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민정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CCL 비호환)
태그: 편집 취소
1번째 줄: 1번째 줄:
<span class="blink"><span style="color:#dd0000;font-size:xx-large">'''읶헏!'''</span></span><br>
'''01 믐ㅐ는 <span style="color:#dd0000>알수없극 글자</span>才 <span style="color:#dd0000>ㅂ듹 많OLㅒ</span> 읽다 넌뙤 <span style="color:#dd0000>ㅂ는 즠기 팁u다</span>. 삼가 ㅍ(故)ㅂ익 핑복을 [[팔도비빔면|<span style="color:#dd0000>오글손으로 ㅂ뜨뜨~~ 왼손으로 ㅂ뜨뜨~</span>]] 아믁돈 야믁거끼 넵니다.'''
<br>출켜:ㅁN읶귀
<br>
야민정음<br/>
야민정음<br/>
野民正音<br/>
野民正音<br/>

2021년 6월 21일 (월) 00:27 판

야민정음
野民正音

01 믐ㅐ는 암묵익 룰로 작성딘었습u다 읶키러늰익 눈01 01상한 게 아닙u다. 당핳하거 말고 01 믐ㅐ익 암묵익 룰을 잘 과악해 보세요.

7H요

ㅁㅐ외ㅏㅅ01드 쿠내okㅋ 갤러긘에서 군갤러안 ok갤러쿠공합작으로 뫄들어건 외터빗 믐체. 뫄들어건 원긘는 2차 원상익 읶상기하학에 가깝다. 획 방향간 모양01 네슷화 다른 화글 자모4 운결을 기굔 운결간 치환해 ㅏㅅ용하는 믐체.

okㅋ게언외 마ㅋ마ㅋ에ㅒ 해상ㅌ안 폰도 믐계로 강귀태선슥익 01룬01 강커태로 보01는 믐계가 굳01 ok뫼경흡익 ㅐ초라띤 ㅐ초다.

01후로 빗상에ㅒ 강귀태익 별띵이 강커태 또는 커태로 스스01는 경도익 미미화 변형으로뫄 스스였고 ok뫼경운이라는 01룬ㅌ 붙거 않았으4 2013던 정 01러화 바긘에01션01 경치떡밥간 맞물리띠 박ㄹ혜, 이띵박 따읶익 용례ㅜ 측ㅜ된 정윽를 제기로 여기겨기에 딜긘스스01띠 용법이 확장딘었다.

화참 폭괄격으로 성장하틴 ok뫼경흡은 어느 경도 시과이 거4자 노잼이 딘어 뫟이 스스01틴 친초익 몇 ㅜ거 용례뫄01 남아 활용딘ㅍ 있다.

ok뫼경흡에 의숙하거 왛은 ㅏㅅ람을 읶해, ok뫼경흡 넴역기 따읶익 소프도엑어ㅜ 개발딘어 있다. 화번에 계머로 번역딘거 않으띤 01상하다 싶은 부븜뫄 떼어다 화번 티 범역하뙤 된다.

해석

이 문서는 암묵의 룰로 작성되었습니다. 위키러님의 눈이 이상한 게 아닙니다. 당황하지 말고 이 문서의 룰을 파악해 보세요.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이하, '야갤')에서 코갤러와 야갤러국공합작으로 만들어진 인터넷 문체. 만들어진 원리는 2차원상의 위상기하학에 가깝다. 획 방향과 모양이 비슷한 다른 한글 자모나 음절을 기존 음절과 치환해 사용하는 문체.

2000년대 초 무렵, 윈도우즈 환경에서의 인터넷 게시판이 막 보급될 무렵에 이러한 방식으로 만든 신조어 문체로 외계어라는 것이 있었는데, 한글 뿐 아닌 각종 문자에 특수기호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있었다. 소위 '온라인 인싸'[1]의 필수 스킬로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으나, 문체를 완성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고, 사용자의 정신연령 상승으로 인해 점차 이불킥으로 인식하게 되는 추세에 따라 2000년대 중후반부터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문체구조로 보자면 이것이 야민정음의 선조격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본격적으로 다시 떠오른 것은 야구게임인 마구마구에서 해상도와 폰트 문제로 강귀태 선수의 이름이 강커태로 보이는 문제에서였다. 야갤에서 퍼지기 시작한 것으로 감안할 시, 야민정음의 시초는 이쪽에 더 무게를 둘 수 있다.

당시에는 넷상에서도 강귀태의 별명이 강커태 또는 커태로 쓰이는 정도의 미미한 변형으로만 쓰일 뿐이라 '야민정음'이라는 이름도 붙지 않았으나, 2013년경 이러한 바리에이션이 정치떡밥과 맞물리며 '박ㄹ혜', '이띵박' 따위의 용례가 추가된 것을 계기로 여기저기에 널리 쓰이며 용법이 확장되었다.

한참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야민정음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노잼이 되어 많이 쓰이던 최초의 몇 가지 용례만이 남아 활용되고 있다.

야민정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야민정음 번역기 따위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있다. 한번에 제대로 번역되지 않으면 이상하다 싶은 부분만 떼어다 한번 더 번역하면 된다.

한글만을 이용한 순 야민정음

자음/모음 변형

  • ㄹ ↔ 근
  • ㅁ ↔ 디
  • ㅂ ↔ 닌
    • ㅂ ↔ 너
  • ㅅ ↔ ㅏ
  • ㅋ ↔ 구
  • ㅌ ↔ 도
  • ㅍ ↔ ㄸ
    • ㅍ ↔ 고 ↔ 끄
  • ㅆ ↔ 사
  • ㅜ ↔ 가
  • ㅐ ↔ 시
  • ㅒ ↔ 서
    • ㅒ ↔ ㅂ

자/모음 혼합 변형

  • 머 ↔ 대
  • 댸 ↔ 며 ↔ 띠 ↔ 피 ↔ 괴
  • 귀 ↔ 커
  • 우 ↔ 윽
  • 유 ↔ 윾
  • 위 ↔ 읶 ↔ 워
  • 읽 ↔ 웓
  • 와 ↔ 안
  • 피 ↔ 끠 ↔ 괴
  • 어 ↔ 익 ↔ 의
  • 비 ↔ 네
  • 따 ↔ 파 ↔ 과
  • 페 ↔ 떼
  • 리 ↔ 긘
  • 여 ↔ 억 ↔ 잌
  • 영 ↔ 잏 ↔ 욍
  • 얻 ↔ 연 ↔ 엄 ↔ 원 ↔ 윔
    • 얻 ↔ 윋 ↔ 일
  • 일 ↔ 읟
  • 백 ↔ 뿌
  • 뱀 ↔ 뿐
  • 통 ↔ 돟
  • 겨 ↔ ㅝ
  • 궈 ↔ 켜
  • 곤 ↔ 포
  • 코 ↔ 군
  • 운 ↔ 음
  • 곡 ↔ 푸
  • 국 ↔ 쿠
  • 토 ↔ 돈
  • 각 ↔ 카
  • 궤 ↔ 케
  • 인 ↔ 외
  • 던 ↔ 터
  • 키 ↔ 긱
  • 티 ↔ 딘 ↔ 되
  • 타 ↔ 단 ↔ 돠
  • 쾨 ↔ 귄
  • 곧 ↔ 픈
  • 교 ↔ 피
  • 꾸 ↔ 걱

ㄱ과 ㅈ을 이용한 응용

  • 거 ↔ 지
    • 거 ↔ 긱
  • 겨 ↔ 저
    • 겨 ↔ 걱 ↔ 깈
      • 걱 ↔ 꾸
    • 저 ↔ 직 ↔ 즤
  • 져 ↔ 적 ↔ 짘
    • 적 ↔ 격 ↔ 겈
  • 계 ↔ 제
    • 계 ↔ 겍
  • 졔 ↔ 젝 ↔ 곅 ↔ 겤
  • 걱 ↔ 직 ↔ 저 ↔ 겨
  • 적 ↔ 격 ↔ 겈 ↔ 짘
  • 젹 ↔ 젘 ↔ 곀
  • 건 ↔ 진 ↔ 죄
    • 건 ↔ 김 ↔ 긘 ↔ 긷
  • 견 ↔ 검 ↔ 짐 ↔ 즨 ↔ 짇
    • 견 ↔ 전
    • 견 ↔ 걷 ↔ 길
  • 젼 ↔ 점 ↔ 겸
    • 젼 ↔ 젇 ↔ 짙 ↔ 겉 ↔ 겯 ↔ 걸
  • 젠 ↔ 곈 ↔ 겜
    • 곈 ↔ 겓
  • 졘 ↔ 젬 ↔ 곔
    • 졘 ↔ 젣
      • 젣 ↔ 곋 ↔ 겥
        • 곋 ↔ 겔
  • 젤 ↔ 곌
    • 젤 ↔ 졛 ↔ 젵 ↔ 곝
  • 괴 ↔ 긴
  • 과 ↔ 간
  • 좌 ↔ 잔
  • 짓 ↔ 것 ↔ 깆
  • 짖 ↔ 겆 ↔ 깇 ↔ 굊
  • 짗 ↔ 겇 ↔ 겾 ↔ 젖 ↔ 졋
    • 짗 ↔ 죚
  • 겿 ↔ 젗 ↔ 졎
  • 젯 ↔ 곗 ↔ 겢
  • 곛 ↔ 젳 ↔ 졪
  • 졧 ↔ 젯 ↔ 곚 ↔ 겣

사용 예시

아래 문장은 야민정음을 사용한 것이다. 단숨에 읽어내려갈 수 있다면 당신도 어색하지 않게 구사할 수 있을지도?

  • 팡즉일ㅍ 야ㅋ선슥 01머형01 네네넥을 댁으띠 댕댕01안 솨책중 [2]
  • 머화뫼국 머통령 박ㄹ혜익 아칀싀사 메늒는 팡즉팡역ㅐ 판팡띵물 네넴띤 [3]
  • 광광 우럭따ㅠㅠㅠㅠ[4]
  • 머대리, 머머리, 대대리, 머대긘[5]
  • 괄도 네넴띤[6]
  • 네머띤 강익[7]
  • 귀끠, 귀괴, 귀띠[8]
  • 커여운 댕댕이[9]
  • 대끤, 대괸, 대띤[10]
  • 신네아과트[11]
  • 슦떠맨[12]
  • 뜨긘큮어[13]
  • 윾동늬[14]
  • 비틱[15]
  • 근근웹[16]
  • 늒네[17]
  • 윾힉앟[18]
  • 띵륜건사갈네[19]
  • 팡띵시[20]
  • 오늘익 윾대[21]
  • 괍곧믂즤, 괍곧믂걱, 괍끋믂즤[22]
  • ㄹ황, ㄹ핳[23]
  • 믂네[24]
  • 팡ㅍ[25]
  • 띵탐경[26]
  • 머견머학꼬[27]
  • 곡던[28]
  • 커띨익 칼날[29]

이게 무슨 소리야!

트리비아

  • 의외로 야민정음이 생활 한국어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사례가 조금 있는데, 예를 들자면 멍멍이를 대체한 "댕댕이", 귀엽다를 대신하는 "커엽다"[30], 띵작(명작) 등이다. 입말로서 읽을 때 위화감이 적고, 어감이 좋아서 대중이 받아들이기 쉬웠기 때문으로 보인다.
  • 야민정음이 정착되기 이전부터 대중에 알려진 것도 일부 있다. "호옹이 ('으아아아'를 90도 회전한 것)", "앵귀리지 (앵커리지, 과거 무한도전 알래스카 특집에서 언급)[31]", "푸라면(농심 신라면)" 등이 그런 사례.
  • 비록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서의 사용량이 크게 줄기는 하였으나, 외국인이 번역기로 돌려서 뜻을 파악하는 것을 막고자 할 때는 여전히 적극적으로 이용된다. 특히 리뷰로 악평을 남길 때 칭찬은 일반적인 어휘를, 악담은 야민정음을 활용한 어휘를 사용하여 회피한다. 특히 기존의 shift키를 눌러가며 쓰는 방법을 차차 대체하고 있다.

각주

  1. 당시에는 없던 용어이지만...
  2. 광주일고 야구선수 이대형이 비비빅을 먹으며 멍멍이와 산책중
  3.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의 아침식사 메뉴는 광주광역시 관광명물 비빔면
  4. 펑펑(팡팡) 울었다ㅠㅠㅠㅠ
  5. 대머리, 대머리, 대머리, 대머리.
  6. 팔도 비빔면. 하지만 2019년에 매운 버전 비빔면으로 상품화가 되었다...
  7. 비대면 강의
  8. 커피
  9. 귀여운 멍멍이
  10. 머핀
  11. 신비아파트
  12. 슈퍼맨
  13. 프리큐어
  14. 유동닉
  15. 네덕
  16. ㄹㄹ웹
  17. 뉴비
  18. 유희왕
  19. 명륜진사갈비
  20. 광명시
  21. 오늘의 유머
  22. 팝픈뮤직
  23. 근황
  24. 뮤비
  25. 광고
  26. 탐정
  27. 대전대학교
  28. 푸틴
  29. 귀멸의 칼날
  30. 커요미(우람함과 귀여움이 동시에 드러나는 반전매력을 가리키는 어휘)와는 다소 다른 뜻이나, 이쪽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31. 이를 야민정음의 시초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