祐子[3]会う"라고 쓰는 게 옳다.

이처럼 헷갈리는 조사 사용법 때문에 많은 일본어 학습자들이 절망을 겪고 학습을 접는 경우가 있다.

경어

히든 보스.

어느 책에서는 일본어에는 경어가 없다느니..이런 헛소리를 하지만 일본어의 경어체계는 한국어의 그것보다 복잡하다. 일단 기본적인 정중체 문장은 적응하기 쉽고, 어렵지는 않다(우리가 흔히 쓰는 ~です가 그것이다). 문제는 이를 제대로 쓰려 하면 학습자 중 대부분은 제대로 소화를 못한다. 특히 비즈니스를 위한 경어는 일본인들도 다시 공부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압존법적 요소는 지금도 잘 쓰이고 있으며(덕분에 몇몇 일문학과 교수님은 압존법에 민감하다) 이 덕분에 타 회사 임직원에게 "사장 나갔습니다."와 같은 한국인이 들으면 경악할 문장들이 나오곤 한다.

같이 보기

가나의 한글 표기

가나를 한글로 표기하는 기준에는 다음 세 가지 기준이 존재한다.

  1. 발음상의 유사성
  2. 조음 위치의 유사성
  3. 조음 방법의 유사성

이 중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는 1.의 원칙이 주로 사용되며 2., 3.의 원칙도 아울러 사용된다.

논란이 되는 표기

  • つ 츠/쓰
    • 발음은 '츠'에 가깝다. 하지만 조음 위치가 '스'나 '트'에 가까우며 구개 파찰음인 '츠'와는 다르다. 조음 방법은 '스'와 '츠'를 합친 방법이며 '스'보다 구강이 확장되어 오히려 좁아지는 '쓰'와는 다르다. 서브컬처에서는 전체적으로 '츠' 쪽이 많이 쓰이나 외래어 표기법에는 '쓰'로 표기하도록 규정돼 있다. 대체로 어두에서 '츠'보다는 '스'에 가까운 발음이 나는 경향이 있다. 일제 시대에 들어왔을 단어들 중에 바께쓰쓰메끼리니 하는 것을 보면, 구한말이나 일제 시대 조선인들이 듣기에는 에 가까웠던 듯하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쓰'를 쓰도록 정한 이유는 제정 당시까지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 있던 관용을 인정했기 때문인데, 이것은 현대에 들어서 일본어를 익힌 사람들이 느끼는 감각과는 차이가 있다.
  • 어두의 か 등 무기음 가/카 (예사소리/거센소리)
    • 어중이나 어말의 무기음은 한국어 화자가 듣기에 확실히 거센소리와 유사하나 어두의 경우 매우 숙련된 일본어 청자가 아니라면 헷갈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두 음은 확실히 다른 발음으로 소리 나며 그 구분의 필요성에 따라 ㄱ/ㅋ로 적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동음이의어가 많은 일본어의 특성상 이 두 발음을 같게 적으면 일본어 독음을 한국어로 옮겼을 때 구분가지 않는 단어가 훨씬 많아지므로 문제가 생긴다.

일본어의 장음을 표기할 것인가, 표기한다면 소리대로 할 것인가 철자대로 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있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표기하지 않는다.

각주

  1. 예를 들어 シ/ツ, ソ/ン, メ/ヌ/ス, チ/テ(모두 가타카나), あ/の/め/ぬ, ね/れ/わ, る/ろ, こ/ご, さ/ち(모두 히라가나), 뭐라고요?
  2. 한국어의 '을/를'에 해당
  3. 한국어의 '에'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