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릅스카 디나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t| )*(template|Template|틀):(\t| )* +{{))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이 항목은 표제인 「[[스릅스카 디나르]]」와 함께, 거의 유사한 개념인 「[[크라이나 디나르]]」도 동시에 다루고 있습니다.}}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현지어 명칭 = Динар Српске<small> 디나르 스르프스케<sup>[[세르보크로아트어|sh]]</sup></small><br/>Крајишки динар<small> 크라이쉬키 디나르<sup>[[세르보크로아트어|sh]]</sup></small>
|현지어 명칭 = Динар Српске<small> 디나르 스르프스케<sup>[[세르보크로아트어|sh]]</sup></small><br/>Крајишки динар<small> 크라이쉬키 디나르<sup>[[세르보크로아트어|sh]]</sup></small>
27번째 줄: 28번째 줄:
== 개요 ==
== 개요 ==
[[File:Serbia in the Yugoslav Wars - ko.png|섬네일|left|1992년 7월 세르비아계 국가의 영역.<br/>(세르비아 본토<sup><small>※신유고연방</small></sup> + 스릅스카 + 크라이나)]]
[[File:Serbia in the Yugoslav Wars - ko.png|섬네일|left|1992년 7월 세르비아계 국가의 영역.<br/>(세르비아 본토<sup><small>※신유고연방</small></sup> + 스릅스카 + 크라이나)]]
'''스릅스카 디나르 (스르프스카 디나르)'''는, 넓게 보자면 유고연방이 붕괴된 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일부를 차지하여 건국한 스릅스카 공화국(스르프스카 공화국)의 통화인 '''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small>(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1992 ~ 1998)</small>'''와, 지금의 보스니아 국경 인근의 크로아티아 내륙 지역에서 세르비아계 괴뢰국으로 조성된 크라이나 공화국(크라이나 공화국)<ref>'스릅스카(srpska)' 자체가 '세르비아(serbia)'를 말한다. (단, 현존하는 국가인 "세르비아(srbija)"와 다르다.) 따라서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 혹은 「크로아티아계(系) 세르비아 공화국」으로도 번역이 가능하다.</ref>의 통화인 '''[[크라이나 디나르]]<small>(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Крајине, 1992 ~ 1995.08)</small>'''<ref>정식 명칭은 "크라이나 스르프스카 공화국 디나르".</ref>, 두 통화를 동시에 가리킨다. 엄밀하게 '스릅스카 디나르'라 하면 전자<sub>(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sub>만을 의미하나, 스릅스카 디나르와 크라이나 디나르는 비록 서로간 교류 없이 양분되어 있긴 하였어도 사실상 같은 기관에서 발행한 동일한 통화나 다름없었기에, 본 문서에선 두 통화를 연계시켜 하나의 문서로 서술한다.
'''스릅스카 디나르 (스르프스카 디나르)'''는, 넓게 보자면 유고연방이 붕괴된 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일부를 차지하여 건국한 스릅스카 공화국(스르프스카 공화국)의 통화인 '''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small>(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1992 ~ 1998)</small>'''와, 지금의 보스니아 국경 인근의 크로아티아 내륙 지역에서 세르비아계 괴뢰국으로 조성된 크라이나 공화국(크라이나 공화국)<ref>'스릅스카(srpska)' 자체가 '세르비아(serbia)'를 말한다. (단, 현존하는 국가인 "세르비아(srbija)"와 다르다.) 따라서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 혹은 「크로아티아계(系) 세르비아 공화국」으로도 번역이 가능하다.</ref>의 통화인 '''크라이나 디나르<small>(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Крајине, 1992 ~ 1995.08)</small>'''<ref>정식 명칭은 "크라이나 스르프스카 공화국 디나르".</ref>, 두 통화를 동시에 가리킨다. 엄밀하게 '스릅스카 디나르'라 하면 전자<sub>(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sub>만을 의미하나, 스릅스카 디나르와 크라이나 디나르는 비록 서로간 교류 없이 양분되어 있긴 하였어도 사실상 같은 기관에서 발행한 동일한 통화나 다름없었기에, 본 문서에선 두 통화를 연계시켜 하나의 문서로 서술한다.


=== 상세 ===
=== 상세 ===

2021년 8월 27일 (금) 18:56 판

{{{화폐이름}}}
[[파일:{{{그림}}}|165px]] Coat of arms of the Republic of Serbian Krajina.svg
화폐 정보
사용국 틀:깃발자료 스릅스카 공화국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틀:깃발자료 크라이나 공화국 (▶크로아티아)
지폐 (본문 참조)※전부 기재하기에는 칸이 좁다.
동전 (발행 이력 없음)
인쇄처 바냐 루카 신문사 인쇄소 (Бањалучкој штампарији Глас Српске)
크닌 인쇄소 (Книн)
환율 ??? 교환비 불명, 추가바람

개요

1992년 7월 세르비아계 국가의 영역.
(세르비아 본토※신유고연방 + 스릅스카 + 크라이나)

스릅스카 디나르 (스르프스카 디나르)는, 넓게 보자면 유고연방이 붕괴된 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일부를 차지하여 건국한 스릅스카 공화국(스르프스카 공화국)의 통화인 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1992 ~ 1998)와, 지금의 보스니아 국경 인근의 크로아티아 내륙 지역에서 세르비아계 괴뢰국으로 조성된 크라이나 공화국(크라이나 공화국)[1]의 통화인 크라이나 디나르(Динар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Крајине, 1992 ~ 1995.08)[2], 두 통화를 동시에 가리킨다. 엄밀하게 '스릅스카 디나르'라 하면 전자(스릅스카 공화국 디나르)만을 의미하나, 스릅스카 디나르와 크라이나 디나르는 비록 서로간 교류 없이 양분되어 있긴 하였어도 사실상 같은 기관에서 발행한 동일한 통화나 다름없었기에, 본 문서에선 두 통화를 연계시켜 하나의 문서로 서술한다.

상세

스릅스카 디나르(스릅스카 공화국-보스니아) 및 크라이나 디나르(크라이나 공화국-크로아티아)는, 1992년 기존의 유고연방(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SFR유고(SFRY))이 붕괴하고 세르비아계 주민들 중심으로 결집하여 만들어진 신유고연방(Савез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FR유고(FRY))이 다시 조성되었으나, 한편으론 독립을 주장한 보스니아 및 크로아티아 내부의 세르비아계 주민들이 유고연방으로 남아있기 위해, 그리고 FR유고의 중심국인 세르비아가 다시금 기존 영토를 되찾으려는 심상으로 보스니아/크로아티아 지역에 세르비아계 국가가 세워지도록 지원하였는데, 이때 만들어진 국가들의 통화이다.

요약하면, 세르비아(유고)가 크로아티아/보스니아 두 국가의 독립을 방해하기 위해[3][4]만들어진 국가들의 통화라는 것이며, 때문에 구유고연방 디나르(YUN)의 직계후신인 신유고연방 디나르(YUR)(1992.07~)와는 동일하게 취급되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구유고 디나르(YUN)에서 분리독립하여 발행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디나르(1992.07 ~ 1998.06) & 크로아티아 디나르(1991.12.23 ~ 1994.05.30)와는 호환되지 않았다.

스릅스카/크라이나 둘 다 실질적으론 신유고가 심어놓은 괴뢰국에 가까운 위치였기에 UN의 승인을 받지 못했고, 따라서 두 통화 또한 신유고연방 디나르화(YUR)와는 달리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화폐였다. 또한 그 두 국가가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일부이기도 한 크로아티아 전쟁보스니아 전쟁 중에만 존속하였을 뿐이어서, 소속된 통화 또한 전쟁 시기에만 사용되었던 특징이 있다. 당시 세르비아계는 국제사회(특히 서방국가)로부터 명분없는 분쟁을 일으킨다며 경제봉쇄 보복을 당하고 있었고, 때문에 위폐 방지 요소 따위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화폐로서는 많이 조잡한 퀄리티를 자랑했다. 다만 그럼에도 일부 동유럽 국가들이 생존권을 빌미로 암교역으로 물자를 공급하긴 하였기에, 이라크 전쟁 당시의 디나르화 수준[5]까진 아니긴 하였다.

현찰 시리즈

스릅스카 디나르 시리즈 크라이나 디나르
2차 발행
※스릅스카
(1993~97)
=====
※크라이나
(1993~94)
뒷면 페타르 코치치 크닌 요새 뒷면
BSD1 Reverse.jpg BSD1 Front.jpg 1차 발행
(1992~93)
KSD1 Front.jpg KSD1 Reverse.jpg
뒷면 앞면 앞면 뒷면
  • 상세 종류는 아래와 같다. 크기는 그룹별로 ①129×56mm ②139×66mm ③139×59mm ④140×60mm ⑤129×56mm ⑥130×58mm
  • 1992년 7월 발행 (1차)
스릅스카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10, 50, 100}, {500, 1000, 5000, 1만}, {5만} 디나르
크라이나크로아티아 / {10, 50, 100}, 500, 1000, 5000 디나르※정부 명의
크라이나크로아티아 / 1만 디나르※국립은행 명의
  • 1993년 전반기 발행 (1차)
스릅스카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10만}, {100만, 500만, 1000만} 디나르※1992년 인쇄「국립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스릅스카 공화국은행」 명의
스릅스카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5000만, 1억, 10억, 100억} 디나르※1993년 인쇄「국립 스릅스카 공화국은행」 명의[6]
크라이나크로아티아 / 5만, 10만, 100만, 500만, 1000만, 2000만, 5000만, 1억, 5억, 10억, 50억, 100억 디나르
  • 1993년 10월 1일 발행 (2차) - 유고 디나르세르비아의 화폐개혁으로 인함. (YUR → YUO ~ 1/1,000,000)
스릅스카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5천, 5만, 10만, 100만, 500만, 1억, 5억, 100억, 500억} 디나르
크라이나크로아티아 / 5천, 5만, 10만, 50만, 500만, 1억, 5억, 50억, 100억, 500억
  • 1994년 1월 1일 발행 (2차 2판) - 유고 디나르세르비아의 화폐개혁으로 인함. (YUO → YUG ~ 1/1,000,000,000)
크라이나크로아티아 / 1천, 1만, 50만, 100만, 1000만

트리비아

  • 1992년 말, 재고가 잔뜩 쌓여있던 10디나르화 지폐를 바냐 루카 인쇄소로 가져가 "Miliona Dinara (100만 디나라)" 라는 문구를 첨쇄하여 1천만 디나르로 만들어 공급하려 하였으나, 찍어내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2만장 찍고선[7] 바로 포기해버렸다.
    • 허나 그 희귀성을 노리고 수집가에게 팔아치우기위해, 10디나르화 뿐 아니라 50디나르화 및 100디나르화 지폐에 비슷한 첨쇄도장을 찍은 가짜 첨쇄지폐가 양산되기도 하였다.

각주

  1. '스릅스카(srpska)' 자체가 '세르비아(serbia)'를 말한다. (단, 현존하는 국가인 "세르비아(srbija)"와 다르다.) 따라서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 혹은 「크로아티아계(系) 세르비아 공화국」으로도 번역이 가능하다.
  2. 정식 명칭은 "크라이나 스르프스카 공화국 디나르".
  3. 슬로베니아의 독립도 용인하지 않으려 했으나, 크/보와는 달리 슬로베니아 내 세르비아계 주민의 비중이 워낙 낮아서, 명분도 없고 실리도 없다는 판단에 개전 10일 만에 휴전(및 종결)하였다.
  4. 마찬가지로 세르비아계 주민의 비중이 매우 적었던, 남쪽의 마케도니아 또한 1991년 9월에 독립을 선언하며 이탈하였다. 그 당시 세르비아는 크/보 지역 독립 저지에 집중하느라, 마찬가지로 명분이나 실리가 없던 마케도니아를 그냥 조용히 떠나 보내주었다.
  5. 이라크는 본래 유럽 및 중국에서 인쇄된 화폐를 수입하여 써왔는데, 무역봉쇄조치로 인해 지폐용 면지(綿紙)조차 구할 수 없게 되어, 진짜로 일반 종이에다가 돈을 찍어냈었다.
  6. 1992년 8월 12일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7. 해당 일련번호는 AA 860**** ~ AA 870****.
  1. 여기에 해당하는 이전 화폐는 동전도 교환대상에 해당한다.