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분류 추가)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면허]]발급받아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일컫는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에서 면허를 발급받아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일컫는다.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2016년 5월 31일 기준 총 42개 업체, 전체 215개 노선, 총 2,346대의 차량으로 운영되고 있다.<ref>[http://field.incheon.go.kr/board/1342/1936376?category= 참조]</ref>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2016년 5월 31일 기준 총 42개 업체, 전체 215개 노선, 총 2,346대의 차량으로 운영되고 있다.<ref>[http://field.incheon.go.kr/board/1342/1936376?category= 참조]</ref>


== 역사 ==
== 역사 ==
=== 공동 배차 ===
=== 공동 배차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삼환교통이 1998년 2월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기 이전까진 공동 배차로 운영되었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삼환교통이 1998년 2월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기 이전까진 공동 배차로 운영되었다.


공동 배차 시절에는 제물포버스, 대진운수, 경향여객, 부성여객, 강인여객, 송도버스, 동화운수, 영풍운수, 경인여객이 순서를 정해 기점별로 노선을 맡아가면서 운행했었다. 기점은 박촌, 독정이 등 여러 곳에 있었다.
공동 배차 시절에는 제물포버스, 대진운수, 경향여객, 부성여객, 강인여객, 송도버스, 동화운수, 영풍운수, 경인여객이 순서를 정해 기점별로 노선을 맡아가면서 운행했었다. 기점은 박촌, 독정이 등 여러 곳에 있었다.
18번째 줄: 17번째 줄:
이후 1998년 2월 삼환교통이 97년 7월에 적자 노선이라는 이유로 인천시내버스업계에서 반납한 노선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게 되면서 인천 시내버스 최초의 고정배차제가 시작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9140020912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9-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652&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ref>
이후 1998년 2월 삼환교통이 97년 7월에 적자 노선이라는 이유로 인천시내버스업계에서 반납한 노선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게 되면서 인천 시내버스 최초의 고정배차제가 시작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9140020912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9-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652&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ref>


그리고 2014년 4월 28일에 신설된 6-2번을 대인교통과 원진운수가 공동 배차를 함으로써 공동배차제가 부활하게 되었다. 이후에도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 63번을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5일 인천시 관내 업체들이 공동 배차를 해서 운행하기도 했었다.<ref>참고로 현재 4, 63번은 삼환교통이 고정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ref>
그리고 2014년 4월 28일부터 2016년 7월 29일까지 6-2번을 대인교통과 원진운수가 공동 배차를 함으로써 공동배차제가 약 2년간 부활하기도 했었다. 이후에도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 63번을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5일 인천시 관내 업체들이 공동 배차를 해서 운행하기도 했었다.<ref>참고로 현재 4, 63번은 삼환교통이 고정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ref>


=== 고정배차제 시행 이후 ===
=== 고정배차제 시행 이후 ===
55번째 줄: 54번째 줄:
결국 인천시는 2009년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를 시행하게 되고, 같은 해 8월에 기존 인천형 준공영제를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전환하게 된다.
결국 인천시는 2009년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를 시행하게 되고, 같은 해 8월에 기존 인천형 준공영제를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전환하게 된다.


2015년에는 준공영제로 100억원이 넘는 세금이 낭비됬다는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43756 기사]가 나왔었다.
2015년에는 준공영제로 100억원이 넘는 세금이 낭비됐다는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43756 기사]가 나왔었다.


=== 수도권 통합요금제 참여 ===
=== 수도권 통합요금제 참여 ===
68번째 줄: 67번째 줄:


==== 1992년 노선 개편 ====
==== 1992년 노선 개편 ====
1992년 6월에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있었다. 이때 11개 노선이 신설됬었고, 30개 노선이 변경됬었고, 좌석버스는 1개 노선이 폐선됬었다.
1992년 6월에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있었다. 이때 11개 노선이 신설됐었고, 30개 노선이 변경됐었고, 좌석버스는 1개 노선이 폐선됐었다.


당시 신설, 변경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당시 신설, 변경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131번째 줄: 130번째 줄:


==== 1993년 노선 개편 ====
==== 1993년 노선 개편 ====
1993년 5월에는 좌석버스 노선이 2개 신설됬었고, 몇몇 노선이 연수단지(연수동) 까지 연장됬었다.
1993년 5월에는 좌석버스 노선이 2개 신설됐었고, 몇몇 노선이 연수단지(연수동) 까지 연장됐었다.


이때 신설된 좌석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이때 신설된 좌석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138번째 줄: 137번째 줄:
* 107번 : 연수단지 ~ 현대아파트 ~ 송도유원지 ~ 차량정비단지 ~ 유원아파트 ~ 터미널 ~ 신흥로터리 ~ 신포시장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인천교 ~ 철마산 ~ 백마장 ~ [[부평역]] ~ 까치마을 ~ 계산고 ~ 병방동
* 107번 : 연수단지 ~ 현대아파트 ~ 송도유원지 ~ 차량정비단지 ~ 유원아파트 ~ 터미널 ~ 신흥로터리 ~ 신포시장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인천교 ~ 철마산 ~ 백마장 ~ [[부평역]] ~ 까치마을 ~ 계산고 ~ 병방동


연수단지 ~ 송도 ~ 동인천 ~ 간석동 우성아파트 ~ 장수사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62번 시내버스도 이때 신설됬었다.
연수단지 ~ 송도 ~ 동인천 ~ 간석동 우성아파트 ~ 장수사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62번 시내버스도 이때 신설됐었다.


연수단지로 연장 및 경유하게 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연수단지로 연장 및 경유하게 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175번째 줄: 174번째 줄:
* 107번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동춘국교(現 동춘초교) ~ 송도유원지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연수전화국 ~ 금호아파트 ~ 동춘국교 ~ 송도유원지
* 107번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동춘국교(現 동춘초교) ~ 송도유원지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연수전화국 ~ 금호아파트 ~ 동춘국교 ~ 송도유원지


95년에는 [[김포시|김포군]] 검단면 지역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됬었는데, 그 당시 인천시 시내버스가 검단 지역까지 연장, 시외버스로 운행되던 인천~강화간 버스는 시내좌석버스로 전환됬었다.
95년에는 [[김포시|김포군]] 검단면 지역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됐었는데, 그 당시 인천시 시내버스가 검단 지역까지 연장, 시외버스로 운행되던 인천~강화간 버스는 시내좌석버스로 전환됐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80800329120007&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5-08-08&officeId=00032&pageNo=20&printNo=15504&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1400329120015&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2-14&officeId=00032&pageNo=20&printNo=15340&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2]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80800329120007&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5-08-08&officeId=00032&pageNo=20&printNo=15504&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21400329120015&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2-14&officeId=00032&pageNo=20&printNo=15340&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2]


==== 1997년 노선 개편 ====
==== 1997년 노선 개편 ====
1997년에는 전 노선 공동 배차에서 권역별 공동 배차로 변경됬었다. 또 권역별 공동배차로 변경되면서 16개 적자노선은 지정배차제를 실시하고, 10개 노선은 폐선, 2개 노선은 연장됬었다. 당시 폐선 및 연장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1997년에는 전 노선 공동 배차에서 권역별 공동 배차로 변경됐었다. 또 권역별 공동배차로 변경되면서 16개 적자노선은 지정배차제를 실시하고, 10개 노선은 폐선, 2개 노선은 연장됐었다. 당시 폐선 및 연장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 폐선 노선
* 폐선 노선
201번째 줄: 200번째 줄:


==== 1999년 노선 개편 ====
==== 1999년 노선 개편 ====
1999년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맞춰서 시내버스 개편이 있었다. 이때 시내순환노선이 3개 신설됬었고, 25개 노선이 변경됬었다. 또 4개 노선은 폐선됬었다. 당시 신설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1999년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맞춰서 시내버스 개편이 있었다. 이때 시내순환노선이 3개 신설됐었고, 25개 노선이 변경됐었다. 또 4개 노선은 폐선됐었다. 당시 신설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신설 노선
* 신설 노선
210번째 줄: 209번째 줄:
신설이라 되어있지만 실제론 기존 노선을 순환노선으로 변경시킨 것이었다.
신설이라 되어있지만 실제론 기존 노선을 순환노선으로 변경시킨 것이었다.


32-1, 65, 88, 107번은 32, 45번과 신설노선 3개 노선에 통폐합 됬었다.
32-1, 65, 88, 107번은 32, 45번과 신설노선 3개 노선에 통폐합 됐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0100209119010&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9-01&officeId=00020&pageNo=19&printNo=24289&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90100209119010&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9-01&officeId=00020&pageNo=19&printNo=24289&publishType=00010 참조 기사]
227번째 줄: 226번째 줄:
당시 변경된 노선들 중 15번도 있었는데, 당시 15번은 석바위, 시민회관사거리, 도화IC 를 경유하던 노선(2016년 현재 운행하는 노선)을 주안역 경유로 변경했었고 또 동인천역에서 신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송월동으로 가는걸로 변경했었다.
당시 변경된 노선들 중 15번도 있었는데, 당시 15번은 석바위, 시민회관사거리, 도화IC 를 경유하던 노선(2016년 현재 운행하는 노선)을 주안역 경유로 변경했었고 또 동인천역에서 신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송월동으로 가는걸로 변경했었다.


당시 분리된 노선들 중 5, 14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다시 노선이 통합됬었다. 5번은 2009년에 폐선된 후 5-1번만 남아있다가 2013년 7월 22일에 서창2지구 ~ 인하대병원 구간으로 다시 새로운 5번으로 신설되었고, 14번은 14-1번과 분리된 이후 2016년 현재까지 큰 변경 없이 잘 운행하고 있다.
당시 분리된 노선들 중 5, 14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다시 노선이 통합됐었다. 5번은 2009년에 폐선된 후 5-1번만 남아있다가 2013년 7월 22일에 서창2지구 ~ 인하대병원 구간으로 다시 새로운 5번으로 신설되었고, 14번은 14-1번과 분리된 이후 2016년 현재까지 큰 변경 없이 잘 운행하고 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20340428&qb=7J247LKc67KE7Iqk67aE7ZWg&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HBmodoRR1dssb%2BRc4Zssssssso-355585&sid=ZdjEBXY4sB0fCq6hwGcJ4g%3D%3D 참조 1],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201&docId=87670940&qb=7J247LKcIDUtMeuyiOuyhOyKpA==&enc=utf8&section=kin&rank=6&search_sort=0&spq=0 참조 2],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20516572&qb=7J247LKcIDM067KI67KE7Iqk&enc=utf8&section=kin&rank=10&search_sort=0&spq=0 참조 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76682640&qb=7J247LKc67KE7Iqk64W47ISg&enc=utf8&section=kin&rank=10&search_sort=0&spq=0 참조 4]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20340428&qb=7J247LKc67KE7Iqk67aE7ZWg&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HBmodoRR1dssb%2BRc4Zssssssso-355585&sid=ZdjEBXY4sB0fCq6hwGcJ4g%3D%3D 참조 1],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1201&docId=87670940&qb=7J247LKcIDUtMeuyiOuyhOyKpA==&enc=utf8&section=kin&rank=6&search_sort=0&spq=0 참조 2],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20516572&qb=7J247LKcIDM067KI67KE7Iqk&enc=utf8&section=kin&rank=10&search_sort=0&spq=0 참조 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2&dirId=1204&docId=76682640&qb=7J247LKc67KE7Iqk64W47ISg&enc=utf8&section=kin&rank=10&search_sort=0&spq=0 참조 4]


==== 2009년 노선 개편 ====
==== 2009년 노선 개편 ====
2009년에는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 개편 및 간선급행버스,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됬었다. 당시 신설된 간선급행버스와 주요 경유지는 아래와 같다.
2009년에는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 개편 및 간선급행버스,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됐었다. 당시 신설된 간선급행버스와 주요 경유지는 아래와 같다.


* 901번 :  : '''마전동''' ~ 불로동 ~ 원당동 ~ 검암중학교 ~ 공촌사거리 ~ 이마트송림점(現 이마트트레이더스 송림점) ~ 송림시장 → '''[[동인천역]]''' → 미림극장 → 송림시장 ~ (이하 동일)
* 901번 :  : '''마전동''' ~ 불로동 ~ 원당동 ~ 검암중학교 ~ 공촌사거리 ~ 이마트송림점(現 이마트트레이더스 송림점) ~ 송림시장 → '''[[동인천역]]''' → 미림극장 → 송림시장 ~ (이하 동일)
246번째 줄: 245번째 줄:
* 911번 : ~ 주안역 → '''석바위''' → 간석남부역 → [[주안역]] ~ 재흥시장 ~ 신동아3차아파트 ~ 시대아파트 ~ 연수구청 → 연수경찰서 → '''우성2차아파트''' → 우성1차아파트 → 연수구청 ~ (이하 동일)
* 911번 : ~ 주안역 → '''석바위''' → 간석남부역 → [[주안역]] ~ 재흥시장 ~ 신동아3차아파트 ~ 시대아파트 ~ 연수구청 → 연수경찰서 → '''우성2차아파트''' → 우성1차아파트 → 연수구청 ~ (이하 동일)


또 간선급행버스 신설 외에도 15개의 간선버스와 3개의 좌석버스의 노선이 변경됬었고, 1개 노선(간선버스 5번)이 폐선됬었으며, 6개의 간선버스 노선이 분할됬었다. 또 3개의 간선버스가 신설됬었으며, 3개의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됬었다.
또 간선급행버스 신설 외에도 15개의 간선버스와 3개의 좌석버스의 노선이 변경됐었고, 1개 노선(간선버스 5번)이 폐선됐었으며, 6개의 간선버스 노선이 분할됐었다. 또 3개의 간선버스가 신설됐었으며, 3개의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됐었다.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09.1.30.pdf 당시 변경 간선버스 및 좌석버스 노선 pdf],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09.2.25.pdf 당시 신설 급행버스 및 순환버스 노선 pdf]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09.1.30.pdf 당시 변경 간선버스 및 좌석버스 노선 pdf], [http://bus.incheon.go.kr/iw/jsp/_admin/bbs/upload/2009.2.25.pdf 당시 신설 급행버스 및 순환버스 노선 pdf]


==== 2016년 노선 개편 ====
==== 2016년 노선 개편 ====
2016년 7월 30일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이 개편됬었다. 조정 비율이 54.2%에 달하는 큰 개편이며, 기존의 [[경인선]] 중심의 노선 체계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및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수인선]]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노선 체계로 바뀌게 된다. 또 중복, 굴곡노선 완화로 배차간격을 단축하고, 장거리 노선의 운행거리를 축소하는 등 시내버스 운행속도 향상을 기대하고, 또 새롭게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신도심)인 청라, 송도, 영종, 서창2지구, 검단, 논현.한화지구 지역은 기존 원도심 지역과의 연계강화와 노선 재배치를 통한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기대한 개편이었다.
2016년 7월 30일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이 개편됐었다. 조정 비율이 54.2%에 달하는 큰 개편이며, 기존의 [[경인선]] 중심의 노선 체계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및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수인선]]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노선 체계로 바뀌게 된다. 또 중복, 굴곡노선 완화로 배차간격을 단축하고, 장거리 노선의 운행거리를 축소하는 등 시내버스 운행속도 향상을 기대하고, 또 새롭게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신도심)인 청라, 송도, 영종, 서창2지구, 검단, 논현.한화지구 지역은 기존 원도심 지역과의 연계강화와 노선 재배치를 통한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기대한 개편이었다.


총 86개 노선이 변경됬었고, 15개 노선이 신설, 29개 노선이 폐선됬었다.
총 86개 노선이 변경됐었고, 15개 노선이 신설, 29개 노선이 폐선됐었다.


7월 30일 개편에 이어 9월 3일에도 몇몇 노선들의 조정이 있었는데, 9월 3일에 조정된 노선들은 6, 6-1, 16-1, 21, 34, 40, 66, 순환91, 순환92, 506, 523-1, 524, 522, 511, 535, 582번 이다.
7월 30일 개편에 이어 9월 3일에도 몇몇 노선들의 조정이 있었는데, 9월 3일에 조정된 노선들은 6, 6-1, 16-1, 21, 34, 40, 66, 순환91, 순환92, 506, 523-1, 524, 522, 511, 535, 582번 이다.
267번째 줄: 266번째 줄:
* 시내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03, 103-1, 780, 780-1, 780-2번이 해당한다. 요금은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참고로 요금 도색 모두 간선버스와 차이가 없다.
* 시내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03, 103-1, 780, 780-1, 780-2번이 해당한다. 요금은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참고로 요금 도색 모두 간선버스와 차이가 없다.
* 시외좌석버스 : 도색은 주황,파란색<ref>790번이 해당한다. 790번은 광역버스 도색과 간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이 같이 운행한다.</ref>, 빨간색<ref>800번이 해당한다.</ref>이며, 노선은 60-5, 790, 800번이 해당한다.
* 시외좌석버스 : 도색은 주황,파란색<ref>790번이 해당한다. 790번은 광역버스 도색과 간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이 같이 운행한다.</ref>, 빨간색<ref>800번이 해당한다.</ref>이며, 노선은 60-5, 790, 800번이 해당한다.
* 공항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11, 117, 302~308, 32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새벽에 육지에서 영종도로 들어가는 2XXA번대 노선들도 공항좌석버스에 해당한다. 그리고 202번에 한해서 영종대교를 건너갈 경우에만 공항좌석버스 요금을 받고 있다.
* 공항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11, 117, 302~308, 32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새벽에 육지에서 영종도로 들어가는 2XXA번대 노선들도 공항좌석버스에 해당한다.
* 광역버스 : 도색은 주황색이며, 노선은 1000~1601, 2500, 9100~9802번이 해당한다.
* 광역버스 : 도색은 주황색이며, 노선은 1000~1601, 2500, 9100~9802번이 해당한다.
* BRT : 도색은 7700번 고유 도색이며, 노선은 770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7700번은 다른 인천광역시 면허 광역버스들과 요금이 다르다.
* BRT : 도색은 7700번 고유 도색이며, 노선은 770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7700번은 다른 인천광역시 면허 광역버스들과 요금이 다르다.
371번째 줄: 370번째 줄:
|}
|}


790번을 제외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10km 까지 기본요금을 부과하고, 10k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 5km 마다 100원씩 최대 700원까지 부과된다. 따라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하차할때 반드시 하차태그를 해야하며 하차태그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최대요금이 부과된다.
790번을 제외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10km 까지 기본 요금을 부과하고, 10k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 5km마다 100원씩 최대 700원까지 부과된다. 따라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하차할 때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하며 하차 태그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최대 요금이 부과된다.


== 노선 목록 ==
== 노선 목록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목록]]
{{본문|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목록}}


{{각주}}
{{각주}}
 
{{대한민국 시내버스}}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분류: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분류:인천광역시]] [[분류:시내버스]]

2019년 8월 12일 (월) 13:17 판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면허를 발급받아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일컫는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2016년 5월 31일 기준 총 42개 업체, 전체 215개 노선, 총 2,346대의 차량으로 운영되고 있다.[1]

역사

공동 배차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삼환교통이 1998년 2월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기 이전까진 공동 배차로 운영되었다.

공동 배차 시절에는 제물포버스, 대진운수, 경향여객, 부성여객, 강인여객, 송도버스, 동화운수, 영풍운수, 경인여객이 순서를 정해 기점별로 노선을 맡아가면서 운행했었다. 기점은 박촌, 독정이 등 여러 곳에 있었다.

남동구 논현, 고잔, 도림동 지역에 거주하던 주민들은 공동 배차 당시 논현, 고잔, 도림동 지역으로 운행하던 20, 21번 노선의 배차를 담당하던 업체가 배차간격과 막차 시각을 지키지 않아 불편을 겪기도 했었다.[2] 참고로 공동 배차 당시 논현동 지역으로 운행하던 19, 38번도 20, 21번과 마찬가지로 배차간격이 상당히 좋지 못했었다.

또 공동 배차로 운영되던 1992년 6월엔 배차시간을 지키지 않고 도중에 회차하는 등의 위법사례가 189건이나 적발되기도 했었다.[3]

1997년 10월에는 전 노선 공동 배차에서 지정배차제로 운영되고 있던 적자노선 16개 노선을 제외한 47개 노선을 9개 회사가 10여개 노선으로 나눠 배차하는 3개 권역별 공동 배차 방식으로 변경되었었다.[4]

이후 1998년 2월 삼환교통이 97년 7월에 적자 노선이라는 이유로 인천시내버스업계에서 반납한 노선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게 되면서 인천 시내버스 최초의 고정배차제가 시작된다.[5]

그리고 2014년 4월 28일부터 2016년 7월 29일까지 6-2번을 대인교통과 원진운수가 공동 배차를 함으로써 공동배차제가 약 2년간 부활하기도 했었다. 이후에도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 63번을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2월 25일 인천시 관내 업체들이 공동 배차를 해서 운행하기도 했었다.[6]

고정배차제 시행 이후

98년 2월 삼환교통이 14, 23, 62번을 고정배차제로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차례 차례 고정배차제로 바뀌어 가기 시작한다.

2000년에는 강인여객이 11, 22, 46번, 부성여객이 28, 33, 36, 64번, 제물포버스가 12, 13, 21, 24, 30, 32, 39번 등을 운행하기 시작했고, 2001년에는 영풍운수가 1, 5, 7, 17, 17-1, 77번, 송도버스가 3, 8, 16번, 경향여객이 6, 15, 34, 35번 등을 운행하기 시작한다.

이후 강인여객이 11번을 부일운수로, 22번을 용현운수로, 46번을 서해운수로 양도하게 되고 부성여객도 28번을 세원교통 가좌지점으로 양도, 제물포버스는 13번을 서해운수로, 21번을 용현운수로, 24번을 원진운수로 양도하게 되고, 영풍운수는 1번을 신동아교통으로, 5번을 인천버스(現 용현운수)로, 17번과 17-1번을 신동아교통으로 양도하였고, 송도버스는 3번을 영풍운수로 양도하였고, 경향여객은 6번을 원진운수로, 15번을 세원교통 가좌지점으로, 34번을 신화여객으로, 35번을 도영운수로 양도하게 된다.

32번은 2002년 5월에, 39번은 2002년 4월에, 64번은 2005년 3월에 폐선되었다.

참고로 15번과 28번을 인수한 세원교통 가좌지점이 현재의 시영운수가 된다.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

2002년 2월에는 마을버스들의 시내버스 전환이 있었다. 이때 총 60개 노선과 399대의 차량 중 2개 노선 6대를 제외한 노선이 시내버스로 전환되게 된다.

시내버스로 전환하면서 요금도 인상될 예정이었으나, 시민들과 시민단체들의 반발로 인해 요금 인상은 보류된다. 한편 시내버스 사업자들은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되지 않는다면 시내버스 운행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경고를 하기도 했다.[7]

결국엔 요금은 마을버스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전환된 노선들은 500번대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 당시 시내버스 차량과 도색이 동일하여 시민들이 혼동을 빚기도 했었다.

2016년 현재 500번대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는 지선버스들 거의 대다수가 이때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들이며, 506번은 동구6번 마을버스, 510번대와 520번은 남구 마을버스, 521~523번은 연수구 마을버스, 530번대와 540번은 남동구 마을버스, 550~570번대는 부평구 마을버스, 580번대는 계양구 마을버스, 590번대는 서구 마을버스에서 전환된 노선들이다. 단, 533번과 534번은 번호대와 도색 모두 지선버스와 차이가 없으나 마을버스 면허로 운행하고 있다.

515-1, 524, 526, 530, 564-1, 564-2, 572, 590, 591-1, 595, 597번은 모두 마을버스의 시내버스 전환 이후에 신설된 노선 들 이다.

시내버스로 전환된 이후에도 500번대 노선들은 큰 변동 없이 잘 운행하고 있다.

준공영제 시행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2009년 2월 25일에 시내버스 개편과 함께 준공영제를 시행하였다.

당초 인천시는 서울, 대구 등 타 지역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던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가 아닌 장거리, 굴곡 노선을 최대한 줄이고 직선화한 뒤 현재 노선을 맡고 있는 버스회사에게 우선적으로 운영권을 주고 또 기존 업체가 맡지 않을 경우 입찰을 통해 다른 회사에 맡기되, 적자가 예상되는 노선은 인천교통공사가 직접 맡아서 운영하는 '인천형 준공영제'를 시행할 예정이었다.[8]

하지만 관내 버스 회사들은 이에 반발하였고, 준공영제 찬성 업체와 반대 업체로 서로 극명하게 갈리는 일이 있었다.[9]

결국 인천시는 2009년 2월 25일 '인천형 준공영제'를 시행하게 되고, 같은 해 8월에 기존 인천형 준공영제를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전환하게 된다.

2015년에는 준공영제로 100억원이 넘는 세금이 낭비됐다는 기사가 나왔었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참여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2009년 10월 1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여하였다.

인천시는 2009년 초에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여한다고 발표했었으나, 예산 부족과 지선버스 업계들의 반발로 인해 계속 미뤄지다가 2009년 10월 10일에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참여하게 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 참여 이전에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를 이용한 후 경인선 전철이나 부천시, 김포시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환승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었으나, 수도권 통합요금제 참여 이후엔 환승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노선 개편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는 1999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이전에도 이후에도 수차례의 노선 개편이 있었다. 이 문단에서는 1992년에 있었던 노선 개편부터 서술한다.

1992년 노선 개편

1992년 6월에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있었다. 이때 11개 노선이 신설됐었고, 30개 노선이 변경됐었고, 좌석버스는 1개 노선이 폐선됐었다.

당시 신설, 변경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신설노선
    • 18번 : 수봉공원 ~ 제물포역 ~ 숭의사거리 ~ 터미널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제물포역 ~ 도화오거리 ~ 가정오거리 ~ 경서동
    • 23번 :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 ~ 숭의사거리 ~ 제물포역 ~ 주안사거리 ~ 석바위 ~ 백운역 ~ 부평로터리 ~ 부광여고
    • 40번 : 율도 ~ 석남고가도 ~ 경인여상 ~ 동암역 ~ 가좌IC ~ 영창악기 ~ 제재단지
    • 46번 : 남동공단 ~ 송도역 ~ 송도고교 ~ 용현고개 ~ 숭의로터리 ~ 터미널 ~ 동인천
    • 47번 : 수봉공원 ~ 제물포역 ~ 동인천 ~ 분화극장 ~ 송림로터리 ~ 제물포역 ~ 인천교 ~ 가정오거리 ~ 검암동 ~ 장기동
    • 48번 : 율도 ~ 석남고가교 ~ 십정고개 ~ 동암역 ~ 가좌IC ~ 가좌하수처리장 ~ 북항입구
    • 49번 : 만의골 ~ 장수동 ~ 모래마을 ~ 성헌고교(現 인제고) ~ 간석오거리 ~ 법원사거리 ~ 주안역 ~ 제물포역 ~ 답동 ~ 동인천역
    • 60번 :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대헌공전(現 재능대) ~ 인천대 ~ 도화오거리 ~ 동암역
    • 61번 : 남동공단 ~ 승기교 ~ 인하대 ~ 용현시장 ~ 도원고개 ~ 동인천 ~ 대건고[10] ~ 화수동
    • 88번 : 서운동 ~ 갈산지구 ~ 부흥로터리 ~ 부평시장 ~ 부평역 ~ 백마장 ~ 명신여고 ~ 가좌사거리 ~ 동암역
    • 99번 : 독정이 ~ 용현시장 ~ 남구청 ~ 도원고개 ~ 동인천 ~ 신흥로터리 ~ 터미널 ~ 대림아파트 ~ 정비단지 ~ 송도유원지 ~ 소암마을
  • 변경노선
    • 기점 및 종점 변경 노선
      • 6번 : 송도 ~ 모래내
      • 7번 : 검단 ~ 만수동
      • 10번 : 독정이 ~ 갈산동
      • 29번 : 검단 ~ 부평농협
      • 33번 : 연안부두 ~ 만수동
      • 38번 : 소래 ~ 갈산동
    • 경유지 변경 노선
      • 5번 : 가좌주공2단지 ~ 인하대
      • 19번 : 남동공단 ~ 동인천
      • 20번 : 고잔동 ~ 동인천
      • 21번 : 소래 ~ 동인천
      • 22번 : 시흥 신천리 ~ 동인천
      • 34번 : 남동공단 ~ 삼보아파트
      • 35번 : 효성동 ~ 남동공단
      • 36번 : 연안부두 ~ 숭덕여중
      • 37번 : 남동공단 ~ 가정동
    • 기.종점 및 경유지 변경 노선
      • 3번 : 연수동 ~ 주공2단지
      • 4번 : 도림국교(現 도림고) ~ 십정동
      • 13번 : 남동공단 ~ 서구청
      • 16번 : 송도 ~ 서창동
      • 24번 : 연안부두 ~ 임학동
      • 26번 : 서창동 ~ 오류동
      • 27번 : 남동공단 ~ 송림로터리
      • 28번 : 연안부두 ~ 십정동
      • 31번 : 월미도 ~ 갈산동
      • 39번 : 서운동 ~ 가정동
      • 43번 : 가좌주공 ~ 고잔
    • 분리된 노선
      • 1번 : 검단 ~ 부평농협
      • 8번 : 송도 ~ 동암역
      • 11번 : 원창동 ~ 월미도
      • 41번 : 율도 ~ 문화회관
    • 좌석버스
      • 101번 : 월미도 ~ 부천 범박동
      • 103번 : 남동공단 ~ 부평역
      • 105번 : 송도비치호텔 ~ 부평 쌍굴다리

참조 기사 1, 참조 기사 2

1993년 노선 개편

1993년 5월에는 좌석버스 노선이 2개 신설됐었고, 몇몇 노선이 연수단지(연수동) 까지 연장됐었다.

이때 신설된 좌석버스 노선은 아래와 같다.

  • 106번 : 원창동 ~ 율도입구 ~ 경인여상 ~ 진주아파트 ~ 가좌사거리 ~ 제물포여중 ~ 동암역 ~ 간석오거리 ~ 희망백화점(現 올리브아울렛) ~ 길병원 ~ 남부소방서 ~ 삼환아파트 ~ 남동중학교 ~ 만수3지구
  • 107번 : 연수단지 ~ 현대아파트 ~ 송도유원지 ~ 차량정비단지 ~ 유원아파트 ~ 터미널 ~ 신흥로터리 ~ 신포시장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인천교 ~ 철마산 ~ 백마장 ~ 부평역 ~ 까치마을 ~ 계산고 ~ 병방동

연수단지 ~ 송도 ~ 동인천 ~ 간석동 우성아파트 ~ 장수사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62번 시내버스도 이때 신설됐었다.

연수단지로 연장 및 경유하게 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3번 : 연수동 ~ 가좌주공2단지
  • 6번 : 연수동 ~ 모래내
  • 8번 : 연수동 ~ 동암역
  • 9번 ~ 독정이 ~ 동춘동
  • 11번 : 연수동 ~ 북항
  • 13번 : 연수동 ~ 북항
  • 16번 : 연수동 ~ 서창동
  • 19번 : 연수동 ~ 동인천
  • 27번 : 남동공단 ~ 송림로터리
  • 34번 : 연수동 ~ 삼보아파트
  • 35번 : 연수동 ~ 효성동
  • 37번 : 연수동 ~ 가정동
  • 46번 : 연수동 ~ 원창동
  • 61번 : 연수동 ~ 화수동
  • 62번 : 연수동 ~ 서창동
  • 63번 : 연수동 ~ 주안역
  • 103, 105번 : 연수동 ~ 부평농협
  • 107번 좌석버스 : 연수동 ~ 박촌

참조 기사 1, 참조 기사 2, 참조 기사 3

1995년 노선 개편

1995년 8월에도 일부 노선의 변경이 있었다. 당시 변경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 변경 전 노선 → 변경 후 노선
  • 13번 : 연수국교(現 연수초교) ~ 선학사거리 ~ 문화회관 → 연수국교 ~ 선학국교(現 선학초교) ~ 아주아파트 ~ 뉴서울아파트 ~ 문화회관
  • 19, 20번 : 만수3지구 ~ 남동구청 ~ 만수로 → 만수3지구 ~ 만수임대아파트 ~ 만수로
  • 24번 : 송림로터리 ~ 인천제철 ~ 송현파출소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송현아파트 ~ 송현파출소 ~ 동인천
  • 26번 : 동암역 ~ 부평삼거리 ~ 삼릉(現 동수역 인근) ~ 부평역 ~ 백운역 ~ 청천동 → 동암역 ~ 부평삼거리 ~ 백운역 ~ 청천동
  • 37번 : 경인여상 ~ 한신빌라 ~ 부평시장로터리 ~ 청천동 → 한신빌라 ~ 청천동
  • 39번 : 경인여상 ~ 한신빌라 ~ 서구청 → 경인여상 ~ 한신빌라 ~ 공무원교육원 ~ 서구청 ~ 공촌동입구
  • 107번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동춘국교(現 동춘초교) ~ 송도유원지 → 연수종점 ~ 현대아파트 ~ 연수전화국 ~ 금호아파트 ~ 동춘국교 ~ 송도유원지

95년에는 김포군 검단면 지역이 인천광역시로 편입됐었는데, 그 당시 인천시 시내버스가 검단 지역까지 연장, 시외버스로 운행되던 인천~강화간 버스는 시내좌석버스로 전환됐었다.

참조 기사 1, 참조 기사 2

1997년 노선 개편

1997년에는 전 노선 공동 배차에서 권역별 공동 배차로 변경됐었다. 또 권역별 공동배차로 변경되면서 16개 적자노선은 지정배차제를 실시하고, 10개 노선은 폐선, 2개 노선은 연장됐었다. 당시 폐선 및 연장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 폐선 노선
    • 11번 : 연수단지 ~ 북항
    • 19번 : 연수단지 ~ 동인천
    • 31번 : 월미도 ~ 갈산동
    • 33-1번 : 용현동 ~ 인천시청
    • 37번 : 연수단지 ~ 청천동
    • 55번 : 인하대 ~ 주안역
    • 60번 : 월미도 ~ 예술회관
    • 61번 : 연수단지 ~ 송현동
    • 108번 : 연수단지 ~ 송내역
    • 135번 : 연수단지 ~ 효성동
  • 연장 노선
    • 22번 : 시흥 신천리 ~ 가좌공구상가 ~ 원창동
    • 49번 : 장수동 ~ 가좌공구상가 ~ 원창동

참조 기사

1999년 노선 개편

1999년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맞춰서 시내버스 개편이 있었다. 이때 시내순환노선이 3개 신설됐었고, 25개 노선이 변경됐었다. 또 4개 노선은 폐선됐었다. 당시 신설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신설 노선
    • 6번 : 연수단지 ~ 송도 ~ 동인천 ~ 제물포 ~ 구월동 ~ 농산물시장 ~ 연수단지
    • 39번 : 주물단지(서부공단) ~ 서구청 ~ 가정오거리 ~ 가좌동 ~ 부평역 ~ 계산택지 ~ 주물단지
    • 105번 : 연수단지 ~ 구 송도역 ~ 신흥로터리 ~ 송림로터리 ~ 효성동 ~ 청천동 ~ 송내역 ~ 인천대공원 ~ 시청 ~ 남동공단 ~ 연수단지

신설이라 되어있지만 실제론 기존 노선을 순환노선으로 변경시킨 것이었다.

32-1, 65, 88, 107번은 32, 45번과 신설노선 3개 노선에 통폐합 됐었다.

참조 기사

2004년 노선 개편

2004년에는 장거리 노선들을 분할 및 기존 노선들의 노선들을 변경하는 개편이 있었다. 당시 분할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 5번 : 가좌동 ~ 인하대 구간을 운행하던 5번은 주안역을 기준으로 가좌동 ~ 주안역 구간은 5번, 주안역 ~ 인하대 구간은 5-1번으로 분리.
  • 13번 : 인하대후문 ~ 원당동 구간을 운행하던 13번은 주안역을 기준으로 원당동 ~ 주안역 구간은 13번, 주안역 ~ 인하대후문 구간은 13-1번으로 분리.
  • 14번 : 연안부두 ~ 서창동 구간을 운행하던 14번은 작전역을 기준으로 연안부두 ~ 작전역 구간은 14번, 작전역 ~ 서창동 구간은 14-1번으로 분리.
  • 22번 : 원창동 ~ 시흥 은행동 구간을 운행하던 22번은 주안역을 기준으로 원창동 ~ 주안역 구간은 22번, 주안역 ~ 시흥 은행동 구간은 22-1번으로 분리.
  • 28번 : 연안부두 ~ 검암동 구간을 운행하던 28번은 주안역을 기준으로 검암동 ~ 주안역 구간은 28번, 주안역 ~ 연안부두 구간은 28-1번으로 분리.
  • 34번 : 동춘동 ~ 삼산동 구간을 운행하던 34번은 동암역을 기준으로 삼산동 ~ 동암역 구간은 34번, 동암역 ~ 동춘동 구간은 34-1번으로 분리.
  • 41번 : 율도 ~ 구월동 터미널 구간을 운행하던 41번은 주안역을 기준으로 율도 ~ 주안역 구간은 41번, 주안역 ~ 구월동 터미널 구간은 41-1번으로 분리.

당시 변경된 노선들 중 15번도 있었는데, 당시 15번은 석바위, 시민회관사거리, 도화IC 를 경유하던 노선(2016년 현재 운행하는 노선)을 주안역 경유로 변경했었고 또 동인천역에서 신포동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송월동으로 가는걸로 변경했었다.

당시 분리된 노선들 중 5, 14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다시 노선이 통합됐었다. 5번은 2009년에 폐선된 후 5-1번만 남아있다가 2013년 7월 22일에 서창2지구 ~ 인하대병원 구간으로 다시 새로운 5번으로 신설되었고, 14번은 14-1번과 분리된 이후 2016년 현재까지 큰 변경 없이 잘 운행하고 있다.

참조 1, 참조 2, 참조 3, 참조 4

2009년 노선 개편

2009년에는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 개편 및 간선급행버스,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됐었다. 당시 신설된 간선급행버스와 주요 경유지는 아래와 같다.

  • 901번 :  : 마전동 ~ 불로동 ~ 원당동 ~ 검암중학교 ~ 공촌사거리 ~ 이마트송림점(現 이마트트레이더스 송림점) ~ 송림시장 → 동인천역 → 미림극장 → 송림시장 ~ (이하 동일)
  • 902번 : 검단하나아파트 ~ 당하탑스빌 ~ 검암중학교 ~ 공촌사거리 ~ 계산역 → 계양구청 → 까치공원앞 → 계양경찰서 → 계산역 ~ (이하 동일)
  • 903번 : 불로동 ~ 검단사거리 ~ 당하탑스빌 ~ 검암중학교 ~ 공촌사거리 ~ 가정오거리 ~ 석남동 ~ 가좌동 ~ 십정사거리 ~ 석바위 ~ 시청후문 ~ 모래내시장 ~ (본노선 : 남동구청 → 남동중학교 → 남동초 → 남동구청 ~ (이하 동일) / 대공원행 : 인천대공원)
  • 904번 : ~ 경서지구입구 → 주물단지 → 한스엔지니어링(서부공단) → 경서지구입구 ~ 석남동 ~ 천마터널(現 원적산터널) ~ 부평경찰서 → 우림라이온스밸리 → 청천동 → 천마터널 ~ (이하 동일)
  • 905번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양경찰서 ~ 엠코타운 ~ 부흥로터리 ~ 동수치안센터 ~ 간석사거리 ~ 모래내시장 ~ 소구월사거리 ~ 남촌풍림아파트 ~ 논현주공1단지 → 논현고 → 논현초 → 논현주공1단지 ~ (이하 동일)
  • 906번 : ~ 신흥로터리 → 미림극장 → 동인천역 ~ 신흥로터리 ~ 용남시장 ~ 신기사거리 ~ 시청입구 ~ 남부소방서 ~ 만수동 삼환아파트 → (본노선 : 남동중학교 → 남동초 → 만수동 삼환아파트 ~ (이하 동일) / 대공원행 : 인천대공원)
  • 907번 : 작전역 ~ 청천동 ~ 산곡동천주교회 ~ 백운역 ~ 부평삼거리 ~ 간석오거리 ~ 길병원 ~ 남동경찰서 ~ 남동공단 ~ 논현초
  • 908번 : 동인천역 ~ 삼익아파트 ~ 인하대병원 ~ 경인방송 ~ 송도고입구 ~ 송도유원지 ~ 동춘동 롯데슈퍼 ~ 동막역 ~ 송도 경제자유구역청 ~ 송도 유시티
  • 909번 : 송내역 ~ 중앙병원 ~ 인천대공원 ~ 남동구청 ~ 수산동 ~ 도림동 ~ 논현사거리 ~ 논곡초 ~ 남동공단 ~ 신연수역 ~ 원인재역 ~ 동춘역 ~ 동막역 ~ 송도 경제자유구역청 ~ 송도 유시티
  • 910번 : → 남구청입구 → 제물포역 ~ 용현시장 ~ 대우전자.교통방송 ~ 송도고입구 ~ 송도역 ~ 태경아파트 ~ 문남초 ~ 연수구청 ~ 남동공단 ~ 논현초
  • 911번 : ~ 주안역 → 석바위 → 간석남부역 → 주안역 ~ 재흥시장 ~ 신동아3차아파트 ~ 시대아파트 ~ 연수구청 → 연수경찰서 → 우성2차아파트 → 우성1차아파트 → 연수구청 ~ (이하 동일)

또 간선급행버스 신설 외에도 15개의 간선버스와 3개의 좌석버스의 노선이 변경됐었고, 1개 노선(간선버스 5번)이 폐선됐었으며, 6개의 간선버스 노선이 분할됐었다. 또 3개의 간선버스가 신설됐었으며, 3개의 순환XX번대 노선들이 신설됐었다.

당시 변경 간선버스 및 좌석버스 노선 pdf, 당시 신설 급행버스 및 순환버스 노선 pdf

2016년 노선 개편

2016년 7월 30일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내버스 노선이 개편됐었다. 조정 비율이 54.2%에 달하는 큰 개편이며, 기존의 경인선 중심의 노선 체계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및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수인선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노선 체계로 바뀌게 된다. 또 중복, 굴곡노선 완화로 배차간격을 단축하고, 장거리 노선의 운행거리를 축소하는 등 시내버스 운행속도 향상을 기대하고, 또 새롭게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신도심)인 청라, 송도, 영종, 서창2지구, 검단, 논현.한화지구 지역은 기존 원도심 지역과의 연계강화와 노선 재배치를 통한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기대한 개편이었다.

총 86개 노선이 변경됐었고, 15개 노선이 신설, 29개 노선이 폐선됐었다.

7월 30일 개편에 이어 9월 3일에도 몇몇 노선들의 조정이 있었는데, 9월 3일에 조정된 노선들은 6, 6-1, 16-1, 21, 34, 40, 66, 순환91, 순환92, 506, 523-1, 524, 522, 511, 535, 582번 이다.

7월 30일 개편의 자세한 개편 사항, 노선 조정 전략, 의견 수렴 내용, 효과 및 편익 사항, 시민들의 반응은 인천시청 홈페이지 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노선 체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노선 체계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간선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87[11], 111-2, 112, 202~223, 700-1, 721, 754, 760, 760-1, 770-1번이 해당한다.
  • 지선버스 : 도색은 녹색이며, 번호는 506~595번, 순환XX번대 노선들이 해당한다. 참고로 순환XX번대 노선들 일부 차량은 녹색이 아니라 고유 도색을 하고 있다.
  • 마을버스 : 도색은 녹색 및 각 노선별 고유 도색이며, 번호는 533, 534번, 서구 5번이 해당한다.
  • 간선급행버스 : 도색은 보라색이며, 노선은 903~909번이 해당한다. 요금은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 시내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03, 103-1, 780, 780-1, 780-2번이 해당한다. 요금은 간선버스와 동일하다. 참고로 요금 도색 모두 간선버스와 차이가 없다.
  • 시외좌석버스 : 도색은 주황,파란색[12], 빨간색[13]이며, 노선은 60-5, 790, 800번이 해당한다.
  • 공항좌석버스 : 도색은 파란색이며, 노선은 111, 117, 302~308, 32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새벽에 육지에서 영종도로 들어가는 2XXA번대 노선들도 공항좌석버스에 해당한다.
  • 광역버스 : 도색은 주황색이며, 노선은 1000~1601, 2500, 9100~9802번이 해당한다.
  • BRT : 도색은 7700번 고유 도색이며, 노선은 7700번이 해당한다. 참고로 7700번은 다른 인천광역시 면허 광역버스들과 요금이 다르다.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M버스) : 도색은 M버스 고유 도색이며, 노선은 M6118, M6405, M6628, M6724번이 해당한다. M6410번도 면허는 안산시 면허이나 기점이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이며 요금도 인천 출발 M버스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 강화군내버스 : 도색은 파란색, 빨간색이며, 노선은 (강화군 생활권명)(군내버스 번호)가 해당한다. 교동도, 석모도에는 마을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 공영버스 : 도색은 노선별 고유 도색이며, 옹진군 대청면, 덕적면, 백령면, 북도면, 연평면, 영흥면, 자월면, 계양구, 중구 지역에 공영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요금 체계

노선 구분 카드 현금
간선버스
시내좌석버스
간선급행버스
강화군내버스
공영버스
성인 1,250원 1,300원
청소년 870원 900원
어린이 500원 500원
지선버스
마을버스
성인 950원 1,000원
청소년 600원 700원
어린이 350원 400원
시외좌석버스 성인 1,300원 2,000원
청소년 900원 1,500원
어린이 530원 900원
공항좌석버스 성인 1,650원 2,400원
청소년 1,200원 1,800원
어린이 700원 1,000원
광역버스
790번
성인 2,500원 2,500원
청소년 1,400원 1,400원
어린이 1,000원 1,000원
BRT(7700번) 성인 2,200원 2,500원
청소년 1,200원 1,500원
어린이 1,000원 1,000원
M버스 성인 2,600원 2,900원
청소년 1,550원 1,750원
어린이 1,300원 1,300원

790번을 제외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10km 까지 기본 요금을 부과하고, 10km를 초과하여 이동할 경우 5km마다 100원씩 최대 700원까지 부과된다. 따라서 시외좌석버스와 공항좌석버스는 하차할 때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하며 하차 태그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최대 요금이 부과된다.

노선 목록

각주

  1. 참조
  2. 참조 기사 덧붙이자면 시내버스가 공동 배차로 운영되던 당시의 논현, 고잔, 도림동은 도시 변두리 지역의 농.어촌과 같은 지역이었다.
  3. 참조 기사
  4. 참조 기사
  5. 참조 기사
  6. 참고로 현재 4, 63번은 삼환교통이 고정 배차로 운행하고 있다.
  7. 참조 기사
  8. 참조 기사
  9. 그 예를 들어보자면 준공영제에 찬성하는 업체들이 인천버스운송사업조합을 탈퇴 한 후 인천시버스준공영제협력협회 설립 신청을 냈고, 인천시가 이를 인가해준 것이 있다.
  10. 이때는 대건고등학교가 화도진공원 근처에 있었다. 현재 위치인 동춘동으로 이전한건 1998년.
  11. 60-5번도 번호만 보면 간선버스인데 실제론 시외좌석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12. 790번이 해당한다. 790번은 광역버스 도색과 간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이 같이 운행한다.
  13. 800번이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