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잉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여러가지" 문자열을 "여러 가지"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math>" 문자열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정의 ==
== 정의 ==
3 이상의 [[정수]] \(m\)\((a,m)=1\)인 정수 \(a\)가 주어졌을 때, 법 \(m\)에 대한 합동식
3 이상의 [[정수]] <math>m</math><math>(a,m)=1</math>인 정수 <math>a</math>가 주어졌을 때, 법 <math>m</math>에 대한 합동식
:<math>x^2\equiv a\pmod m</math>
:<math>x^2\equiv a\pmod m</math>
의 해가 존재하면 \(a\)를 법 \(m\)에 대한 '''이차잉여(quadratic residue)'''라고 한다. 합동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면 \(a\)를 법 \(m\)에 대한 '''이차비잉여(quadratic nonresidue)'''라고 한다.
의 해가 존재하면 <math>a</math>를 법 <math>m</math>에 대한 '''이차잉여(quadratic residue)'''라고 한다. 합동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면 <math>a</math>를 법 <math>m</math>에 대한 '''이차비잉여(quadratic nonresidue)'''라고 한다.


== 예시 ==
== 예시 ==
\(m=11\)이라 가정하자. 그럼,
<math>m=11</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math>1^2\equiv\left(-1\right)^2\equiv10^2\equiv1\pmod{11}</math>
:<math>1^2\equiv\left(-1\right)^2\equiv10^2\equiv1\pmod{11}</math>
:<math>2^2\equiv\left(-2\right)^2\equiv9^2\equiv4\pmod{11}</math>
:<math>2^2\equiv\left(-2\right)^2\equiv9^2\equiv4\pmod{11}</math>
18번째 줄: 18번째 줄:


== 성질 ==
== 성질 ==
\(p\)는 홀수인 [[소수]], \(a\)\(p\)와 [[서로소]]인 정수, \(r\)\(p\)의 [[원시근 (정수론)|원시근]]이라 가정하자.
<math>p</math>는 홀수인 [[소수]], <math>a</math><math>p</math>와 [[서로소]]인 정수, <math>r</math><math>p</math>의 [[원시근 (정수론)|원시근]]이라 가정하자.
#<math>x^2\equiv a\pmod p</math>는 근을 가지지 않거나 정확히 두 개의 근을 가진다.
#<math>x^2\equiv a\pmod p</math>는 근을 가지지 않거나 정확히 두 개의 근을 가진다.
#:주어진 [[합동식]]이 근을 가지지 않으면 명제는 자연히 참이다. 만약 \(x_0\)이 주어진 합동식의 한 근이라면, \(-x_0\)도 근이 된다. 또한, \(p\)는 홀수이므로, <math>x_0\equiv-x_0\pmod p</math> ([[기우성]]이 다르다). 이제 \(y\)가 합동식의 또다른 근이라고 가정하자. 그럼 <math>y^2\equiv a\equiv {x_0}^2\equiv p</math>이고, <math>\left(y-x_0\right)\left(y+x_0\right)\equiv0\pmod p</math>이다. 이는 곧 <math>p\mid\left(y-x_0\right)\left(y+x_0\right)</math>임을 의미하고, \(p\)가 소수이므로 <math>p\mid y-x_0</math> 혹은 <math>p\mid y+x_0</math>이다. 어느쪽이든, <math>y\equiv\pm x_0\pmod p</math>이다. 즉, 주어진 합동식은 정확히 두 개의 근만을 가진다.
#:주어진 [[합동식]]이 근을 가지지 않으면 명제는 자연히 참이다. 만약 <math>x_0</math>이 주어진 합동식의 한 근이라면, <math>-x_0</math>도 근이 된다. 또한, <math>p</math>는 홀수이므로, <math>x_0\equiv-x_0\pmod p</math> ([[기우성]]이 다르다). 이제 <math>y</math>가 합동식의 또다른 근이라고 가정하자. 그럼 <math>y^2\equiv a\equiv {x_0}^2\equiv p</math>이고, <math>\left(y-x_0\right)\left(y+x_0\right)\equiv0\pmod p</math>이다. 이는 곧 <math>p\mid\left(y-x_0\right)\left(y+x_0\right)</math>임을 의미하고, <math>p</math>가 소수이므로 <math>p\mid y-x_0</math> 혹은 <math>p\mid y+x_0</math>이다. 어느쪽이든, <math>y\equiv\pm x_0\pmod p</math>이다. 즉, 주어진 합동식은 정확히 두 개의 근만을 가진다.
#법 \(p\)에 대해 정확히 <math>\frac{p-1}{2}</math>개의 이차잉여와 이차비잉여가 존재한다.
#법 <math>p</math>에 대해 정확히 <math>\frac{p-1}{2}</math>개의 이차잉여와 이차비잉여가 존재한다.
#:바로 위 성질의 따름정리. 증명은 생략.
#:바로 위 성질의 따름정리. 증명은 생략.
#\(a\)가 법 \(p\)에 대한 이차잉여라면, <math>\operatorname{ind}_ra</math>는 짝수이다. 역도 성립한다.
#<math>a</math>가 법 <math>p</math>에 대한 이차잉여라면, <math>\operatorname{ind}_ra</math>는 짝수이다. 역도 성립한다.
#:<math>\operatorname{ind}_ra</math>가 짝수라 가정하자. 그럼, <math>a\equiv r^{\operatorname{ind}_ra}\equiv r^{\left(\frac{\operatorname{ind}_ra}{2}\right)2}\equiv\left(r^{\frac{\operatorname{ind}_ra}{2}}\right)^2\pmod p</math>이다. 따라서, \(a\) 는 법 \(p\)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역으로, <math>x^2\equiv a\pmod p</math>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한 해 \(x_0\)에 대해 <math>{x_0}^2\equiv a\pmod p</math>이고, 양변에 [[이산로그]]를 씌우면 <math>2\operatorname{ind}_r{x_0}\equiv\operatorname{ind}_ra\pmod{p-1}</math>이다. 따라서, 적당한 [[정수]] \(k\)에 대해 <math>\operatorname{ind}_ra=2\operatorname{ind}_r{x_0}+k\left(p-1\right)</math>이고, \(p-1\)은 짝수이므로 <math>\operatorname{ind}_ra</math>도 짝수이다.
#:<math>\operatorname{ind}_ra</math>가 짝수라 가정하자. 그럼, <math>a\equiv r^{\operatorname{ind}_ra}\equiv r^{\left(\frac{\operatorname{ind}_ra}{2}\right)2}\equiv\left(r^{\frac{\operatorname{ind}_ra}{2}}\right)^2\pmod p</math>이다. 따라서, <math>a</math> 는 법 <math>p</math>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역으로, <math>x^2\equiv a\pmod p</math>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한 해 <math>x_0</math>에 대해 <math>{x_0}^2\equiv a\pmod p</math>이고, 양변에 [[이산로그]]를 씌우면 <math>2\operatorname{ind}_r{x_0}\equiv\operatorname{ind}_ra\pmod{p-1}</math>이다. 따라서, 적당한 [[정수]] <math>k</math>에 대해 <math>\operatorname{ind}_ra=2\operatorname{ind}_r{x_0}+k\left(p-1\right)</math>이고, <math>p-1</math>은 짝수이므로 <math>\operatorname{ind}_ra</math>도 짝수이다.
#[[원시근 (정수론)|원시근]]은 이차비잉여이다.
#[[원시근 (정수론)|원시근]]은 이차비잉여이다.
#:<math>\operatorname{ind}_rr=1</math>은 홀수이므로 위 성질에 의해 \(r\)은 이차비잉여이다.
#:<math>\operatorname{ind}_rr=1</math>은 홀수이므로 위 성질에 의해 <math>r</math>은 이차비잉여이다.
[[르장드르 기호]]를 사용하면 더 많은 성질을 알 수 있다. [[르장드르 기호]]에 관련된 것은 항목 참조.
[[르장드르 기호]]를 사용하면 더 많은 성질을 알 수 있다. [[르장드르 기호]]에 관련된 것은 항목 참조.


33번째 줄: 33번째 줄:


{{^|<math>x^2\equiv a\pmod p</math>}}
{{^|<math>x^2\equiv a\pmod p</math>}}
여기서 \(p\)는 [[소수]]이다. 만약 <math>p=2</math>라면, 가능한 \(x\)값이 0, 1 두 개밖에 없으므로 직접 넣어서 확인하는 것이 제일 빠르다. 아니면 \(a\)\(x\)의 [[기우성]]이 같다는 사실을 이용해도 된다. 해는 반드시 유일하게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math>p</math>는 [[소수]]이다. 만약 <math>p=2</math>라면, 가능한 <math>x</math>값이 0, 1 두 개밖에 없으므로 직접 넣어서 확인하는 것이 제일 빠르다. 아니면 <math>a</math><math>x</math>의 [[기우성]]이 같다는 사실을 이용해도 된다. 해는 반드시 유일하게 존재하게 된다.


만약 \(p\)가 홀수인 소수라면, \(a\)의 값에 따라 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은 \(\left(\frac{a}{p}\right)=1\)인 것 ([[르장드르 기호]] 참조). 만약 \(\left(\frac{a}{p}\right)=-1\)라면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left(\frac{a}{p}\right)\)값을 구하는 방법은 [[르장드르 기호]] 항목에 여러 가지가 있으니 그쪽을 참조하자. 해가 존재함을 밝혀냈다면, 위 성질의 1번에 의해 서로다른 두 개의 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 해를 \(x_0\)라 하면, 다른 해는 자연히 \(-x_0\). 문제는 해인 \(x_0\)를 찾는 것인데, 알려진 방법이 [[노가다]]밖에 없다. \(x\)를 찾기 위해서는 [[이산로그]]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산로그 값을 찾는 일반적인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 물론, \(a\)가 완전제곱수같은 특수한 경우라면 해를 금방 찾을 수 있다. 다른 경우는 바로 <math>p\equiv3\pmod4</math>인 경우. 이 경우엔 <math>a^{\frac{p+1}{4}}</math>가 한 해가 된다. 오일러 판정법에 의해 <math>x^2\equiv a^{\frac{p+1}{2}}\equiv a^{\frac{p-1}{2}}a\equiv\left(\frac{a}{p}\right)a\equiv a\pmod p</math>이기 때문.
만약 <math>p</math>가 홀수인 소수라면, <math>a</math>의 값에 따라 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은 <math>\left(\frac{a}{p}\right)=1</math>인 것 ([[르장드르 기호]] 참조). 만약 <math>\left(\frac{a}{p}\right)=-1</math>라면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math>\left(\frac{a}{p}\right)</math>값을 구하는 방법은 [[르장드르 기호]] 항목에 여러 가지가 있으니 그쪽을 참조하자. 해가 존재함을 밝혀냈다면, 위 성질의 1번에 의해 서로다른 두 개의 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 해를 <math>x_0</math>라 하면, 다른 해는 자연히 <math>-x_0</math>. 문제는 해인 <math>x_0</math>를 찾는 것인데, 알려진 방법이 [[노가다]]밖에 없다. <math>x</math>를 찾기 위해서는 [[이산로그]]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산로그 값을 찾는 일반적인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 물론, <math>a</math>가 완전제곱수같은 특수한 경우라면 해를 금방 찾을 수 있다. 다른 경우는 바로 <math>p\equiv3\pmod4</math>인 경우. 이 경우엔 <math>a^{\frac{p+1}{4}}</math>가 한 해가 된다. 오일러 판정법에 의해 <math>x^2\equiv a^{\frac{p+1}{2}}\equiv a^{\frac{p-1}{2}}a\equiv\left(\frac{a}{p}\right)a\equiv a\pmod p</math>이기 때문.


{{^|<math>x^2\equiv a\pmod{pq}</math>}}
{{^|<math>x^2\equiv a\pmod{pq}</math>}}
여기서 \(p,\,q\)는 서로다른 두 [[소수]]이다. 이제, <math>\gcd\left(a,pq\right)=1</math>이고, 합동식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x_0\)가 한 해라면, <math>{x_0}^2\equiv a\pmod p</math>이고 <math>{x_0}^2\equiv a\pmod q</math>이다. 만약 <math>\left(\frac{a}{p}\right)=-1</math>이거나 <math>\left(\frac{a}{q}\right)=-1</math>라면, 두 개로 쪼갠 합동식 중 하나는 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래 합동식의 해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math>\left(\frac{a}{p}\right)=\left(\frac{a}{q}\right)=1</math>이라고 가정하자. 첫 번째 합동식의 해를 \(\pm x_1\), 두 번째 합동식의 해를 \(\pm x_2\)라 하면, 우리가 풀고자 하는 원래 합동식은,
여기서 <math>p,\,q</math>는 서로다른 두 [[소수]]이다. 이제, <math>\gcd\left(a,pq\right)=1</math>이고, 합동식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math>x_0</math>가 한 해라면, <math>{x_0}^2\equiv a\pmod p</math>이고 <math>{x_0}^2\equiv a\pmod q</math>이다. 만약 <math>\left(\frac{a}{p}\right)=-1</math>이거나 <math>\left(\frac{a}{q}\right)=-1</math>라면, 두 개로 쪼갠 합동식 중 하나는 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래 합동식의 해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math>\left(\frac{a}{p}\right)=\left(\frac{a}{q}\right)=1</math>이라고 가정하자. 첫 번째 합동식의 해를 <math>\pm x_1</math>, 두 번째 합동식의 해를 <math>\pm x_2</math>라 하면, 우리가 풀고자 하는 원래 합동식은,
:<math>\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math>
:<math>\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math>
의 네 연립 일차 합동식과 동치이다. 그런데 \(p\)\(q\)는 [[서로소]]이므로,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에 의해 위의 각 연립 일차 합동식은 법 \(pq\)에 대해 해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ath>x^2\equiv a\pmod{pq}</math>의 해가 존재한다면, 그 해는 총 네 개이다.
의 네 연립 일차 합동식과 동치이다. 그런데 <math>p</math><math>q</math>는 [[서로소]]이므로,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에 의해 위의 각 연립 일차 합동식은 법 <math>pq</math>에 대해 해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ath>x^2\equiv a\pmod{pq}</math>의 해가 존재한다면, 그 해는 총 네 개이다.


{{^|법 <math>n=p_1p_2\cdots p_k</math>}}
{{^|법 <math>n=p_1p_2\cdots p_k</math>}}

2018년 12월 17일 (월) 19:11 판


정의

3 이상의 정수 [math]\displaystyle{ m }[/math][math]\displaystyle{ (a,m)=1 }[/math]인 정수 [math]\displaystyle{ a }[/math]가 주어졌을 때, 법 [math]\displaystyle{ m }[/math]에 대한 합동식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 m }[/math]

의 해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a }[/math]를 법 [math]\displaystyle{ m }[/math]에 대한 이차잉여(quadratic residue)라고 한다. 합동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면 [math]\displaystyle{ a }[/math]를 법 [math]\displaystyle{ m }[/math]에 대한 이차비잉여(quadratic nonresidue)라고 한다.

예시

[math]\displaystyle{ m=11 }[/math]이라 가정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1^2\equiv\left(-1\right)^2\equiv10^2\equiv1\pmod{11} }[/math]
[math]\displaystyle{ 2^2\equiv\left(-2\right)^2\equiv9^2\equiv4\pmod{11} }[/math]
[math]\displaystyle{ 3^2\equiv\left(-3\right)^2\equiv8^2\equiv9\pmod{11} }[/math]
[math]\displaystyle{ 4^2\equiv\left(-4\right)^2\equiv7^2\equiv5\pmod{11} }[/math]
[math]\displaystyle{ 5^2\equiv\left(-5\right)^2\equiv6^2\equiv3\pmod{11} }[/math]

이므로, 1, 3, 4, 5, 9는 법 11에 관한 이차잉여가 된다. 2, 6, 7, 8, 10은 법 11에 관한 이차비잉여이다.

여기서 주의깊게 봐야할 점은, 11이 소수라는 것과 정확히 5개의 이차잉여와 5개의 이차비잉여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모든 소수에대해 성립하며, 증명은 바로 아랫 문단의 성질을 참고하자.

성질

[math]\displaystyle{ p }[/math]는 홀수인 소수,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p }[/math]서로소인 정수, [math]\displaystyle{ r }[/math][math]\displaystyle{ p }[/math]원시근이라 가정하자.

  1.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 p }[/math]는 근을 가지지 않거나 정확히 두 개의 근을 가진다.
    주어진 합동식이 근을 가지지 않으면 명제는 자연히 참이다. 만약 [math]\displaystyle{ x_0 }[/math]이 주어진 합동식의 한 근이라면, [math]\displaystyle{ -x_0 }[/math]도 근이 된다. 또한, [math]\displaystyle{ p }[/math]는 홀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x_0\equiv-x_0\pmod p }[/math] (기우성이 다르다). 이제 [math]\displaystyle{ y }[/math]가 합동식의 또다른 근이라고 가정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y^2\equiv a\equiv {x_0}^2\equiv p }[/math]이고, [math]\displaystyle{ \left(y-x_0\right)\left(y+x_0\right)\equiv0\pmod p }[/math]이다. 이는 곧 [math]\displaystyle{ p\mid\left(y-x_0\right)\left(y+x_0\right) }[/math]임을 의미하고, [math]\displaystyle{ p }[/math]가 소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p\mid y-x_0 }[/math] 혹은 [math]\displaystyle{ p\mid y+x_0 }[/math]이다. 어느쪽이든, [math]\displaystyle{ y\equiv\pm x_0\pmod p }[/math]이다. 즉, 주어진 합동식은 정확히 두 개의 근만을 가진다.
  2.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해 정확히 [math]\displaystyle{ \frac{p-1}{2} }[/math]개의 이차잉여와 이차비잉여가 존재한다.
    바로 위 성질의 따름정리. 증명은 생략.
  3. [math]\displaystyle{ a }[/math]가 법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한 이차잉여라면,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nd}_ra }[/math]는 짝수이다. 역도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nd}_ra }[/math]가 짝수라 가정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a\equiv r^{\operatorname{ind}_ra}\equiv r^{\left(\frac{\operatorname{ind}_ra}{2}\right)2}\equiv\left(r^{\frac{\operatorname{ind}_ra}{2}}\right)^2\pmod p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a }[/math] 는 법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역으로,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 p }[/math]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럼, 한 해 [math]\displaystyle{ x_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_0}^2\equiv a\pmod p }[/math]이고, 양변에 이산로그를 씌우면 [math]\displaystyle{ 2\operatorname{ind}_r{x_0}\equiv\operatorname{ind}_ra\pmod{p-1} }[/math]이다. 따라서,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k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nd}_ra=2\operatorname{ind}_r{x_0}+k\left(p-1\right) }[/math]이고, [math]\displaystyle{ p-1 }[/math]은 짝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nd}_ra }[/math]도 짝수이다.
  4. 원시근은 이차비잉여이다.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ind}_rr=1 }[/math]은 홀수이므로 위 성질에 의해 [math]\displaystyle{ r }[/math]은 이차비잉여이다.

르장드르 기호를 사용하면 더 많은 성질을 알 수 있다. 르장드르 기호에 관련된 것은 항목 참조.

이차 합동방정식

[math]\displaystyle{ ax^2+bx+c\equiv0\pmod m }[/math]의 형태를 가진 합동식을 이차 합동방정식이라 부른다. 일차 합동식과는 달리 이차 합동식은 푸는 것이 까다롭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한 형태의 합동식만 풀어보도록 하자.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 p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p }[/math]소수이다. 만약 [math]\displaystyle{ p=2 }[/math]라면, 가능한 [math]\displaystyle{ x }[/math]값이 0, 1 두 개밖에 없으므로 직접 넣어서 확인하는 것이 제일 빠르다. 아니면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x }[/math]기우성이 같다는 사실을 이용해도 된다. 해는 반드시 유일하게 존재하게 된다.

만약 [math]\displaystyle{ p }[/math]가 홀수인 소수라면, [math]\displaystyle{ a }[/math]의 값에 따라 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은 [math]\displaystyle{ \left(\frac{a}{p}\right)=1 }[/math]인 것 (르장드르 기호 참조). 만약 [math]\displaystyle{ \left(\frac{a}{p}\right)=-1 }[/math]라면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math]\displaystyle{ \left(\frac{a}{p}\right) }[/math]값을 구하는 방법은 르장드르 기호 항목에 여러 가지가 있으니 그쪽을 참조하자. 해가 존재함을 밝혀냈다면, 위 성질의 1번에 의해 서로다른 두 개의 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한 해를 [math]\displaystyle{ x_0 }[/math]라 하면, 다른 해는 자연히 [math]\displaystyle{ -x_0 }[/math]. 문제는 해인 [math]\displaystyle{ x_0 }[/math]를 찾는 것인데, 알려진 방법이 노가다밖에 없다. [math]\displaystyle{ x }[/math]를 찾기 위해서는 이산로그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산로그 값을 찾는 일반적인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 물론, [math]\displaystyle{ a }[/math]가 완전제곱수같은 특수한 경우라면 해를 금방 찾을 수 있다. 다른 경우는 바로 [math]\displaystyle{ p\equiv3\pmod4 }[/math]인 경우. 이 경우엔 [math]\displaystyle{ a^{\frac{p+1}{4}} }[/math]가 한 해가 된다. 오일러 판정법에 의해 [math]\displaystyle{ x^2\equiv a^{\frac{p+1}{2}}\equiv a^{\frac{p-1}{2}}a\equiv\left(\frac{a}{p}\right)a\equiv a\pmod p }[/math]이기 때문.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pq}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p,\,q }[/math]는 서로다른 두 소수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gcd\left(a,pq\right)=1 }[/math]이고, 합동식의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x_0 }[/math]가 한 해라면, [math]\displaystyle{ {x_0}^2\equiv a\pmod p }[/math]이고 [math]\displaystyle{ {x_0}^2\equiv a\pmod q }[/math]이다. 만약 [math]\displaystyle{ \left(\frac{a}{p}\right)=-1 }[/math]이거나 [math]\displaystyle{ \left(\frac{a}{q}\right)=-1 }[/math]라면, 두 개로 쪼갠 합동식 중 하나는 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래 합동식의 해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left(\frac{a}{p}\right)=\left(\frac{a}{q}\right)=1 }[/math]이라고 가정하자. 첫 번째 합동식의 해를 [math]\displaystyle{ \pm x_1 }[/math], 두 번째 합동식의 해를 [math]\displaystyle{ \pm x_2 }[/math]라 하면, 우리가 풀고자 하는 원래 합동식은,

[math]\displaystyle{ \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quad\begin{cases}x&\equiv -x_1\pmod p\\x&\equiv -x_2\pmod q\end{cases} }[/math]

의 네 연립 일차 합동식과 동치이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q }[/math]서로소이므로,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에 의해 위의 각 연립 일차 합동식은 법 [math]\displaystyle{ pq }[/math]에 대해 해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x^2\equiv a\pmod{pq} }[/math]의 해가 존재한다면, 그 해는 총 네 개이다.

[math]\displaystyle{ n=p_1p_2\cdots p_k }[/math]

만약 [math]\displaystyle{ p_1,\,p_2,\,\ldots,\,p_k }[/math]가 서로다른 소수라면, 위에서 했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이차 합동식을 풀 수 있다. 해의 개수는 총 [math]\displaystyle{ 2^k }[/math]개.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